728x90
반응형

2024년 12월 16일 (월) 오후 6:39

 

 

아미앵 전투란 무엇인가?

 

아미앵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1918년 8월 8일부터 11일까지 프랑스 아미앵 근처에서 벌어졌어요. 이 전투는 협상국(연합국)이 독일의 동맹국을 상대로 승리한 첫 전투로, 100일 공세의 시작을 알렸죠. 협상국은 전투 첫날에 무려 11km를 진군하여 독일군에게 큰 타격을 입혔습니다.

 

아미앵 전투는 단순한 군사적 승리 그 이상으로, 전후 세계의 정세를 결정짓는 중요한 사건이었어요. 이 전투를 통해 협상국은 전세를 유리하게 전환할 수 있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의 종결로 이어졌답니다.

Amiens 1918: The Last Great Battle

 

전투의 진행 과정

 

아미앵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격렬한 전투 중 하나로, 연합군은 호주, 캐나다, 영국, 미국 등의 군대가 협력하여 전투에 참여했어요. 전투는 독일의 방어선에 대한 기습 공격으로 시작되었고, 연합군의 정교한 작전 덕분에 빠른 진군이 가능했답니다.

 

전투 중의 장면은 매우 긴박했어요. 특히 호주 군대와 캐나다 군대의 활약이 두드러졌고, 이들은 독일군의 진지를 무너뜨리는 데 크게 기여했죠. 전투 중에는 여러 종류의 무기가 사용되었고,

위와 같은 장면에서 군인들이 포탄을 다루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어요. 이들은 전투의 긴박함을 그대로 담고 있는 모습이죠.

 

전투의 결과와 의의

 

아미앵 전투의 결과는 독일군에게 큰 패배를 안겼고, 이는 전후 전쟁의 흐름을 바꾸는 계기가 되었답니다. 전투의 결과로 연합국은 전선을 크게 확장했고, 독일군은 후퇴하게 되었어요. 이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의 마지막 단계로, 협상국의 연합 작전이 얼마나 효과적이었는지를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죠.

 

또한, 아미앵 전투는 전쟁의 잔혹성과 전투의 전략적 중요성을 교훈적으로 상기시켜주는 사건으로, 많은 역사학자들이 이 전투를 연구하고 있어요. 아미앵 전투는 전투의 전술, 병력의 배치, 그리고 무기 사용에 대한 중요한 교훈을 남겼답니다.

 

아미앵 전투의 시각적 자료

 

전투의 긴박함과 참혹함을 담고 있는 여러 사진들이 있어요. 그 중에서도


위는 호주 군대가 진군하는 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어요. 이 사진에서는 전투의 혼란스러운 분위기와 전사들의 결연한 의지를 느낄 수 있죠. 전투 중의 이런 장면들은 우리가 당시의 상황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답니다.

역사를 바꾼 전차 Mark I

 

또한, 아미앵 전투에 관한 다양한 사진 자료는 전투의 역사적 중요성을 더욱 부각시켜 줘요. 전투의 진행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되죠.

 

참고 자료 및 더 알아보기

아미앵 전투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원하신다면, 다음의 링크들을 추천드려요:

이 외에도 관련된 자료들을 통해 아미앵 전투의 의미와 그 여파에 대해 더 알아보실 수 있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NvAXeL0vKkw 

 

 

Creating British Army Units – Valor & Victory 1918 Edition

태그: #아미앵전투 #제1차세계대전 #전투역사 #전략 #연합군 #독일군 #역사 #군사 작전 #전쟁의 의미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상세히 알아보기 

 

 

아미앵 전투 개요

  • 아미앵 전투는 제3차 피카르디 전투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동맹국을 패배시킨 백일 공세의 시작을 알리는 전투이다.
  • 이 전투는 첫 대규모 기갑 전투 중 하나로, 전투의 규모와 중요성이 크다.
  • 협상국은 첫째 날에 11km를 전진하였으며,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최대 규모의 진격이었다.
  • 독일군의 에리히 루덴도르프는 이 날을 **"독일군 암흑의 날"**이라고 언급하였다.
    루덴도르프의 잔인한 도박

 

전투 배경

  • 1918년 제2차 마른 전투에서 패배한 독일군은 마른 강 북쪽의 거대한 돌출부로 후퇴하였다.
  • 독일군은 6차 춘계 공세를 준비하는 한편, 연합군 총사령관 페르디낭 포슈는 독일군이 점령한 지역을 재수복하려 하였다.
    프랑스군 대원수 페르디낭 포슈
  • 포슈는 더글러스 헤이그에게 영프연합군의 공세를 위해 프랑스 제1군을 영국 원정군 총사령부 휘하에 배치하도록 지시하였다.
  • 헤이그는 공세 작전을 구성할 전권을 위임받았다.

 

 

 

독일군의 상황

  • 제2차 마른 전투에서 패배한 독일군의 상태는 최악이었다.
  • 무리한 공세의 연속으로 전투 가능한 병력의 수가 제한적이었으며, 춘계 공세에서 수십만의 사상자를 낳았다.
  • 독일군은 보급품 공급을 위한 교통망이 단절되어 보급 상황이 더욱 열악해졌다.
  • 협상국의 공격을 예상하지 못한 독일군은 병력을 생미이엘 전선으로 보내며 아미앵 돌출부 전선을 약화시켰다.

 

협상국의 전략

  • 협상국은 춘계 공세를 저지하며 독일군의 사기와 공격을 크게 저하시키고, 백일 공세를 준비하였다.
  • 제2차 마른 전투에서 마른 강 돌출부를 수복한 협상국은 아미앵 지역의 돌출부를 수복하려 하였다.
  • 아미앵 지역의 돌출부를 수복함으로써 변수 창출을 막으려 하였다.
  • 4월 영국군의 퇴각이 끝난 후, 롤린슨 장군 휘하의 영국군 제4군이 솜 강 전선을 장악하여 아미앵 돌출부를 공격하기로 결정하였다.

전투 전개: 8월 8일

  • 8월 8일 오전 4시 20분, 롤린슨 장군 휘하의 영국군 제4군이 솜 강 북쪽에서 진격을 시작하였다.
  • 독일군은 협상국의 공격을 예상하지 못해 반격을 시작한 시점이 늦어졌다.
  • 7개 사단이 7시 30분에 3.7km를 진격하여 첫 번째 독일군 진지를 점령하였다.
  • 오전 8시 20분, 아미앵 돌출부 최후방 전선이 돌파되었고, 독일 제2군은 3만의 병력을 잃는 큰 손실을 입었다.

전투 전개: 8월 9일~12일

  • 격전지는 솜 강 북쪽과 남쪽으로 확대되었고, 협상국의 진격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 아미앵 전투 시작 시 500대의 전차가 있었으나, 불과 6대만 남게 되었다.
  • 치필리 지역은 여전히 독일군의 손에 있었고, 이곳을 점령해야 했다.
  • 미국 제33보병사단이 치필리 능선을 점령하면서 협상국은 8월 13일 자정까지 19km를 더 진격하게 되었다.

전투의 영향

  • 아미앵 전투는 독일 제국의 몰락을 가속화시키는 백일 공세의 시작으로 평가된다.
  • 이 전투를 시작으로 협상국은 생미이엘 공세 뫼즈-아르곤 공세에서 독일군을 차례로 패배시켰다.
  • 아미앵 전투는 힌덴부르크 선을 함락시키는 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매체에서의 아미앵 전투

  • 검은머리 미군 대원수에서는 주인공 유진 킴이 프랑스군 휘하에 배속되어 93사단을 이끌고 독일군을 무찌르는 장면이 묘사되었다.
  • 유진 킴은 독일군의 방심을 이용하여 전투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다.
  • 독일군 병사들은 유진 킴과 93사단을 **'마이앵의 악마들'**이라 부르며 두려워하였다.
  • 이후 제2차 아미앵 전투에서도 독일군이 패배하였다는 서술이 있다.

 

 

 

 

 

 

[1] 나무위키 - 아미앵 전투 (https://namu.wiki/w/%EC%95%84%EB%AF%B8%EC%95%B5%20%EC%A0%84%ED%88%AC)

[2] Wikipedia - 아미앵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B%AF%B8%EC%95%B5_%EC%A0%84%ED%88%AC)

[3] 나무위키 - 아미앵 전투 (r16 판) (https://namu.wiki/w/%EC%95%84%EB%AF%B8%EC%95%B5%20%EC%A0%84%ED%88%AC?uuid=10723e16-7b90-4b48-86ad-3a95e0009e83)

[4] 동아일보 - '아미앵 전투' 100주년 …승자와 패자가 함께 기억하는 전쟁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180809/91444635/1)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2024.12.13 오전 00:12

전투 개요

  • 전투 기간: 1942년 7월 21일부터 11월 16일까지.
  • 참여 군대: 일본군, 미군, 호주군이 뉴기니 섬에서 전투를 벌였다.
  • 전투의 성격: 이 전투는 과달카날 전투에 가려진 태평양 전쟁 초반부의 대표적인 졸전으로 평가된다.
  • 역사적 맥락: 임팔 전투의 선배로서, 이 전투는 일본군의 전략적 실패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전투의 중요성

  • 전투의 평가: 과달카날 전투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중요한 전투로 간주된다.
  • 전략적 의미: 일본군의 전투력과 전략적 판단의 한계를 드러내는 사건이다.
  • 전쟁의 흐름: 이 전투는 태평양 전쟁의 초기 단계에서 일본군의 전투 방식과 연합군의 저항을 보여준다.
  • 후속 전투에 미친 영향: 이 전투의 결과는 이후 전투의 전략과 전술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남방작전

  • 작전 목표: 일본은 남서태평양에서의 우위를 확보하고 미국과 호주의 연결선을 차단하기 위해 포트모르즈비를 공략하고자 했다.
  • 전략적 위치: 포트모르즈비는 뉴기니 섬 남단의 최대 항구로, 전략적 중요성이 크다.
  • 작전의 배경: 일본은 남방작전을 통해 동남아시아를 손쉽게 석권한 경험이 있다.
  • 전투의 전개: 일본군은 포트모르즈비를 점령하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해군의 공략 실패

  • 공략 시도: 일본 해군은 포트모르즈비를 공략하기 위한 시도를 했으나, 산호해 해전에 의해 좌절되었다.
  • 전략 변경: 해군의 공략 실패 이후, 일본 해군은 미 해군 항모세력 격멸로 목표를 변경하였다.
  • 해군의 역할: 해군의 실패는 육군의 작전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 전투의 전환점: 이 사건은 일본군의 전략적 전환점을 나타낸다.

일본 육군의 계획

  • 육군의 개입: 해군의 실패 이후 일본 육군이 전투에 나섰다.
  • 진격 경로: 일본 육군은 부나(Buna)에서 육로로 진격하여 연합군을 격파할 계획을 세웠다.
  • 연합군의 상태: 연합군은 전투력과 규모가 부족한 상태였다.
  • 전투 목표: 일본 육군은 포트모르즈비 점령을 목표로 하였다.

연합군의 방어 전략

  • 방어의 필요성: 연합군은 포트모르즈비를 사수해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 전략적 방어: 포트모르즈비를 잃게 되면 호주 동해안이 일본의 공격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다.
  • 해상교통 차단: 포트모르즈비의 상실은 미국과 호주 간의 해상교통을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다.
  • 역습 기회 상실: 포트모르즈비를 잃으면 라바울 등 다른 거점에 대한 역습 기회를 잃게 된다.

포트모르즈비의 전략적 중요성

  • 전투의 결과: 포트모르즈비의 상실은 뉴기니 섬에서의 축출을 의미한다.
  • 최전선 반격 교두보: 이는 일본의 침략에 맞선 최전선 반격 교두보의 상실을 나타낸다.
  • 전략적 위치: 포트모르즈비는 일본군의 침략을 저지하기 위한 중요한 거점이었다.
  • 전투의 의미: 이 전투는 일본군의 침략에 대한 연합군의 저항을 상징하는 사건이다.

연합군의 전투 준비 부족

  • 연합군의 판단: 태평양의 연합군들은 일본군의 판단이 정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일본군은 연합군을 오합지졸로 평가하였다.
  • 영국군 및 영연방군의 상황:
    • 숫자로는 일본군을 압도했으나, 실질적인 전투력은 부족하였다.
    • 호주는 1941년 초부터 북아프리카 전역에 참여하고 있었고, 주력부대는 북아프리카에 집중되어 있었다.
  • 미군의 병력 부족:
    • 필리핀을 상실한 이후, 미군은 전투병력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었다.
    • 진주만 공습 직후 징병제를 실시하였으나, 전투에 투입할 병력은 부족하였다.
  • 호주 내 미군 부대:
    • 호주에는 미국에서 온 2개 육군 사단이 있었으나, 이들은 정글전 훈련 중이었다.
    • 이들은 호주 본토 방위를 담당하고 있었던 부대였다.

호주의 전선 상황

  • 영국군 및 영연방군의 숫적 우위:
    • 영국군과 영연방군은 일본군에 비해 숫적으로 우세하였으나, 전투 준비가 미흡하였다.
  • 호주의 전선 참여:
    • 호주는 북아프리카 전역에 주력부대를 보내고 있었고, 이로 인해 태평양 전선에서의 전투력이 약화되었다.
  • 전투 수행의 실질적 주체:
    • 호주 민병대가 태평양 전선에서의 전투를 수행하게 되었다.
  • 전선의 복잡성:
    • 여러 전선에서의 전투 참여로 인해 연합군의 전략적 대응이 어려워졌다.

미군의 병력 상황

  • 필리핀 상실의 영향:
    • 필리핀에서의 패배는 미군의 전투력에 큰 타격을 주었다.
  • 징병제 실시:
    • 진주만 공습 직후 징병제를 실시하였으나, 병력 확충이 지연되었다.
  • 과달카날 전역으로의 병력 이동:
    • 남아있는 병력은 과달카날 전역으로 이동되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전선에서의 전투력이 더욱 약화되었다.
  • 해군의 상황:
    • 해군 역시 병력 부족으로 인해 전투에 참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맥아더의 지휘 문제

  • 사령관의 문제점:
    • 호주의 연합군 병력은 맥아더가 지휘하고 있었으나, 그의 상황 파악이 미흡하였다.
  • 전투 무시:
    • 맥아더는 전투를 무시하고, 지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였다.
  • 현지 시찰 부족:
    • 주둔지와 전장의 거리가 멀어 현지 시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 명령의 비효율성:
    • 초기 병력 배치 시 "해당 지역으로 가면 작은 구렁텅이가 있으니까, 그곳에서 방어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으나, 실제로는 7마일(11.27km) 이상의 계곡이었다.

일본군의 과달카날 전투

  • 일본군의 상황:
    • 일본군도 과달카날 전역에 묶여 있었고, 포트모르즈비 공략에 필요한 여력을 투입할 수 없었다.
  • 해상작전 및 항공지원 부족:
    • 공격에 필요한 해상작전이나 항공지원이 거의 없었다.
  • 병력의 한계:
    • 일본군은 13,500명의 병력으로 공격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지리적 정보 부족:
    • 일본군은 뉴기니 섬에 대한 지리 및 지형 정보가 전무하였다.

일본군의 지리적 한계

  • 지형적 오판:
    • 일본군은 포트모르즈비까지의 거리가 160km도 채 안 되므로 별 문제 없다고 판단하였다.
  • 부나에서 포트 모르즈비까지의 거리:
    • 부나에서 포트 모르즈비까지의 거리는 90여 km에 불과하였으나, 지형적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 고산지형의 도전:
    • 일본군은 해발 2,000~3,000m에 달하는 오웬 스탠리 산맥을 관통해야 했다.
  • 내륙 개발 부족:
    • 뉴기니의 내륙은 미개발 상태였고, 도로가 부족하였다.

오웬 스탠리 산맥의 도전

  • 산맥 통과의 어려움:
    • 일본군은 해발 3,000m의 산맥을 통과하려고 하였으나, 당시에는 길이 제대로 나 있지 않았다.
  • 작전 출발점과 목표:
    • 일본군의 근거지는 부나 고나였고, 목표는 포트 모르즈비였다.
  • 자살행위와 같은 작전:
    • 산맥과 정글, 늪지대가 깔린 곳을 도보로 행군하라는 것은 자살행위와 같았다.
  • 현지 사령관의 보고:
    • 55사단장 호리이 토미타로는 보급 부족으로 정글을 지나가는 것이 무리라고 보고하였으나, 대본영의 답변은 보급 문제는 신경 쓸 필요가 없다는 것이었다.

내륙의 어려움과 자원 부족

  • 내륙의 험준함:
    • 내륙 고산 지대는 왕래가 힘들어 마을마다 언어가 다를 정도로 험준하였다.
  • 식량 부족 문제:
    • 식용 가능한 동식물이 부족하여 미리 양식을 마련하지 않으면 현지인도 굶어죽을 수 있었다.
  • 해안가와 내륙의 분리:
    • 원주민은 해안가 마을과 내륙 간의 교류가 없었고, 해안을 항해하는 것이 더 편리하였다.
  • 도로 건설 포기:
    • 금광 발견 시에도 도로 건설을 포기하고 항공수송을 선택하였다.

 

생애 초기와 가족 배경

  • 출생 정보: 그녀는 태어날 당시 아버지가 17세, 어머니가 19세였다.
  • 어머니의 직업: 어머니는 슬럼가 거리의 창녀였으며, 어린 나이에 창부의 삶을 살았다.
  • 가족의 무책임: 그녀는 무책임한 아버지에게 버림받았고, 어머니는 그녀를 키울 능력이 없어 사촌의 집에 맡겨졌다.
  • 학대 경험: 사촌의 집에서 학대받으며 성장하였고, 1929년 클럽에서 인정받는 가수가 되기 전까지 2번의 성폭행 2번의 감옥 생활을 겪었다.

어린 시절의 고난과 학대

  • 첫 성폭행 사건: 그녀가 처음 성폭행을 당했을 때, 상대는 40대의 백인이었고, 그녀는 10살이었다.
  • 경찰의 반응: 경찰은 백인을 처벌하지 않고 오히려 흑인인 그녀를 불량소녀로 몰아 감호소에 집어넣었다.
  • 감호소에서의 경험: 감호소에서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고 풀려난 후, 그녀는 다른 흑인 남자에게 또 다시 성폭행을 당했다.
  • 할렘으로의 이동: 결국 그녀는 어머니와 함께 뉴욕의 할렘으로 갔지만, 할렘에서 할 수 있는 일은 창부의 일뿐이었다.

할렘에서의 삶과 경력 시작

  • 창부 생활: 15살까지 할렘가에서 창부로 일하던 그녀는 성행위를 강요하던 흑인의 말을 듣지 않다가 매춘 행위로 고발되어 다시 감옥에 들어가게 된다.
  • 감옥에서의 변화: 감옥에서 나온 이후, 그녀는 창부의 생활을 접고 백인의 집에서 하녀 생활을 하게 된다.
  • 대공황의 영향: 미국의 대공황 속에서 다시 일자리를 잃게 되었다.
  • 댄서 오디션: 거리의 파즈 앤 제리즈라는 나이트클럽의 댄서 오디션을 보러 갔으나, 춤을 한 번도 춰본 적이 없는 그녀는 오디션에 붙지 못했다.

음악 경력의 시작과 성공

  • 노래의 시작: 클럽의 피아노 연주자가 그녀에게 노래를 불러보라고 했고, 그녀는 노래를 시작했다.
  • 관객의 반응: 그 자리에 있던 사람은 "홀 전체가 숨을 죽이고 있었다"라고 회상하였다.
  • 예명 '빌리 홀리데이': 그녀는 좋아하던 배우 빌리 더브의 이름과 아버지 클래런스 홀리데이의 성을 따서 '빌리 홀리데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 아버지와의 관계: 아버지 클래런스 홀리데이는 처음에는 그녀를 딸로 인정하지 않았으나, 그녀가 명성을 얻고 돈을 벌기 시작하자 아버지임을 자처하며 돈을 뜯어가기 시작했다.

상징적인 곡과 사회적 메시지

  • 음악적 인정: 그녀는 뉴욕의 클럽에서 노래를 인정받기 시작하였고, 1933년 베니 굿먼과의 만남으로 18세에 음반을 내고 본격적으로 재즈 가수로서의 성공을 거두기 시작했다.
  • 우울한 감성: 팬들이 그녀의 음색에서 가장 먼저 느낄 수 있는 것은 말기 감성을 쥐어짜는 우울한 감성이다.
  • 기이한 열매: 1939년 아버지의 죽음을 계기로 부른 기이한 열매는 흑인들이 백인에게 폭력을 당한 후 나무에 목이 매달린 풍경을 묘사한 곡이다.
  • 소설과 베스트셀러: 이 곡은 여성 작가 릴리언 스미스에 의해 소설로 발표되어 1944년 미국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결혼 생활과 개인적 고난

  • 첫 번째 결혼: 1941년 첫 번째 남편 제임스 먼로와 결혼했으나, 그는 심한 마약 중독자였다.
  • 두 번째 결혼: 두 번째 남편 조 가이는 그녀의 돈만 갈취하는 쓰레기 같은 존재였다.
  • 세 번째 남편: 세 번째 남편 역시 마약과 무기혐의로 여러 번 옥살이를 거듭한 범죄자로, 그녀를 괴롭혔다.
  • 양성애자: 그녀는 양성애자였으며, 베니 굿먼, 오슨 웰스 등과의 연애도 있었으나 오래가지 못했다.

마약 중독과 삶의 말년

  • 중독의 시작: 그녀는 마약 중독자의 굴레에 빠져들게 되었고, 극심한 알코올과 마약 중독으로 가난에 시달렸다.
  • 마일스 데이비스의 도움: 마일스 데이비스는 그녀에게 마약 중독 치료를 권할 정도로 그녀의 상태를 걱정하였다.
  • 삶의 마지막: 1959년 5월, 그녀는 맨해튼에 위치한 자신의 아파트에서 쓰러진 후 10주간 입원하다가 44세의 나이에 삶을 마감하였다.
  • 병원에서의 모습: 그녀는 병원에 입원했을 때 아무도 그녀를 알아보지 못하였고, 진료 기록에는 ‘병명: 마약 중독 말기, 치료 방법 없음’이라고 적혀 있었다.

유산과 음악적 영향

  • 음악적 영향: 그녀는 카운트 베이시 악단에서 만난 레스터 영과 상성이 잘 맞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 서로의 존중: 홀리데이는 레스터 영을 "프레지던트 레스터"의 약자인 "Pres"라 부르고, 레스터 영은 그녀를 "Lady day"라 부르며 서로를 존중하였다.
  • 가창력 비교: 그녀의 가창력과 정교함은 엘라 피츠제럴드와 비교할 수 없으며, 새러 본의 아름답고도 풍부한 음색과도 비교할 수 없다.
  • 블루스에 어울리는 목소리: 그녀의 노래는 가창력과 음색을 떠나 마음을 울리는 무언가가 있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으며, 혹자는 그녀의 목소리가 블루스에 가장 어울린다고 평하였다.

 

코코다 트랙 전투 개요

  • 일본군의 피해: 일본군은 투입 병력 대부분을 상실하였다.
  • 연합군의 피해: 반대로 연합군은 거의 피해를 입지 않은 전투 결과가 나왔다.
  • 자연의 승리: 이 전투는 연합군의 승리가 아닌 대자연의 승리로 해석될 수 있다.
  • 임팔 작전과의 유사성: 이 전투는 기본적인 지형 정보도 없이, 보급을 무시한 참사로, 여러모로 임팔 작전의 마이너 버전으로 볼 수 있다.

자연의 승리와 임팔 작전

  • 자연의 영향: 연합군의 승리를 대자연의 승리로 간주하는 것이 정확하다.
  • 전투의 맥락: 이 전투는 자연 환경이 전투 결과에 미친 영향을 강조한다.
  • 임팔 작전의 교훈: 임팔 작전과 유사한 점이 많아, 전투 준비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연합군의 후속 작전

  • 전투의 전개: 몇 개월 후, 미군과 호주군 연합군이 남쪽 해안의 포트 모르즈비에서 북쪽 해안의 주요 항구인 '부나'와 '고나'까지 추격하였다.
  • 방어 성공: 포트 모르즈비의 방어에 성공한 연합군은 일본군을 섬멸하려는 후속 단계에 들어갔다.
  • 전투의 목표: 이 전투는 일본군의 완전한 섬멸을 목표로 하였다.

부나-고나 전투의 전개

  • 일본군의 방어: 일본군은 후위부대로 떼어놓은 병력이 진지까지 가설한 후, 강력한 방어를 하였다.
  • 철수 완료: 간신히 철수를 완료한 일본군은 처음 7월에 상륙할 때부터 만들어진 진지들에 배치되어 방어를 하였다.
  • 연합군의 병력: 연합군은 일본군보다 병력상으로 훨씬 우세하였으나, 여러 요소로 인해 고전을 겪었다.

연합군의 피해와 대참패

  • 사망자와 부상자: 총 병력 20,000명 중 2,000명에 달하는 사망자와 12,300명이 넘는 부상자와 병사자가 발생하였다.
  • 전투의 결과: 연합군은 일본군에 비해 큰 피해를 입었다.
  • 전투의 심각성: 이러한 대참패는 전투의 심각성을 강조한다.

전투 결과의 은폐

  • 대참패의 은폐: 연합군은 큰 피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대본영은 이러한 대패를 함구하였다.
  • 과달카날 전투와의 관계: 뉴기니 섬 바로 옆에서 벌어지는 과달카날 전투가 정점을 향해 치닫고 있었기 때문에, 대참패는 더욱 묻혔다.

부나-고나 전투의 명칭

  • 전투의 명칭: 코코다 산길에서 부나-고나에 이르기까지의 전투를 '부나-고나 전투'라고 부른다.
  • 정보 부족: 본 위키에는 현재 이 전투에 대한 항목이 작성되어 있지 않다.
  • 추가 정보: 이 전투에 대해 더 알고 싶으면 제공된 블로그 링크를 참조할 수 있다.

현대의 트래킹과 안전 문제

  • 트래킹의 인기: 현대에는 해당 루트를 여행하는 트래킹이 존재한다.
  • 경쟁 행사: 비정기적으로 해당 루트를 주파하는 레이스 행사인 'Kokoda Challenge Race'도 있다.
  • 안전 문제: 현대에는 안전한 지역을 따라 길을 다듬고 휴식처도 마련되어 있지만, 가끔씩 조난 사고가 발생하기도 한다.

2006년에 나온 동명의 호주 영화 KOKODA가 있다.

코코다 전투 및 뉴기니 전선을 가룬 책으로 권주혁씨의 '나잡비행장'이 있다.

백승만 경상국립대학교 약학대학 교수의 『전쟁과 약, 기나긴 악연의 역사』에서도 말라리아로 인간이 고생한 사례로서 언급된다.

이 독일은 총통이 필요해요에서도 등장. 맥아더의 추한 모습과 안잭군의 고생을 조명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q4VEL9zHOA&t=12s

 

 


죽음의 산에서 식인을 택한 일본군🍟코코다트랙 전투 마지막 결투🍟지도로 보는 태평양전쟁 시리즈 ep 15. 코코다트랙 전투 3/3

 

https://www.youtube.com/watch?v=OBGfPkEtvJU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의 역할

  • 시기: 1966년 12월
  • 주둔지: 한국군 해병대 제 2 여단은 남베트남의 추라이 지역에 주둔하고 있었다.
  • 지리적 배경:
    • 1대대 전술 책임 지역의 동쪽에는 바탄 반도가 위치하고 있었다.
    • 이 지역에는 여러 개의 강이 흐르고 있으며, 이 강들은 남중국해와 만나는 지역으로 기대가 많이 형성되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azoNLfhvEtk
  • 적의 활동:
    • 베트콩들은 소형 선박을 이용해 보급품을 수송하며, 여러 곳에 위장 진지를 구축해 연합군을 상대로 활발한 게릴라전을 벌이고 있었다.

 

 

미군의 수로 측량 작업 계획

  • 미군의 방문: 미 해병대와 미해군 UDT 소속의 장교들이 한국군 2여단 본부를 방문하였다.
  • 작전 계획:
    • 미군은 광하 1대 강에서 수로 측량 작업을 실시할 계획이었다.
    • 가장 우려되는 부분은 베트콩의 기습 공격이었다.
  • 한국군의 지원 요청:
    • 미군은 한국군 해병대가 B 지역을, 월남군 J 4단이 C 지역을 엄호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강구 작전의 실행

  • 작전 명령: 여단장 김연상 준장은 작전 명령 제 67호를 하달하였다.
  • 작전 내용:
    • 작전 첫날에 2대대 한계 중대를 A 지역에 투입하고, 다음 날에는 1대대 두 개 중대를 B 지역에 투입하기로 하였다.
  • 참여 부대:
    • 작전 참여 부대는 1대대 1중대, 2중대, 3중대, 2대대 6중대였다.
    • 미군은 미해병 비행 사단이 공중 폭격을 실시하고, 미해군 제 7함대가 한포 사격을 해 주기로 하였다.

작전 중의 전투 상황

  • 작전 시작: 1967년 1월 31일 11시에 미해군이 한국군이 작전을 수행할 지역에 대해 20분간 한포 사격을 가하였다.
  • 적의 저항:
    • 중대가 수색을 하던 도중 120여 명의 주민들이 거주하는 마을을 발견하였고, 그곳에서 베트콩의 저항이 있었다.
    • 이 과정에서 네 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리기도 하였다.
  • 작전 결과: 미해군 UDT 의원들은 세 시간 동안 수로 측량 작업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

헬리콥터 구출 작전의 실패

  • 작전 중의 위기:
    • 1대대장 이건호 중령은 2중대를 조모 이강 북쪽에, 중대를 남쪽에 배치하였다.
    • 소대가 수색 중 적의 기습 공격을 받게 되어 7명이 전사하고 다수의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 부대의 대응:
    • 위생 하사관 지덕칠 하사는 부상자 치료를 멈추지 않고 전사한 일분 대장을 대신해 분대원들을 지휘하였다.
    • 소대장 박종길 소위는 과감한 탈출을 시도하였다.
  • 헬리콥터의 도착: 1시간 40분 후 헬리콥터 여섯 대가 도착하였으나, 착륙 지점에 대한 오해로 인해 구출 작전이 실패하였다.

부상자와 전사자의 상황

  • 부대의 고립: 소대는 적의 포위망에서 벗어나 인근 고구마 밭으로 이동하였다.
  • 지원 요청: 소대장은 보병의 지원 사격과 부상자 후송을 위한 헬리콥터를 요구하였으나, 지원이 불가능하였다.
  • 부대의 피해: 소대는 적의 집중 공격을 받으며 추가적인 피해를 입었다.
  • 지덕칠 하사의 전사: 지덕칠 하사는 부상에도 불구하고 적의 공격을 저지하며 전사하였다.

전투 후 시신 회수 작전

  • 작전 개시: 2월 2일, 전우들의 시신을 회수하기 위한 수색 작전이 시작되었다.
  • 부대 배치:
    • 2중대는 42 고지에 배치되어 차단 진지를 구축하였다.
    • 1대대와 3대대는 각각 동쪽과 서쪽으로 이동하며 정밀 수색을 실시하였다.
  • 시신 회수: 총 15구의 시신을 회수하였으나, 장비는 이미 적에게 탈취당한 상태였다.
  • 추가 작전: 2월 3일, 중대를 재배치하여 추가적인 정밀 수색을 실시하였다.

강구 전투의 전과와 교훈

  • 전투 결과: 적사살 53명, 포로 2명, 노획한 장비는 수류탄 3발, 실탄 420발이었다.
  • 아군 피해: 전사 20명, 부상 14명, 소총 15정, 기관총 3정, 각종 무전기와 유탄 발사기 손실.
  • 피해 원인:
    1. 정보 수집 부족: 작전 지역에 대한 정밀한 정보 수집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2. 예비대 운용 실패: 헬기 출발이 지연되었고, 착륙 지점의 오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하였다.
    3. 화력 지원 계획 부족: 적절한 화력 지원 계획이 수립되지 않아 큰 피해를 입었다.
  • 군사적 조치: 이후 위험 지역에 소대를 독립적으로 투입하지 않도록 조치하였다.

지덕칠 중사의 동상 제막식

  • 제막식 일자: 1967년 8월 2일.
  • 참석 인사: 박정희 대통령, 김성 국방부장관, 김관 해군총장, 지덕 중사의 어머니 박여사 등이 참석하였다.
  • 동상 의미: 지덕칠 중사의 전공을 기리기 위한 동상 제막식으로, 그의 희생과 용기를 기념하는 자리였다.
  • 훈장 수여: 박 대통령은 지덕칠 중사에게 태극 무공훈장을 추서하였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https://www.youtube.com/watch?v=simwRnwwfeQ

https://www.youtube.com/watch?v=B6_f4DC1qk8

https://www.youtube.com/watch?v=UJ8K_7yun5Q

 

포클랜드 전쟁 개요

  • 포클랜드 전쟁은 1982년 4월 2일에 아르헨티나가 영국령 포클랜드 제도를 침공하면서 시작된 전쟁이다.
  • 이 전쟁은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의 군사적 충돌로, 두 나라의 주권 문제가 핵심 쟁점이었다.
  • 전쟁의 발발은 국제 정치 군사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의 군사 작전에도 중요한 교훈을 제공하였다.
  • 포클랜드 전쟁은 냉전 시대의 군사적 긴장 속에서 발생한 사건으로, 군사적 개입의 필요성과 그 결과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였다.

현대 해전의 사례

  • 포클랜드 전쟁은 21세기 현대까지도 미사일 시대를 대표하는 해전의 교과서적 사례로 평가된다.
  • 이 전쟁은 현대 해전의 전술과 전략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자료가 된다.
  • 특히, 공중전 해상전의 조화로운 운영이 두드러지며, 이는 현대 군사 작전에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았다.
  • 포클랜드 전쟁의 사례는 군사 훈련 전략 개발에 있어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정규군 해전의 변화

  • 포클랜드 전쟁 이후, 정규군 해군 간의 대규모 해전은 발생하지 않았다.
  • 이는 군사 전술의 변화와 전쟁의 양상이 달라졌음을 시사한다.
  • 현대의 군사 작전은 비대칭 전쟁 소규모 충돌로 전환되었으며, 이는 전통적인 해전의 개념을 변화시켰다.
  • 이러한 변화는 군사 자원의 배치 전략적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비핵보유국의 선제공격

  • 포클랜드 전쟁은 4차 중동전쟁과 함께 비핵보유국 핵보유국을 상대로 선제공격을 한 전쟁으로도 평가된다.
  • 이는 국제 관계에서의 군사적 불균형 전략적 선택의 복잡성을 드러낸다.
  • 비핵보유국의 선제공격은 군사적 억제력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 이러한 사례는 국제 정치에서의 군사적 결정 외교적 대응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포클랜드 제도의 영유권 역사

  • 포클랜드 제도는 영국이 실효지배하고 있는 지역이다.
  • 아르헨티나는 1950년대부터 영유권을 주장해왔다.
  • 이로 인해 1960년대와 70년대에 여러 차례 영유권 협상이 있었으나,
    • 영국 측의 거부
    • 지역 주민들의 아르헨티나 귀속 반대 여론으로 인해 모두 결렬되었다.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의 경제 정책

  • 1976년 쿠데타로 세워진 아르헨티나 군사정권은
    • 오일 쇼크로 인한 경기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자본과 외채를 대규모로 도입하였다.
  • 그러나 1980년 금리 인상으로 이자율이 급상승하였고,
    • 기업 채무를 국가에서 갚도록 하는 정책을 펴면서 재정난이 심각해졌다.

경제 위기와 사회적 불만

  • 아르헨티나 정부는 빚을 갚는다는 명목으로
    • 노동자들의 임금을 삭감하고
    • 재정지출을 대폭 줄이는 정책을 도입하였다.
  • 이로 인해 외채는 더욱 증가하였고,
    • 사회 복지 정책의 실종으로 빈부격차가 심화되었다.

국민의 관심 전환 전략

  • 심각하게 악화된 경제 상황 때문에 국민의 관심을 다른 데로 돌릴 필요가 있었다.
  • 이를 위해 1978년 월드컵을 개최하고,
    • 자국 팀을 우승시키기 위한 무리수를 두었다.

전쟁의 배경과 군사적 계산

  • 당시 아르헨티나 군부는 내부적 불만을 외부의 적으로 돌려 단결을 꾀하자는 안을 제시하였다.
  • 브라질, 칠레 등 주변 남미 국가들이 거론되었으나,
    • 최종적으로 포클랜드 제도의 영국군이 대상이 되었다.
  • 포클랜드 제도는 아르헨티나의 앞마당과 같았으며,
    • 영국 본토는 지구 반대편에 위치해 있었다.

아르헨티나 군의 군사력

  • 아르헨티나군은 전쟁 당시 군 현대화를 거쳤으며,
    • 프랑스에서 수입한 쉬페르 에탕다르 엑조세 대함미사일 등을 장비하고 있었다.
  • 또한, 미국산 CH-47 치누크, 독일제 209급 잠수함, 소련제 스트렐라 지대공 미사일 등 다양한 무기를 보유하고 있었다.
  • 이러한 군사력은 아르헨티나군의 자부심을 높였을 것이다.

영국의 군사적 약점

  • 영국은 1970년대에 미국과 소련의 양강 구도에서 밀려난 한물 간 나라로 여겨졌다.
  • 제2차 중동전쟁에서 굴욕을 당한 경험이 있으며,
    • 더 이상 옛날의 대영제국이 아니라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 영국 해군의 마지막 정규 항공모함인 오데이셔스급 아크로열이 퇴역하여
    • 유사시 장거리 항공작전을 수행하기 어려워졌다.

전쟁 발발의 복합적 요인

  • 여러 개전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 포클랜드 제도는 본국으로 통하는 항공편이 없었고,
    • 의료 서비스조차 본국이 아닌 아르헨티나에 의존해야 했다.

포클랜드 영유권 분쟁의 배경

  • 정기적인 회담: 아르헨티나와 영국은 포클랜드의 영유권 문제를 주제로 정기적인 회담을 진행하고 있었다.
  • 회담 종료: 1982년 2월 27일의 회담을 마지막으로, 3월 1일 아르헨티나는 영국에 **'영유권 문제 해결 의사가 없다면 교섭을 중단하고 자국의 이익을 위해 향후 모든 수단을 취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 영국의 예측 부족: 아르헨티나의 성명에 대해 영국은 그 '수단'이 포클랜드 무력 점령일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던 상황이다.

아르헨티나의 강경한 입장

  • 강경한 태도: 아르헨티나는 영유권 문제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군부 정권의 정치적 필요와 관련이 있다.
  • 교섭 중단: 아르헨티나의 성명은 교섭 중단을 의미하며, 이는 양국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 국내 여론: 아르헨티나의 군부는 국내 여론을 반전시키기 위해 강경한 조치를 취할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다.

고철 수집상의 포클랜드 침입

  • 콘스탄티노 다비도프: 1982년 3월 19일, 아르헨티나의 고철 수집상인 콘스탄티노 다비도프가 포클랜드 제도로 들어왔다.
  • 불법 상륙: 이들은 마땅한 해상편이 없다는 이유로 아르헨티나 해군 수송함에 탑승하여 아르헨티나 국기를 게양한 채 사우스조지아 섬에 도착하였다.
  • 입국 절차 문제: 이들은 영국 정부로부터 방치된 포경 공장의 해체권을 주장했으나, 입국 절차에 문제가 있어 불법 상륙으로 간주되었다.

영국의 반응과 갈등의 시작

  • 영국의 발견: 아르헨티나 국기를 게양한 상황에서 상륙한 이들을 영국의 남극관측대원이 발견하고 항의하였다.
  • 상황 악화: 이로 인해 상황이 급격하게 악화되었으며, 아르헨티나의 민간 시설이 공격받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 강경한 주민 반응: 강경한 주민들이 아르헨티나의 민간 시설을 공격하고 "대영제국 만세", "까불면 코피 터질 줄 알아라!" 같은 낙서를 남겼다.

아르헨티나 군의 전쟁 준비

  • 전쟁 준비: 당시 아르헨티나는 해군참모총장 호르헤 이사악 아나야 제독을 중심으로 전쟁을 준비하고 있었다.
  • 개전 시점: 아르헨티나는 개전 시점을 8~9월로 잡고 있었으나, 예상보다 빠른 전개에 당황하였다.
  • 전략적 계산: 아르헨티나는 영국의 군함 퇴역과 남반구의 겨울 날씨를 고려하여 전략적으로 개전 시점을 조정하고 있었다.

경제난과 군부의 침공 결정

  • 경제난 심화: 3~4월에 아르헨티나에서 경제난이 심화되었고,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었다.
  • 군부의 결정: 다급해진 군부 정권은 국내 여론을 반전시키기 위해 침공을 서둘렀다.
  • 정치적 필요성: 군부는 정치적 필요성에 의해 전쟁을 선택하게 되었으며, 이는 국가의 안정과 정권 유지와 관련이 있다.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침공 시작

  • 침공 시작일: 4월 2일
  • 참여 군대: 아르헨티나 해병대 및 특수부대 소속의 지상군 4,000명
  • 지원군: 해군의 지원을 받음
  • 전쟁의 시작: 포클랜드 제도를 기습 침공하면서 전쟁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임.

영국군의 미미한 저항

  • 영국군의 규모: 현장에 있는 영국군은 고작 100여명의 해병대 코만도로 구성됨.
  • 충돌의 결과: 아르헨티나군과의 미미한 충돌 후, 영국군은 즉시 항복함.
  • 항복의 이유: 아르헨티나군의 압도적인 전력 차이로 인해 저항이 불가능했음.

포로의 굴욕적인 상황

  • 포로 상황: 포로로 잡힌 해병들의 굴욕적인 사진이 영국인들의 여론에 큰 영향을 미침.
  • 사진의 내용: 포로들은 범죄자처럼 엎드리게 해놓은 상태로 촬영됨.
  • 여론의 반응: 이러한 사진은 영국 내에서 큰 논란을 일으키고, 여론을 자극하는 계기가 되었음.

총독 렉스 헌트의 항복

  • 총독의 지시: 렉스 헌트 경은 영국군에게 무기를 내려놓으라는 지시를 내림.
  • 아르헨티나 사령관에게 요구: 영국 영토를 무단으로 침입하고 있으니 즉각 퇴거할 것을 요구함.
  • 체포 및 추방: 아르헨티나 군대는 헌트 경을 체포하여 우루과이로 추방함.

헌트 경의 복귀

  • 전쟁 종료 후: 헌트 경은 포클랜드 전쟁이 끝난 후에 다시 총독으로 부임함.
  • 복귀의 의미: 그의 복귀는 전쟁의 결과와 영국의 입장을 반영하는 중요한 사건임.

아르헨티나의 전략적 계산

  • 전략적 판단: 아르헨티나는 무력으로 강경하게 실효점유를 시작하면 영국이 협상에 임할 것이라고 생각함.
  • 영국의 반응 예측: 영국이 포클랜드를 수복하기 위해 재정적 소모를 감수하기보다는 협상에 나설 것이라는 판단을 내림.

국제사회의 예측

  • 국제사회의 관측: 국제사회에서도 영국이 외교적인 항의 정도만 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음.
  • 전반적인 반응: 이러한 예측은 아르헨티나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반응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임.

영국의 각료들의 전쟁 반응

  • 회의 분위기: 암울한 분위기 속에서 열린 회의에서 일부 각료들은 아르헨티나와의 ‘협상’을 원했다.
  • 국방장관의 입장: 심지어 국방장관조차 전쟁을 원치 않았고, 사직하겠다고 밝혔다.
  • 미국의 태도: 영국의 가장 강력한 동맹국인 미국 역시 전쟁을 바라지 않았다.
    • 당시 미국은 남미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여러 독재 정권들을 보호하고 있었으며, 아르헨티나의 군사 정권도 그 중 하나였다.
  • 대처 총리의 반응: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이 대처 총리에게 직접 전화를 해 전쟁을 만류했으나, 대처는 단호히 거절하였다.
    • 인용: "다음에 미국이 알래스카를 침공당하거든 내가 그대로 말해주리다."

미국의 중재 노력

  • 미국의 외교적 입장: 미국은 아르헨티나의 군사 정권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자국의 동맹과 또 다른 동맹이 싸우는 상황을 원치 않았다.
  • 전쟁 회피의 필요성: 미국은 전쟁을 피하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으나, 영국의 강경한 입장으로 인해 상황은 복잡해졌다.
  • 전략적 고려: 미국은 남미에서의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아르헨티나의 군사 정권을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었다.

영국 해군의 강경 입장

  • 해군참모총장의 입장: 영국 해군참모총장 헨리 리치 제독은 “반드시 탈환해야 한다”고 고집하였다.
  • 경고의 내용: 리치는 “우리가 질질 끌며 조심조심하다 보면, 몇 달 내에 우리는 우리 말이 안 먹히는 다른 세상에 살고 있을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 군사적 긴장: 해군의 강경한 입장은 영국 정부의 전반적인 군사적 긴장감을 반영하고 있다.

마거릿 대처의 결단

  • 대처 총리의 성향: 당시 영국 총리는 철의 여인으로 불리는 마거릿 대처였다. 그녀는 보수당의 매파로 강경한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 영토 방어의 의지: 대처는 자국의 영토가 잠식되고 대외 영향력이 침해당하는 것을 좌시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였다.
  • 군에 명령: 즉시 포클랜드를 탈환할 것을 군에 명령하였다.

영국 국민의 분노와 반응

  • 국민의 감정: 아르헨티나의 일방적인 침공으로 자국 군인들이 굴욕적인 대우를 받았다는 소식에 영국 국민들은 분노하였다.
  • 전국적인 반응: 결국 영국 전역이 아르헨티나를 응징하자고 부르짖는 상황까지 이르렀다.
  • 경제적 위기: 당시 영국은 경제난과 내적 혼란이라는 위기 상황에 처해 있었으며, 영토 손실이 국민 정서와 국가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이 우려되었다.

포클랜드 제도의 지정학적 중요성

  • 지정학적 위치: 포클랜드 제도와 사우스 조지아 섬은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 남극 탐사 경로: 남극 탐사는 보통 칠레를 통해 접근하는데, 이 두 섬은 남미의 협조 없이도 남극 탐사를 가능하게 해준다.
  • 전략적 가치: 이 섬들은 영국의 군사적 및 경제적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해협 통제의 전략적 가치

  • 드레이크 해협의 중요성: 영국은 이 섬들 덕분에 칠레나 아르헨티나처럼 드레이크 해협을 오가는 선박들을 통제할 수 있다.
  • 대체 항로의 가치: 드레이크 해협은 파나마 운하가 차단될 경우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대체 항로의 가치를 지닌다.
  • 역사적 사례: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독일 동양함대가 영국 함대를 격파한 사건이 포클랜드 해전으로 이어졌다.

포클랜드 전쟁의 역사적 배경

  • 전쟁의 발단: 제1차 세계 대전 초기 중국 산동 반도에 배치된 독일 동양함대가 본국으로 귀환하기 위해 태평양을 횡단하였다.
  • 영국의 군사적 대응: 영국은 순양전함 2척을 포클랜드로 급파하였고, 결국 포클랜드 해전에서 독일 함대를 격파하였다.
  • 군사적 역사: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포클랜드 전쟁의 맥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포클랜드의 석유 자원 개발

  • 자원 개발의 중요성: 1970년대 이후로 개발하고 있는 포클랜드 인근의 석유 자원은 영국에게 중요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할 수 있다.
  • 전략적 자원: 석유 자원은 영국의 군사적 및 경제적 전략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영국의 강경 대응 이유

  • 침공의 선례: 포클랜드 침공을 그대로 놔두면, 각 지역에 가시처럼 알박아놓은 섬들을 상대 국가들이 무력으로 점거하는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선례가 될 것이다.
  • 강경 대응의 필요성: 영국 입장에서는 강경 대응할 이유가 충분하였으며, 이는 국가의 안전과 영토 방어를 위한 필수적인 조치로 여겨졌다.

대처의 전쟁 선택

  • 협상에 대한 오해: 레오폴도 갈티에리는 영국 측에서 협상을 청하여 자신에게 설설 길 것이라고 생각했으나, 마거릿 대처의 선택은 전쟁뿐이었다.
  • 전쟁의 불가피성: 대처는 상황을 고려할 때 전쟁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였다.

 

전쟁 발발과 영국의 결정

  • 대처 총리의 개전 결정: 대처 총리는 아르헨티나와의 전쟁을 개시하기로 결정하였다.
  • 외교관계 단절: 영국은 아르헨티나와의 외교관계를 즉시 단절하였다.
  • 전쟁 승인: 상원과 하원의 압도적인 지지를 바탕으로 전쟁이 승인되었다.
  • 작전 명칭: 포클랜드 탈환작전은 "코퍼레이트 작전(Operation Corporate)"으로 명명되었다.

영국과 아르헨티나의 군사력 비교

  • 영국군의 회의적 반응: 영국군 내에서도 원정 거리 등의 이유로 전쟁에 대한 회의적인 반응이 있었다.
  • 아르헨티나 공군의 전력: 1982년 당시 아르헨티나 공군은 미라주 III 전투기 20대, 전폭기 30대, A-4 스카이호크 공격기 60대를 포함하여 약 200여 대의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 해군의 현대적 전력 부족: 아르헨티나 해군은 현대적인 전력을 갖추지 못했으나, 영국 기동부대에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전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 영국 해군의 전투기 부족: 영국 해군은 경항공모함 두 척에서 발진하는 시해리어 수직이착륙 전투기 20여 대만을 보유하고 있었다.

영국 해군의 전투기 부족

  • 전투기 수의 한계: 영국 해군은 아르헨티나군의 공습에서 상륙부대를 보호할 수 있을지에 대한 자신감이 없었다.
  • F-4 팬텀 II와 중형 항모: 중형 항모 아크 로열이 있었더라면 아르헨티나 공군의 위협을 쉽게 물리칠 수 있었을 것이라는 가정이 있었다.
  • 아크 로열의 퇴역: 1979년 아크 로열의 퇴역으로 인해 영국의 함재기 대다수가 일선에서 물러나 아르헨티나가 영국을 우습게 보기 시작한 것이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대처 총리의 위기감: 대처 총리는 전쟁 개시 시 여러 척의 호위함정과 경항모의 손실까지도 각오하고 있었다.

전쟁 준비와 외교적 노력

  • 철저한 준비 필요성: 대규모 원정을 위해 더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
  • 정치적 목적: "정치적인 목적에서라도 포클랜드 탈환은 필요하며, 할 수 있다"는 제1해군경 헨리 리치 대장의 조언이 있었다.
  • 전투함 동원: 본토와 지브롤터에 있는 전투함을 모두 동원하고 상선까지 징발하여 전쟁이 시작되었다.
  • 단기전의 전략적 유리성: 영국은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점령이 길어질수록 불리해질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국제 사회의 지지 확보

  • 외교전 전개: 대처 총리는 국제 사회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한 외교전을 적극적으로 전개하였다.
  • UN 안보리 결의안: 아르헨티나의 침공 다음날, UN 안보리에서 아르헨티나를 침략자로 규정하며 즉각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 유럽 국가들의 수출 금지 조치: 유럽 국가들에게 대(對) 아르헨티나 수출 금지 조치를 유도하였다.
  • 미국의 지지 확보: 대처 총리는 미국의 지지를 얻어냈으며, 이는 아르헨티나와 영국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하는 상황에서 이루어졌다.

미국의 중재와 아르헨티나의 반응

  • 미국의 동맹 관계: 미국은 영국과 아르헨티나 모두와 동맹이었으며, 갈등이 전쟁으로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외교적 노력을 기울였다.
  • 알렉산더 메이그스 헤이그 2세의 중재: 당시 국무장관이었던 알렉산더 메이그스 헤이그 2세가 중재를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와 런던을 오갔다.
  • 중재안의 무산: 아르헨티나 군사 정권은 중재안인 '아르헨티나군이 철수한 후, 포클랜드 현지 주민들의 주민 투표로 귀속 국가를 결정한다'는 제안을 거부하였다.
  • 국민의 반응 우려: 아르헨티나 군사 정권은 철수 시 국민들이 외압에 굴복하는 것으로 여길까 우려하였다.

전쟁의 정당성과 국제적 반응

  • 아르헨티나의 침략 행위: 아르헨티나의 행동은 명백한 침략 행위로 간주되었다.
  • 국제 사회의 지원: 아르헨티나의 침략 행위로 인해 영국은 국제 사회의 지원을 쉽게 얻을 수 있었다.
  • 남미계 원주민의 거주지 아님: 포클랜드는 원래 남미계 원주민들이 사는 섬이 아니었으며, 아르헨티나의 무단 점령은 정당성을 결여하였다.
  • 영국의 동조: 제2차 중동전쟁과 같은 구린 구석이 없었기에 모든 국가가 영국에 동조하였다.

원정의 시작과 군사 행동

  • 원정의 거리: 북대서양의 영국에서 남대서양의 포클랜드까지의 원정은 거의 지구 반바퀴를 돌아가는 기나긴 여정이었다.
  • 모든 선박과 항공기 동원: 4월 중순에서 하순에 걸쳐 긁어모을 수 있는 모든 선박과 항공기가 동원되었다.
  • 호화 여객선의 징발: RMS 퀸 엘리자베스 2와 같은 호화 여객선까지 징발하여 병력을 수송하였다.
  • 군사 행동의 시작: 1956년 수에즈 전쟁 이후 오랜만에 본격적인 군사 행동에 나선 것이다.

영국군 편제 개요

  • 제3코만도여단 상륙 이전: 영국군의 편제와 관련된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 기동부대 및 전대: 다양한 기동부대와 전대의 명칭이 언급되며, 이들은 전투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제317기동부대: Task Force 317
    • 제317.0기동전대: Task Group 317.0
    • 제317.1기동전대: Task Group 317.1
    • 제317.8기동전대: Task Group 317.8
    • 제317.9기동전대: Task Group 317.9
    • 제324.3기동전대: Task Group 324.3

기동부대 및 전대 구성

  • 상륙 이후의 영국군 편제: 제5보병여단의 상륙 이후 영국군의 편제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설명한다.
  • 기동부대의 재편성: 상륙 작전 이후에도 기동부대와 전대의 역할이 지속적으로 중요함을 강조한다.
  • 전투 준비 상태: 각 기동부대는 전투 준비 상태를 유지하며, 작전 수행을 위한 훈련과 전략을 수립한다.

영국 지상군 및 해군

  • 영국 지상군: 영국의 지상군 편제와 그 역할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 영국 해군: 해군의 작전 및 지원 역할이 강조된다.
  • 전략적 협력: 지상군과 해군 간의 협력 관계가 전투에서의 성공에 기여함을 나타낸다.

영국 공군의 역할

  • 영국 공군: 공군의 작전 및 지원 역할에 대한 설명이 포함된다.
  • 항공 지원: 공군은 지상군과 해군의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항공 작전을 수행한다.
  • 전략적 중요성: 공군의 역할은 전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양국의 전략적 차이

  • 전략적 접근의 차이: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의 전략적 접근 방식의 차이를 설명한다.
  • 아르헨티나의 전략: 아르헨티나 대통령 레오폴도 갈티에리의 전쟁 전략이 언급된다.
    • 승리의 기대: 갈티에리는 승리할 경우 국가 영웅이 될 것이라 기대하였다.
    • 언론 통제: 패배하더라도 언론을 통제하여 국민을 속일 계획을 세웠다.
  • 영국의 현실적 접근: 영국은 전쟁을 진행하면서 현실을 냉정하게 바라보았다.

아르헨티나의 전쟁 전략

  • 갈티에리의 기대: 아르헨티나 대통령은 전쟁에서 승리할 경우의 이점을 강조하였다.
  • 언론 통제 계획: 패배하더라도 언론을 통해 국민을 속일 계획을 세웠다.
  • 외교적 무관심: 아르헨티나는 전쟁의 여파가 외교에 미칠 악영향을 고려하지 않았다.

영국의 외교적 대응

  • 대처 총리의 외교 노력: 마가렛 대처 총리는 칠레의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를 설득하기 위해 직접 방문하였다.
  • 전쟁의 정당성 설명: 대처는 영국의 상황과 전쟁의 정당성을 설명하며 피노체트를 설득하였다.
  • 영공 배치 허락: 피노체트로부터 칠레 영공에 영국 항공기를 배치할 수 있는 허락을 받았다.

대처의 외교적 노력

  • 우방국 설득: 대처는 미국을 포함한 우방국들을 돌며 아르헨티나의 기습 침공을 강조하였다.
  • 국제 사회의 반응: 주요 국가들은 영국 편을 들거나 중립을 지키게 되었다.
  • 아르헨티나의 고립: 최소한 아르헨티나 편을 들지 않도록 국제 사회의 반응이 형성되었다.

패러켓 작전 개시

  • 영국군의 반격 개시: 4월 말에 영국군이 반격을 개시하였다.
  • 작전 명칭: 이 작전은 "패러켓 작전(Operation Paraquet)"으로 명명되었으며, 사우스조지아 섬 탈환이 목표였다.
  • 군사적 의미: 군사적 의미는 크지 않지만, 상징적 의미에서 중요한 임무로 결정되었다.
  • SAS의 정찰 계획: 본격적인 작전 개시 전, SAS를 파견하여 아르헨티나군의 규모를 정찰할 계획이 수립되었다.

SAS의 초기 작전과 실패

  • 정찰 방법: SAS 대원들은 해군 대잠용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포투나 빙하에 상륙할 계획이었다.
  • 아르헨티나군의 예측: 이 작전의 이유는 아르헨티나군이 빙하를 가로질러 침투할 것을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 조종사들의 반응: 해군 조종사들은 작전 내용을 듣고 비아냥거림을 보였으며, "차라리 폴라리스 미사일을 날리는 게 더 빠를걸요"라고 말했다.
  • 작전 실패: SAS 대원들은 4월 21일에 빙하에 도착했으나, 악천후로 인해 22일에 임무를 포기하고 귀환을 요청하였다.

헬리콥터 사고와 구조 작전

  • 헬리콥터 손실: 귀환 헬리콥터 중 2기가 악천후로 인해 눈밭에서 굴러 손실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 구조의 필요성: SAS 대원들과 승무원들이 밤새 얼어죽을 위험에 처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필요하였다.
  • 이언 스탠리 소령의 활약: 유일하게 남은 웨식스 대잠헬기 조종사인 이언 스탠리 소령이 영웅적인 활약을 펼쳤다.
    • 세 번의 시도 끝에 날이 저물기 직전 포투나에 착륙하였다.
    • 제한 중량을 1,000kg 초과하여 모든 대원들을 태우고 귀환에 성공하였다.
  • 수훈장 수여: 스탠리 소령은 그 공로를 인정받아 **전후 수훈장(DSO)**을 받았다.

영국군의 재침투와 관측소 설치

  • 재침투 작전: 하루 뒤, SAS와 SBS는 보트를 타고 다시 사우스조지아 섬에 침투하였다.
  • 관측소 설치: 이번에는 아르헨티나군이 주둔 중인 리스 인근에 관측소를 설치하였다.
  • 아르헨티나군의 규모: 관측된 아르헨티나 수비대는 소규모로, 탈환작전에는 문제가 없어 보였다.
  • 잠수함의 위협: 영국군은 아르헨티나 해군의 구형 발라오급 잠수함 산타페가 사우스조지아로 향한다는 첩보를 입수하였다.

산타페 잠수함의 위협

  • 산타페의 동향 추적: 영국 해군은 산타페의 동향을 추적하기로 결정하고, 작전을 연기하였다.
  • 입항 가능성 판단: 모든 정보를 취합한 결과, 산타페가 아르헨티나군이 주둔 중인 그리트비켄이나 리스 중 하나로 입항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 헬기 수색 작전: 24일부터 그리트비켄을 헬기로 샅샅이 훑기 시작하였다.
  • 잠수함 포착: 25일 아침, 웨식스 헬기의 레이더로 잠수함을 포착한 이언 스탠리 소령은 폭뢰공격을 가하였다.

산타페 공격과 영국군의 승리

  • 산타페의 피해: 폭뢰공격으로 산타페의 밸러스트 탱크가 모두 파괴되어 잠항능력을 상실하였다.
  • 영국군의 공격: 영국군 헬기들이 기관총탄과 대전차미사일을 날려대며 산타페를 공격하였다.
  • 좌초 사건: 산타페는 최후의 수단으로 그리트비켄 항구로 돌진하여 해안에 좌초하였다.
  • 항복: 영국 해병대와 특수부대가 함포사격을 등에 업고 그리트비켄으로 쫓아오자, 산타페의 수비대원들은 항복하였다.

사우스조지아 섬 탈환

  • 항복 문서 서명: 317.9 전단 지휘관 브라이언 영 대령은 항복 문서에 서명하였다.
  • 영국 국기 게양: "사우스 조지아의 그리트비켄에 영국 국기와 해군기가 펄럭이고 있음을 여왕폐하께 아룁니다."라는 전문을 본국에 보내 낭보를 알렸다.
  • 리스의 항복: 다음날, 리스의 아르헨티나군이 교전 없이 항복하면서 아르헨티나군의 짧았던 사우스조지아 지배는 영국군의 무혈점령으로 끝났다.

블랙 벅 작전의 시작

  • 전쟁의 시작: 본격적인 전쟁은 5월 1일에 시작되었다.
  • 작전 목표: 이날 영국군은 아르헨티나군이 포클랜드의 비행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활주로에 폭격을 가하는 "블랙 벅 작전(Operation Black Buck)"을 시행하였다.
  • 작전 단계:
    1. 1단계: 아브로 벌컨 폭격기가 동원되었다.
    2. 2단계: 함재기 시해리어가 동원되었다.
    3. 3단계: 함포사격이 대미를 장식하였다.
  • 장거리 비행 기록: 대서양 어센션 섬에서 발진한 벌컨 폭격기가 왕복 7천km를 날아갔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블랙 벅 작전의 전투 결과

  • 폭격 목표: 블랙벅 작전의 구체적인 목표는 활주로 중앙을 폭격하여 일시적으로 파괴하는 것이었다.
  • 명중률 계획: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 폭격 코스를 활주로와 비스듬한 방향으로 잡았다.
  • 폭탄 투하 결과: 투하한 폭탄들은 대부분 빗나가거나 활주로 가장자리에 떨어졌지만, 1발이 명중하였다.
  • 아르헨티나군의 심리적 영향: 블랙벅 작전은 아르헨티나군의 심리를 강타하여, 아르헨티나군이 미라주 III 전투기들을 본토 방공 임무로 전환하게 만들었다.

원자력 잠수함과 해상 교전

  • 날짜 및 사건: 1982년 5월 2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최초의 극적인 해상 교전이 발생하였다.
  • 주요 군함: 영국 해군의 HMS 컨커러가 아르헨티나 해군의 헤네랄 벨그라노를 Mk 8 어뢰로 격침하였다.
  • 교전의 중요성: 이 사건은 원자력 잠수함의 실전 격침 첫 사례로 기록되며, 이후의 해상 전투에 큰 영향을 미쳤다.

HMS 컨커러의 배경

  • 함선 정보: HMS 컨커러는 처칠급 원자력 잠수함의 3번함으로, 1969년 진수되고 1971년 취역하였다.
  • 기능 및 역할: 이 잠수함은 영국 해군의 중요한 공격 원잠으로, 해상 작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헤네랄 벨그라노의 역사

  • 함선 정보: 헤네랄 벨그라노는 미국의 브루클린급 경순양함 **USS 피닉스(CL-46)**에서 파생된 군함이다.
  • 전후 배경: 이 군함은 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미국과 남미 국가 간의 상호 방어 지원 프로그램에 따라 아르헨티나 해군에 인도되었다.

교전 전개와 전략적 상황

  • 발견 및 추적: HMS 컨커러는 1982년 4월 30일 포클랜드 섬 남서쪽 바다에서 헤네랄 벨그라노를 발견하고 조용히 추적하였다.
  • 위험 요소: 당시 아르헨티나의 유일한 항공모함인 베인티싱코 데 마요가 포클랜드 섬 북쪽에서 접근하고 있었으므로, 영국 함대는 남북으로 협공당할 위험이 있었다.
  • 기상 문제: 아르헨티나 항공모함은 기상 문제로 공격을 포기하고 철수하였고, 이로 인해 헤네랄 벨그라노도 공격을 포기하고 서쪽으로 방향을 돌렸다.

우드워드 제독의 명령

  • 명령 발신: GMT 5월 2일 0710시경, 우드워드 제독은 영국 본토의 잠수함사령부를 무시하고 **"발신 317.8기동전대 사령관, 수신 컨커러, 긴급 – 벨그라노 전단을 공격하라."**라는 전문을 통신위성에 업로드하였다.
  • 명령 삭제: 해군본부는 이 명령이 월권행위임을 인지하고 즉각 전문을 삭제하였으나, 우드워드 제독의 의도를 파악하였다.

벨그라노의 격침과 결과

  • 격침 시점: 컨커러는 GMT 17:00시에 잠망경 심도로 부상하여 변경된 교전수칙을 수신한 후, 5월 2일 오후 6시경 헤네랄 벨그라노에 어뢰를 발사하였다.
  • 격침 결과: 헤네랄 벨그라노는 두 발의 어뢰에 피격되어 20분 만에 침몰하였고, 323명의 승조원이 전사하였다.
  • 구조 작전: 침몰 당시 기상 악화로 인해 구조 신호를 받지 못한 호위 구축함들이 있었다.

벨그라노의 역사적 의의

  • 해군 전력의 변화: 아르헨티나 해군의 대부분이 포클랜드 해역에서 철수하게 되었고, 영국은 제해권과 제공권을 확보하게 되었다.
  • 전투의 결과: 이 사건으로 인해 영국은 포클랜드 섬을 공략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고, 아르헨티나군은 영국 해군에 제대로 된 피해를 줄 수 없었다.

정치적 논란과 여파

  • 논란의 시작: 영국 정부의 결정은 정치적 논란을 일으켰으며, Tam Dalyell 의원은 공격이 의도적으로 사태를 확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 대처 총리의 반응: 마거릿 대처 총리는 공격 명령에 대한 비난에 대해 **"우리 해군 애들을 지키기 위해서 함대에 위협이 되는 적함을 격침시켰다고 총리가 비난을 받는 나라는 영국뿐일 것 같다."**고 반박하였다.

결론과 후속 논의

  • 논쟁의 종결: 벨그라노 격침은 현장 지휘관의 의사와 총리의 군사 조언가의 권고를 수용한 결과로, 아르헨티나 정부도 이 사건이 적법한 전시행위임을 인정하였다.
  • 후속 연구: 이 사건은 군사 역사에서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으며, 원자력 잠수함의 실전 격침 사례로 여전히 주목받고 있다.

현재까지의 의미

  • 유일한 사례: 컨커러의 헤네랄 벨그라노 격침은 2023년 현재까지도 교전 상황에서 원자력 잠수함이 어뢰로 군함을 격침한 유일한 사례로 남아있다.

셰필드 쇼크의 배경

  • 셰필드 쇼크는 1982년 5월 4일 아르헨티나 해군의 반격을 의미한다.
  • 이 사건은 해전사에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를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 아르헨티나군의 쉬페르 에탕다르 공격기 엑조세 미사일을 사용하여 영국 해군의 HMS 셰필드를 격침시켰다.
  • 이 사건은 전투의 양상과 해군 작전의 전략적 접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르헨티나의 공격 준비

  • 아르헨티나 본토에서 출격한 SP-2H 넵튠 해상초계기는 영국 함대의 위치를 탐지하기 위해 생존자 수색 작전을 수행하였다.
  • 이 초계기는 영국 해군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기만 작전을 사용하였다.
  • 영국 해군은 세 시간 가까운 정찰 비행 동안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 이후 쉬페르 에탕다르 두 기가 영국 함대의 남서쪽에서 저공으로 침투하여 공격을 감행하였다.

엑조세 미사일의 발사

  • 쉬페르 에탕다르는 수평선 아래에서 28해리 거리까지 접근한 후 레이더로 영국 함정의 위치를 파악하였다.
  • 이 공격에서 엑조세 미사일 두 발이 발사되었으며, 영국 기동부대의 42형 구축함을 목표로 하였다.
  • 글래스고 코벤트리는 미사일 접근을 감지하고 채프를 살포하여 회피하였으나, 셰필드는 피해를 입었다.
  • 미사일이 셰필드의 전투정보실에 명중하여 주요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

셰필드의 피해와 구조 작업

  • 이 공격으로 셰필드의 총원 281명 중 20명이 전사하고, 26~63명이 부상하였다.
  • 다행히도 함 내 탄약고의 폭발은 피할 수 있었고, 배는 한동안 물 위에 떠 있었다.
  • 부상자는 HMS 허미즈로 이송되었고, HMS 애로우 HMS 야머스가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출동하였다.
  • 생존자들은 MV 브리티시 에스크호에 탑승하여 어센션 섬으로 이송되었다.

영국 해군의 조사와 결과

  • 영국 해군은 피격 사건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고, 주요 승조원들이 CIC에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SCOT 위성 통신 장비의 신호가 레이더와 유사하여, ESM 장비 UAA-1이 잘못된 경고를 발생시켰다.
  • 5월 4일 하루에만 3, 4번의 가짜 경보가 울렸고, 실제 공격 시에는 경고가 오보로 판단되었다.
  • 작전실 근무 요원들은 피격 당시 전멸하였고, 조사 결과 대공전 장교가 책임을 지게 되었으나 정치적 이유로 군법회의 회부는 피하였다.

셰필드의 최종 침몰

  • 셰필드는 영국으로 예인 중에 침수되어 5월 10일에 최종 침몰하였다.
  • 이 사건은 영국 해군의 작전과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셰필드의 침몰 사실은 아르헨티나가 영국 언론을 통해 알게 되었다.
  • 아르헨티나군은 전쟁 초반에 장거리 정찰이 가능한 기종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였다.
  • 조종사들의 증언이 신뢰도가 낮아, 전투 결과를 정확히 알기 어려웠다.

아르헨티나의 정보 부족

  • 아르헨티나군의 부족한 면모는 군대 조직이 남미 패권 다툼을 위해 구성되었기 때문이다.
  • 고속 장거리 전폭기 재급유기가 부족하여, 국경 지역의 소규모 분쟁에 대비한 시스템이 구축되었다.
  • 아르헨티나가 보유한 쉬페르 에탕다르 엑조세는 각각 5기와 5발에 불과하였다.
  • 전황을 뒤집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자원으로, 영국군의 상륙 이후 상황은 더욱 악화되었다.

엑조세 미사일의 군사적 영향

  • 엑조세는 셰필드 격침 전과를 기록하며 대함 공격 수단으로 각광받았다.
  • 기존의 방공함들은 저고도 방공능력이 취약하였고, 엑조세는 이 약점을 정확히 찌른 것이다.
  • 이 사건은 시스키밍 대함 미사일의 위력을 보여주었으며, '셰필드 쇼크' 또는 **'엑조세 쇼크'**로 불리게 되었다.
  • 이후 군함 건조에서 저고도 방공 능력 CIWS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었다.

셰필드 쇼크의 의의

  • 셰필드 쇼크는 해전의 전술적 변화와 해군 작전의 전략적 접근 방식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이 사건은 군사적 기술 발전과 전투 전략의 재조명을 촉발하였다.
  • 저고도 방공 능력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으며, 이는 이후 군사 작전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았다.
  • Always Look on the Bright Side of Life의 가사를 부르며 침몰한 셰필드의 승조원들은 이 사건의 아이러니를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폭풍전야의 전투 준비

  • 전투 배경: 헤네랄 벨그라노와 셰필드의 격침 사건 이후, 양측은 5월 8일까지 기상 상황이 악화되면서 휴지기를 가졌다.
  • 탐색전 재개: 5월 9일부터 영국의 포클랜드 공격에 대비하여 탐색전을 다시 시작하였다.
  • 정보 수집 작전: 아르헨티나 해군의 정보수집함 나르왈이 영국 함대를 정찰하던 중 시해리어에 포착되어 격침당하였다.
  • 공중 전투: 영국의 코벤트리-브로드소드 42-22 콤보가 아르헨티나의 스카이호크와 퓨마 헬기에 대해 미사일 공격을 가하여 퓨마 헬기를 격추하였다.

영국 해군의 정찰 작전

  • 정찰 필요성: 5월 10일 밤, 영국 기동함대는 포클랜드 해안을 면밀히 정찰할 필요가 있었다.
  • 명령의 위험성: HMS 얼래크리티에게 기뢰 여부를 확인하라는 명령이 내려졌으며, 이는 호위함의 격침 위험을 동반한 위험한 임무였다.
  • 임무 수행: 얼래크리티는 기뢰 대신 아르헨티나 해군 수송함 이슬라 데 로스 에스타도스를 발견하고 포격하여 가라앉혔다.
  • 전투의 긴장감: 이 임무는 지휘관 우드워드 제독의 결단으로 이루어졌으며, 상륙작전 수행을 위한 필수적인 조치였다.

아르헨티나 잠수함의 공격 실패

  • 산 루이스의 매복: 5월 11일, 아르헨티나의 209급 잠수함 산 루이스가 영국 기동함대의 이동 경로에서 매복하고 있었다.
  • 어뢰 발사 시도: 산 루이스는 SST-4 대수상함용 중어뢰 두 발을 발사하였으나, 기술적 문제로 인해 한 발은 발사되지 않았고 다른 한 발은 유도 와이어가 끊어졌다.
  • 결과: 어뢰는 영국의 호위함 대신 닉시 예인기만을 타격하게 되었고, 영국 함정들은 이 사실을 인지하지 못하고 놀라움을 금치 못하였다.
  • 임무의 혼란: 얼래크리티와 애로우는 본대로 돌아와서야 닉시가 사라진 사실을 깨달았다.

스카이호크와 영국 함정의 전투

  • 공중 전투 발발: 5월 12일 새벽, 글래스고-브릴리언트의 42-22 콤보와 스카이호크 공격기 간의 전투가 시작되었다.
  • 첫 번째 제파의 격추: 저공침투하는 스카이호크 세 대는 브릴리언트의 시울프 대공미사일에 의해 모두 격추되었다.
  • 두 번째 제파의 공격: 두 번째 제파의 공격 시, 글래스고의 시다트가 기계고장으로 사격을 하지 못하였고, 브릴리언트의 시울프도 발사에 실패하였다.
  • 결과: 두 함정은 스카이호크 네 대의 폭탄 공격을 받았으나, 다행히 글래스고는 불발탄 한 발만 관통당하였다.

SAS의 페블 섬 작전

  • 야전비행장 개설: 아르헨티나 공군은 페블 섬에 야전비행장을 개설하고 푸카라 경공격기와 스카이밴 수송기를 운용하고 있었다.
  • 위험 요소: 페블 섬은 상륙예정지점인 산카를로스와 가까워 공습의 위험이 컸다.
  • SAS의 개입: SAS는 페블 섬 비행장을 파괴하기 위해 8명으로 구성된 정찰조를 침투시켰다.
  • 작전 성공: 14일 밤-15일 새벽에 48명의 SAS 대원들이 비행장을 급습하여 푸카라 경공격기 6대와 스카이밴 수송기 1대, T-34C 훈련기 4대를 폭파하였다.

상륙전단의 포클랜드 합류

  • 상륙전단 출발: 5월 18일, 어센션 섬에서 출발한 상륙전단이 포클랜드 해역에서 기동함대와 합류하였다.
  • 해리어 부대의 합류: 영국 공군의 해리어 부대와 헬기를 실은 Ro-Ro 수송선 아틀란틱 컨베이어가 포함되어 있었다.
  • 작전 손실: 해리어 숫자가 17대까지 줄어들어 임무 수행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아틀란틱 컨베이어의 합류는 큰 도움이 되었다.
  • 상륙 준비: SAS와 SBS 정찰대원들이 주요 관측지점에 투입되어 관측소를 구축하고, 지상군 병력도 수송함에 분승하여 상륙 준비를 마쳤다.

상륙작전 준비 완료

  • 상륙작전의 중요성: 포클랜드 전쟁의 승패를 좌우할 상륙작전이 눈앞으로 다가왔다.
  • 관측소 구축: SAS와 SBS 정찰대원들이 주요 관측지점에 투입되어 관측소를 구축하였다.
  • 지상군 병력 수송: 지상군 병력도 수송함에 분승하여 상륙 준비를 완료하였다.
  • 작전의 긴장감: 상륙작전의 성공 여부가 전쟁의 향방을 결정짓는 중요한 시점이었다.

산 카를로스 만 상륙전 시작

  • 상륙전 시작일: 5월 21일, 영국군이 동포클랜드 서북쪽의 산 카를로스만에 상륙함으로써 본격적인 지상전이 시작되었다.
  • 목표: 영국 해병대 제3코만도 여단과 영국 육군 제5보병여단이 포트 스탠리를 목표로 하여 작전을 수행하였다.
  • 상륙 작전의 중요성: 이 상륙작전은 포클랜드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영국군의 지상전 개시를 알리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아덴트함 피격과 영국 해군의 전략

  • 상륙 전략: 영국 기동부대는 엑조세 미사일의 위협을 피하기 위해 삼면이 구릉으로 둘러싸인 산 카를로스를 상륙해안으로 선택하였다.
  • 피해 상황: 저공 비행하는 FAA 전투기들을 발견하지 못해, 해협 안으로 진입한 전투함 일곱 척 중 네 척이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HMS 아덴트는 침몰하였다.
  • 전략적 결과: 아르헨티나 조종사들이 상륙함 대신 호위함정에 공격을 집중함으로써, 상륙부대는 큰 피해 없이 해안 교두보를 형성하는 데 성공하였다.

포클랜드 대거와 공중전

  • 아르헨티나의 대응: 영국 기동부대의 상륙 시도가 포착되자, 아르헨티나 공군과 해군항공대는 본토에서 63소티, 포클랜드에서 12소티를 발진하여 총 75소티로 대응하였다.
  • 손실: 21일 하루에만 대거 5대, 스카이호크 5대, 푸카라 경공격기 2대를 잃는 엄청난 타격을 입었으며, 이후 이 날의 출격량을 회복하지 못하였다.
  • 무력화된 전투기: 게릴라 작전에는 유용한 푸카라와 아에르마키가 현대전에서는 무력하게 되었고, 블로우파이프 같은 휴대용 대공 미사일에 제압당하였다.

HMS 안텔로프의 폭발과 손실

  • 기상 상황: 22일 하루 동안 소강상태를 보인 포클랜드 항공전은 23일부터 다시 격렬해졌다.
  • 아르헨티나의 공격: 아르헨티나 공군은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격렬한 공격을 감행하였고, 이 과정에서 대거와 스카이호크 한 대씩을 잃었다.
  • HMS 안텔로프의 폭발: 불발탄에 맞은 HMS 안텔로프가 폭탄 해체 시도 도중 신관이 작동하여 격침되었으며, 시해리어 한 대도 추락하였다.
  • 손실 비교: 24일 아르헨티나군의 공습이 이어졌으나, 영국 해군의 손실은 전무한 반면 아르헨티나군은 대거 세 대와 스카이호크 한 대를 추가로 잃었다.

아르헨티나 독립기념일의 공격

  • 기념일 공격: 5월 25일 아르헨티나 독립기념일을 맞아 아르헨티나군은 쉬페르 에탕다르를 동원하여 영국 함대 본진에 2발의 엑조세 미사일을 발사하였다.
  • 영국군의 대응: 이번에는 영국군이 제대로 탐지하고 즉시 대응하였으며, 본대는 타격을 입지 않았으나 아틀란틱 컨베이어에 1발이 명중하였다.
  • 결과: 아틀란틱 컨베이어는 적재된 헬기들과 함께 가라앉으면서 헬리콥터를 이용한 대규모 상륙작전이 힘들어졌고, 아르헨티나군은 심각한 보급난을 겪고 있었다.

코벤트리함의 격침

  • 공격의 전개: 아르헨티나군의 공습이 계속되었고, 코벤트리-브로드소드 콤보가 공격을 받았다.
  • 전투 시스템 오류: 브로드소드의 대공 레이더가 아르헨티나군 스카이호크를 잘못 인식하여 공격에 실패하였다.
  • 격침 결과: 코벤트리는 1000파운드 폭탄 세 발을 맞고 침몰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19명이 사망하고 170명이 구조되었다.
  • 영국 해군의 손실: 이는 포클랜드 전쟁에서 영국 해군의 마지막 대형함 손실로 기록되었다.

구스 그린 전투와 영국군의 승리

  • 전투 개시: 5월 28일, 제3코만도여단 주력이 포트 스탠리 서북쪽의 틸 인렛으로 기동하는 동안 제2공수대대는 구스 그린에서 아르헨티나군과 전투를 벌였다.
  • 피해 상황: 영국군은 전사 18명, 부상 64명에 반해 아르헨티나군은 전사 45명, 부상자 121명, 961명이 포로로 잡혔다.
  • 아르헨티나군의 항복: 아르헨티나 육군은 전투에서 패하고 지친 상태에서 구르카병들이 온다는 소문에 항복하였다.
  • 전투력 문제: 구스 그린의 아르헨티나 육군 병사들은 신병들로 전투력과 사기가 의심스러웠으며, 쉽게 항복하였다.

아르헨티나군의 보급난과 전투력

  • 제해권 장악: 영국이 제해권을 장악한 이상, 추가 지원이 없는 아르헨티나군은 질 수밖에 없었다.
  • 보급 문제: 아르헨티나군은 포클랜드에 보병을 1만여 명 수송했으나, 제해권을 잃으면서 후속 보급이 매우 힘들어졌다.
  • 탄약 부족: 개인 화기조차 탄약 부족에 허덕이고 있었으며, 이는 전투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보급의 중요성: 서경석 퇴역 장군은 보급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군의 방한 장비 부족을 사례로 들었다.

아르헨티나군 조종사들의 활약

  • 조종사들의 임무: 아르헨티나군 수송부대 조종사들은 영국군이 제공권을 장악한 상황에서도 보급 및 부상자 후송 임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였다.
  • 위험한 비행: 조종사들은 한밤중에 악천후를 뚫고 호위기도 없이 임무를 수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영웅 칭호를 받을 만한 활약을 하였다.
  • 격추 사례: 아르헨티나군의 C-130이 초계 중이던 해리어에게 격추되는 사건도 발생하였다.

엑조세 미사일의 발사 시도

  • 상황 설명: 아르헨티나군은 상륙을 저지하는 데 실패하고 지상전에서도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된다.
  • 최후의 수단: 아르헨티나군은 전세를 되돌리기 위해 마지막 엑조세 미사일 1발을 사용하여 영국의 항공모함을 격침시키려 시도한다.
  • 작전의 가능성: 엑조세 단 한 발로 항공모함을 가라앉히는 것은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 공중 지원: 해군항공대의 스카이호크가 엑조세의 발사 궤적을 따라 공격하여 항공모함에 추가적인 타격을 가하는 작전이 수립된다.

공중 지원 작전의 계획

  • 작전 계획: 5월 30일, 리오 그란데 공군기지에서 이륙한 쉬페르 에탕다르 2기가 공중급유를 받은 후 포클랜드 제도 남쪽으로 우회하여 영국 항모의 예상 위치로 접근한다.
  • 타겟 선정: 레이더상에 나타난 세 척 중 가장 크게 보이는 표적을 향해 엑조세 한 발을 발사한다.
  • 스카이호크의 역할: 스카이호크 4기 편대가 엑조세의 로켓모터 연기를 따라 영국 함대로 돌진하여 공격을 감행한다.
  • 작전의 복잡성: 이 작전은 아르헨티나군의 공격을 지원하기 위한 복잡한 계획이었음을 나타낸다.

영국 해군의 방어 전략

  • 영국 해군의 배치: 아르헨티나군의 예상과 달리, 우드워드 제독은 항모 두 척을 완전봉쇄구역 한참 외곽에 배치하였다.
  • 호위전대 구성: 영국 해군 함정들은 항공모함이 아니라 HMS 엑세터, HMS 안드로메다, HMS 어벤저로 이루어진 호위전대였다.
  • 기동부대의 우위: 아르헨티나군은 여전히 기동부대에 비해 훨씬 대규모의 항공전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영국 해군의 전략적 배치로 인해 공격이 어려워졌다.
  • 정보의 중요성: 아르헨티나군은 영국 해군의 배치에 대한 정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다.

아르헨티나군의 정보 부족

  • 정찰기의 상태: 아르헨티나군의 SP-2H 넵튠 해상초계기는 심한 노후화로 인해 비행 중 공중분해될 우려가 있어 5월 하순부로 비행 임무에서 해제되었다.
  • 정보 수집의 실패: 이로 인해 아르헨티나군은 영국 해군의 실제 배치 상황을 알아챌 방법이 없었다.
  • 전략적 실수: 정보 부족은 아르헨티나군의 공격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나타낸다.
  • 결과의 중요성: 정보의 부족은 전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엑조세 미사일의 실패

  • 영국 해군의 대응: 영국 해군 호위전대는 레이더 탐지를 위해 잠시 상승한 쉬페르 에탕다르를 포착하고 즉시 채프를 살포하여 기만 및 회피 작전을 수행하였다.
  • 엑조세의 실패: 엑조세는 채프에 속아 아무 피해도 입히지 못하고 먼 수평선을 향해 사라졌다.
  • 공격의 결과: 아르헨티나군의 절박한 시도는 아무 전과도 올리지 못한 채 완전한 실패로 돌아갔다.
  • 전투의 교훈: 이 사건은 전투에서의 정보와 기만 작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스카이호크의 공습 시도

  • 공습의 시도: 엑조세 공격에 뒤이어 스카이호크 4기 편대가 기동부대를 공습하기 위해 결사적으로 날아들었다.
  • 격추 사건: HMS 엑세터에게 두 기가 격추당하고 남은 두 기가 투하한 폭탄도 모두 빗나갔다.
  • 영국 해군의 방어 능력: HMS 엑세터는 1022형 대공레이더를 탑재하고 있어 저공목표 탐지능력이 향상되었다.
  • 결과의 분석: 아르헨티나군의 공격은 영국 해군의 방어 능력에 의해 무력화되었다.

아르헨티나군의 허위 주장

  • 주장 내용: 아르헨티나군은 "이번에 발사한 엑조세가 인빈시블에 명중했다!"라고 발표하였다.
  • 영국의 반응: 영국은 즉시 아르헨티나군의 주장을 일축하였으나, 작전보안상 증거를 제시하지 않았다.
  • 정보의 왜곡: 이로 인해 한동안 아르헨티나 측의 발표대로 인빈시블이 손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지기도 하였다.
  • 언론의 침묵: 아르헨티나군이 처음 엑조세 공격의 성공을 보도했던 영국 언론은 이번에는 침묵하였다.

앤드루 왕자의 위험한 상황

  • 왕자의 임무: 마지막 공격 당시에 시킹 헬리콥터 조종사로 근무 중이던 앤드루 왕자가 엑조세 기만용 채프 살포 임무를 받고 인빈시블의 갑판 위에 있었다.
  • 위험 요소: 만약 공격이 실제로 성공했다면 앤드루 왕자는 생존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다.
  • 전투의 인물: 앤드루 왕자의 존재는 전투의 긴박함을 더욱 부각시킨다.
  • 역사적 맥락: 이 사건은 전투의 개인적 측면을 강조하며, 전투의 결과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영국군의 포클랜드 전투 시작

  • 전투 시작일: 5월 31일, 영국군은 포트 스탠리를 내려다보는 켄트 산을 탈취하였다.
  • 전략적 목표: 아르헨티나 지상군 주력을 포위할 준비를 갖추었다.
  • 방어군 이동: 이 지역을 방어하던 12보병연대 병력 대부분이 구스 그린으로 이동한 후, 방비가 허술하다는 보고가 있었다.
  • 영국 해병의 작전: SAS 정찰대원들의 보고를 바탕으로 영국 해병 42코만도 K중대가 헬기로 강습하여 아르헨티나군의 허를 찌른 것이다.

아르헨티나의 국제적 고립

  • UN의 제안: UN은 아르헨티나군에게 포클랜드에서 철수할 것을 제안하였으나, 아르헨티나는 이를 거부하였다.
  • 아르헨티나의 인식: 아르헨티나는 자신들을 남미가 아닌 서방 백인 국가로 생각하고 있었다.
  • 지원 요청: 전세가 기울자 아르헨티나는 다른 중남미 국가들의 지원을 요청하였으나, 대부분의 국가들은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침공을 비난하거나 지원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 칠레의 태도: 아르헨티나와 사이가 좋지 않은 칠레는 영국에 영공을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였다.

영국군의 상륙 작전과 피해

  • 상륙 작전 날짜: 6월 8일, 영국 육군 웨일스 근위연대 1대대가 상륙 작전을 펼쳤다.
  • 항공 호위 부족: 상륙 작전 당시 항공 호위가 부실한 상태였다.
  • 피해 상황: 상륙함 (LSL) 2척이 아르헨티나의 A-4 공격기에 의해 심한 피해를 입었다.
  • 특정 상륙함 피해: 3천톤급 RFA 서 갤러해드는 탄약 유폭으로 전소되어 18일 후 침몰하였다.

아르헨티나군의 전술과 대응

  • 민항기 사용: 아르헨티나군은 급히 차출한 민항기로 이루어진 미끼 부대를 사용하여 영국의 해리어들을 농락하였다.
  • 오인 공격: 민항기를 영국제 B-108 캔버라 폭격기로 오인하게 만들어, 아르헨티나의 A-4 공격기에 큰 도움이 되었다.
  • 후속 공격: 아르헨티나 공군은 후속 편대를 발진시켜 추가 공격을 실시하였으나, 2차 공격대의 A-4는 영국군 해리어들에게 AIM-9L 미사일에 맞고 격추당하였다.
  • 전술적 효과: 민항기를 이용한 전술은 피로도를 쌓는 효과가 있었고, 저공 침투하는 A-4에게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영국군의 최후 공세와 전투

  • 공세 시작일: 6월 11일, 영국군의 최후 공세가 개시되었다.
  • 칠레 영공 활용: 영국군은 개방된 칠레 영공을 마음대로 날아다니며 작전을 수행하였다.
  • 아르헨티나의 방어선: 아르헨티나군은 포트 스탠리의 4개 방어선, 특히 롱돈(Longdon) 산에서 의외로 분투하였다.
  • 롱돈 방어선의 붕괴: 6월 12일, 롱돈 방어선이 뚫리면서 전세가 기울었다.

롱돈 산 전투와 아르헨티나의 패배

  • 마지막 방어선: 아르헨티나군의 마지막 방어선은 텀블다운 산 와이어리스 능선이었다.
  • 전투 기간: 6월 13일~14일 이틀 동안 텀블다운 산과 그 주변에서 전투가 벌어졌다.
  • 영국군의 전투 배치: 5보병여단과 3코만도여단이 투입되었으며, 스코츠 가드가 주공을 맡았다.
  • 아르헨티나군의 저항: 아르헨티나 제5해병대대는 잘 싸웠으나 중과부적으로 패배하였다.

전쟁의 종결과 영국군의 승리

  • 항복일: 아르헨티나군은 텀블다운이 함락된 날인 6월 14일 항복하였다.
  • 전쟁 결과: 포클랜드 전쟁은 영국군의 승리로 막을 내렸다.
  • 전후 상황: 전쟁이 끝난 후 영국군은 아르헨티나군의 많은 장비를 노획하였다.
  • 장비 목록: 영국군은 사용 가능한 퓨마 헬리콥터 경비함정 등을 포함한 다양한 장비를 확보하였다.

전후 아르헨티나 군 장비 노획

  • 노획 장비 목록: 영국군은 아르헨티나군의 다양한 군사 장비를 노획하였다.
    •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MB 1112/13/14 트럭 100대
    • 장갑차: 파나르 AML-90 수색정찰장갑차 12대
    • 미사일 발사대: 롤랜드 지대공미사일 발사대 1기, 타이거캣 지대공미사일 발사대 3기
    • 헬리콥터: UH-1H 8기, CH-47 치누크 1기
  • 탄약 및 화기: 7.62 mm 탄약 400만발, 개인화기 11,000정 등 다양한 무기와 탄약을 확보하였다.

알헤시라스 작전 개요

  • 작전의 비밀성: 알헤시라스 작전은 1급 기밀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2003년에 공개되었다.
  • 작전의 목적: 아르헨티나 특수부대는 지브롤터에 있는 영국 함대를 폭파시키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 작전의 배경: 1982년 4월, 아르헨티나 해군은 영국 군함을 폭파하여 포클랜드 해협에 도달하지 못하게 하려는 계획을 세웠다.
  • 작전의 실행: 호르헤 아나야 제독의 지휘 아래, 아르헨티나 공작조는 위조 여권을 사용하여 스페인의 알헤시라스에 잠입하였다.

작전 계획과 실행

  • 작전의 세부 계획: 아르헨티나 해군은 영국 군함을 폭파하기 위해 특수작전을 세웠다.
  • 잠입 작전: 공작조는 지브롤터와 마주하고 있는 스페인 지역에 거점을 설치하였다.
  • 작전의 방법: 다이버들이 이탈리아산 흡착기뢰를 군함에 설치하고 빠져나오는 방식으로 작전을 계획하였다.
  • 초기 목표: 처음에는 유조선을 폭파하려 했으나, 환경 오염과 스페인의 반발을 우려하여 계획이 변경되었다.

작전 중의 문제점

  • 기회 포착의 실패: 아르헨티나 공작조는 지브롤터를 오가는 함대를 보고 기회를 엿보았으나, 본국의 지령에 따라 시간을 낭비하였다.
  • 스페인 정부의 반응: 스페인 총리는 아르헨티나 공작조의 작전이 외교적 분쟁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였다.
  • 부주의한 행동: 공작조는 렌터카와 호텔을 자주 바꾸며 부주의하게 행동하여 마을 사람들의 의심을 샀다.
  • 정보 노출: 영국 정보부는 아르헨티나 대사관의 통신량 증가를 도청하여 작전이 노출되었다.

스페인 정부의 반응

  • 스페인의 외교적 입장: 스페인은 아르헨티나를 버리고 영국 편을 들 수 없는 상황이었다.
  • 사태 처리 결정: 스페인 정부는 경찰을 동원하여 사건을 조용히 처리하기로 결심하였다.
  • 민주화 과정: 당시 스페인 총리는 민주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으며, 영국의 협조가 필요하였다.
  • 외교적 우려: 스페인은 1982 FIFA 월드컵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외교 분쟁에 휘말리고 싶지 않았다.

체포와 그 후의 처리

  • 체포 사건: 아르헨티나 공작조원 페르난데스 해군 대위는 자신이 전쟁포로라고 주장하였으나, 스페인 경찰은 이를 믿지 않았다.
  • 경찰의 반응: 경찰은 그를 조롱하며, 아르헨티나 해군이라는 주장을 믿지 않았다.
  • 내무부의 지령: 체포 후, 스페인 경찰은 아르헨티나 공작조의 정체를 알게 되었고, 우호적으로 대처하였다.
  • 사건의 은폐: 스페인 정부는 사건을 절대 노출하지 말고 조용히 처리하라는 지령을 내렸다.

사건의 은폐와 결과

  • 추방 처리: 체포된 아르헨티나 공작조는 재판이나 심문 없이 아르헨티나로 추방되었다.
  • 기록의 파기: 관련 기록은 모두 파기되었고, 남은 자료는 기밀로 남았다.
  • 후속 공개: 훗날 관련 자료가 공개되었으나, 사건의 진상은 여전히 불분명하다.
  • 스페인 정부의 결정: 사건을 묻어버리고 싶었던 스페인 정부의 결정이 사건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쳤다.

키홀 작전 개요

  • 분쟁 지역: 포클랜드 제도, 사우스 조지아 제도,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는 영국과 아르헨티나 간의 분쟁 지역이었다.
  • 기상관측소 건설: 1955년 툴레 섬에 기상관측소를 건설하였으나, 화산 폭발로 철수하였다.
  • 아르헨티나의 군사적 행동: 포클랜드 전쟁 당시 아르헨티나군은 사우스 샌드위치 제도를 점령하고 군기지를 건설하였다.
  • 군기지의 목적: 이 군기지는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기 위한 시설을 포함하였다.

아르헨티나의 군기지 건설

  • 군기지의 구성: '코르베타 우루과이'라는 군기지는 라디오 기지, 기상관측소, 헬리패드 등을 포함하였다.
  • 주둔군의 배치: 아르헨티나 군은 해당 기지에 상주하며 영유권 주장을 강화하였다.
  • 영국의 반응: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가 패전한 후, 영국은 키홀 작전을 개시하였다.
  • 작전의 목표: 키홀 작전은 툴레 제도의 재탈환 및 아르헨티나의 영향력 소거를 목표로 하였다.

키홀 작전의 목표와 실행

  • 작전의 실행: 6월 14일 아르헨티나가 항복을 선언한 후에도 기지의 주둔군은 철수하지 않았다.
  • 영국 해병대의 작전: 제42코만도가 헬리콥터로 툴레 섬에 상륙하여 주둔군을 무장해제시켰다.
  • 작전의 결과: 주둔군은 사우스조지아 섬으로 이동 후 아르헨티나 본토로 추방되었다.
  • 기지의 상태: 기지는 버려졌으나, 국기 게양대에 아르헨티나 국기가 다시 게양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기지의 국기 교체 사건

  • 국기 교체의 발견: HMS 헤카테가 지역을 정찰하던 중, 기지의 국기가 아르헨티나 국기로 교체된 것을 발견하였다.
  • 교체의 불확실성: 누가 국기를 교체했는지는 불분명하였다.
  • 영국의 대응: 아르헨티나가 이를 영유권 주장에 사용할 것을 우려하여 HMS 아리아드네를 파견하였다.
  • 기지 철거: 영국은 기지를 철거하여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을 차단하였다.

포클랜드 전쟁 개요

  • 전쟁 발발일: 1982년 7월 21일
  • 영국 시민들의 반응: 영국 남부 포츠머스 항으로 개선하는 원정 기동 함대 기함 HMS 허미스에 대해 열렬한 환대가 있었다.
  • 전쟁 기간: 3개월간의 단기전으로, 영국의 군사적 존재감을 알리는 중요한 전쟁이었다.

전사자 및 민간인 피해

  • 전사자 수:
    • 영국 측: 255명
    • 아르헨티나 측: 649명
  • 자살자 수: 21세기까지 양측 참전 용사 중 자살자가 전사자를 넘었다는 주장도 있으나, 영국 국방부에 따르면 포클랜드 참전 군인의 7%, 즉 95명이 자살과 관련된 죽음을 맞았다.
  • 민간인 피해:
    • 영국군의 오폭으로 사망한 포클랜드의 영국인 주민 3명
    • 아르헨티나 해군에 동원된 민간인 선원 16명 사망

갈티에리 대통령의 패배

  • 전쟁의 목적: 레오폴도 갈티에리 대통령은 불만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전쟁을 일으켰다.
  • 선전 내용: 전쟁 내내 이기고 있다고 주장했으나, 결과적으로 역대급 참패를 당했다.
  • 항복 후 연설: 갈티에리는 아르헨티나의 패배를 인정하는 치욕적인 대국민 연설을 하였으며, 문맥을 통해 패배 사실을 유추할 수 있었다.
  • 시민 반응: 시민들이 패배에 항의하는 시위를 벌였으나, 경찰에 의해 진압되었다.

아르헨티나의 정치적 혼란

  • 대통령 권좌 이양: 갈티에리는 6월 18일 레이날도 비그노네 장군에게 대통령직을 넘겨주고 권좌에서 물러났다.
  • 정치적 불안정: 비그노네 역시 1983년 여러 반정부 세력의 공격을 받아 몰락하였다.
  • 정권의 변화: 이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의 국가수반부는 완전히 혼란스러웠으며, 2년 동안 대통령이 4명이나 바뀌었다.
  • 독재 정권의 붕괴: 1976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아르헨티나 독재 정권은 붕괴되었고, 이후 라울 알폰신을 대통령으로 삼은 민주주의 정권이 들어섰다.

영국의 전쟁 비용과 피해

  • 전비와 사상자: 영국은 막대한 전비를 썼고 사상자도 발생했으나, 미국의 베트남 전쟁과 비교할 수는 없다.
  • 전쟁 기간: 포클랜드 전쟁은 3개월간 벌어진 단기전이다.
  • 전사자 수: 영국군 전사자는 255명, 부상자는 775명에 불과하다.
  • 전쟁의 결과: 포클랜드 전쟁은 영국의 명백한 승리로, 보수당 정권을 연장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영국 경제의 변화

  • 70년대 경제 상황:
    • 오일 쇼크로 연평균 20% 이상의 인플레이션 발생
    • 낮은 생산성과 평균 10.1%의 실업률로 재정 악화
    • 연간 2.8%의 저성장 기록, 1인당 GDP가 세계 18위로 하락
  • 1980년대 경제 회복: 1980년대 후반부터 경제가 다시 살아나 2016년 기준으로 세계 13위에 올랐다.
  • 농업 기계화: 1980년대 이후 영국의 농업은 성공적으로 기계화되어 2000년에는 2%의 노동력으로 국내 필요량의 **60%**를 생산하였다.
  • 전쟁의 영향: 전쟁으로 인해 영국 경제가 살아났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전쟁으로 경제를 망치지는 않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신자유주의의 확산

  • 신자유주의의 역할: 포클랜드 전쟁이 신자유주의가 전세계를 휩쓰는 방아쇠가 되었다고 주장된다.
  • 로널드 레이건과 마거릿 대처: 레이건 대통령만으로는 신자유주의화가 어려웠으나, 대처가 승리에 힘입어 재집권함으로써 신자유주의가 수월하게 진행되었다.
  • 1982년 실업률: 전쟁 발발 직전 영국의 실업률은 10%, 실업자 수는 300만명에 달했다.
  • 대처의 경제 정책: 대처는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으며, 감세, 규제 완화, 정부 지출 축소, 공기업 민영화 등의 조치가 영국 경제 회복에 기여하였다.

대처 총리의 경제 정책

  • 정권의 위기: 당시 영국 정권은 매우 위태로운 상황이었으며, 대처는 체임벌린과 함께 가장 무능한 수상으로 평가받았다.
  • 전쟁 승리의 영향: 포클랜드 전쟁의 승리에 힘입어 대처는 재집권하였고, 이후 신자유주의적인 경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였다.
  • 정책의 벤치마킹: 다른 나라들도 대처의 경제 정책을 자국의 실정에 맞추어 벤치마킹하기 시작하였다.
  • 대처의 유산: 대처는 전쟁의 승리로 인해 최고 지지율 **98%**를 기록하였으나, 그녀의 사망 시기에는 대처의 정책이 남긴 유산이 영국 서민들을 괴롭혔다는 비판이 있었다.

신자유주의의 긍정적 및 부정적 평가

  • 경제 호황 기여: 신자유주의화는 1990년대와 2000년대 초반 내내 이어지던 경제 호황에 크게 기여했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다.
  • 경제적 양극화: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경제적 양극화를 더욱 강화하고 대침체의 발생에 일조했다는 부정적 평가도 존재한다.

 

프랑스의 무기 판매와 루머

  • 프랑스의 무기 판매: 아르헨티나에 엑조세와 쉬페르 에탕다르 조합을 판매한 프랑스에 대한 루머가 존재한다.
  • 정보 유출 주장: 일부에서는 프랑스가 영국에 엑조세의 정보를 넘겨주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루머의 근거: 이러한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프랑스는 아르헨티나의 기습 공격 이후 즉각적으로 무기 인도를 중지하였다.
  • 결론: 이 주장은 논할 가치가 없는 억지 주장으로, 프랑스는 고객과 동맹국 모두의 의리를 지켰던 것이다.

프랑스의 무기 수출 중단

  • 무기 인도 중단: 아르헨티나가 포클랜드를 기습하자 프랑스는 엑조세와 쉬페르 에탕다르의 인도를 중지하였다.
  • 정보 비공유: 프랑스는 영국에도 정보를 알려주지 않았다.
  • 영국의 상황: 영국은 이미 70년대부터 엑조세를 도입해 운용 중이었기 때문에 추가 정보가 필요하지 않았다.
  • 결론: 프랑스의 결정은 고객과 동맹국에 대한 의리를 지키기 위한 것이었다.

아르헨티나의 전쟁 준비 부족

  • 아르헨티나의 전쟁 발발: 아르헨티나는 단 5발의 대함 미사일만으로 급하게 전쟁을 일으켰다.
  • 주문 물품 미수령: 아르헨티나는 주문한 무기를 모두 받지 못한 상태였다.
  • 비정상적인 전쟁 발발: 이러한 상황에서 전쟁을 일으킨 아르헨티나의 결정은 이상한 것으로 평가된다.
  • 비판적 시각: 아르헨티나의 전쟁 준비 부족은 전반적인 전략적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프랑스의 무기 수출 금지

  • 무기 수출 금지 조치: 아르헨티나에 대한 무기 수출 금지는 프랑스의 독단이 아니라 유럽 전체의 결정이었다.
  • 독일의 행동: 독일 또한 아르헨티나에 구축함의 인도를 전쟁 동안 보류하였다.
  • 유럽의 일관된 정책: 이러한 조치는 유럽 국가들이 아르헨티나의 군사적 행동에 대해 일관된 입장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결론: 프랑스의 무기 수출 금지는 국제적인 협력의 일환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쟁 후의 무기 인도

  • 전쟁 종료 후 약속 이행: 프랑스는 전쟁이 끝난 후 약속을 지켜 주문한 물건을 정확히 넘겨주었다.
  • 프랑스의 신뢰성: 이는 프랑스가 고객과의 신뢰를 중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 무기 인도의 중요성: 전쟁 후에도 무기 인도를 이행하는 것은 국제 관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 결론: 프랑스는 전쟁 중에도 고객에 대한 의리를 지켰던 것이다.

합동 훈련과 정보 제공

  • 합동 훈련의 배경: 프랑스와 영국은 포클랜드 전쟁 이전부터 정기적으로 합동 훈련을 실시하였다.
  • 훈련의 내용: 이 훈련에서 프랑스 공군은 미라지 전투기를 사용하였다.
  • 영국 조종사의 참여: 훈련에 참가했던 영국 조종사들은 포클랜드 전쟁에 직접 참여하지 않았다.
  • 정보 제공의 한계: 뉴질랜드 공군이 제공한 정보는 미국제 A-4 스카이호크 공격기에 대한 것이었으며, 아르헨티나군이 사용하던 모델에 대한 정보는 불확실하였다.

미라지의 정보 유출 논란

  • 정보 유출 주장: 일부에서는 프랑스가 영국에 아르헨티나의 주력기인 미라지의 비행 성능과 정보를 넘겨주었다고 주장하고 있다.
  • 기종의 노후화: 미라지는 배치된 지 30년이 지나고 수출까지 이루어진 기종으로, 정보 유출이 전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주장은 비정상적이다.
  • 정보의 중요성: 전투기와 같은 군사 장비의 정보는 전쟁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결론: 정보 유출 주장은 사실과 다르며, 훈련의 성격을 고려할 때 과장된 측면이 있다.

아르헨티나의 기술적 한계

  • 엑조세 운용의 어려움: 아르헨티나는 기술적으로 매우 진보된 엑조세를 자력으로 운용하지 못하였다.
  • 기술 장벽: A-4 스카이호크와 비유도 폭장만 사용하던 아르헨티나는 상당한 기술 장벽에 직면하였다.
  • 기술 지원의 필요성: 프랑스에서 파견한 기술진들이 포클랜드 전쟁 시에도 남아 셋업을 도와주었다.
  • 결론: 아르헨티나의 기술적 한계는 전쟁 수행 능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방산업체의 입장

  • 방산업체의 본질: 방산업체는 전쟁을 통해 무기를 판매하는 것이 본질이다.
  • 비판에 대한 반론: 방산업체와 군대의 존재를 비판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 프랑스의 경제 상황: 2차 세계 대전으로 인프라가 파괴된 프랑스는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방산업체를 지원하였다.
  • 결론: 방산업체의 발언은 방위산업의 본질과 당시 프랑스인의 솔직한 마음을 반영하고 있다.

 

전후 양국의 외교 관계

  • 전후 양국의 단교 상태: 전후 아르헨티나와 영국은 단교 상태였다.
  • 재수교 날짜: 1990년 2월 5일에 재수교가 이루어졌다.
  • 영토 주장: 양국은 여전히 포클랜드 제도를 자국의 영토라고 주장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교육: 아르헨티나는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지 않고, 이를 공교육에 포함시켜 국민들에게 중요하게 가르친다.

아르헨티나의 영유권 주장

  • 영유권 주장 지속: 아르헨티나는 포클랜드 제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을 포기하지 않고 있다.
  • 국민 교육의 중요성: 영유권 주장을 공교육에 포함시켜 국민들에게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
  • 경제적 어려움: 아르헨티나는 경제가 어렵고 군 현대화 상황도 힘들다.
  • 전쟁 가능성 평가: 단기적으로 제2차 포클랜드 전쟁이 일어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된다.

전사자 유골 반환 문제

  • 전사자 유골 반환 요청: 전후 아르헨티나 전사자 중 섬에 남겨진 시신 236구를 영국에서 가져가라고 요청하였다.
  • 아르헨티나 정부의 입장: 아르헨티나 정부는 그들이 이미 '고국'에 있다고 주장하며, 영국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포클랜드의 영국 주권을 인정하게 된다고 논리적으로 반박하고 있다.
  • 유골의 현재 상태: 아르헨티나 전사자 유골은 포클랜드 다윈 묘지의 아르헨티나 전사자 구역에 묻혀 있다.
  • DNA 검사 합의: 2016년에 신원불명의 유골들의 DNA 검사를 마치기로 합의하고, 2017년에 최종보고서를 작성하였으나, 여전히 유골 반환에 대한 아르헨티나 내부의 이견이 존재한다.

지뢰 처리와 전후 상황

  • 지뢰의 수: 포클랜드 전쟁 당시 2만개의 지뢰가 깔렸다.
  • 지뢰 처리의 어려움: 전후에도 지뢰 처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 최종 지뢰 해체: 2020년에 마지막 지뢰를 해체하고, 드디어 지뢰가 완전히 제거되었다고 선포하였다.
  • 안전 문제: 지뢰 처리 문제는 전후 상황에서 중요한 안전 문제로 대두되었다.

언론의 역할과 전쟁 보도

  • 영국 언론의 보도: 포클랜드 전쟁 당시 영국 언론의 무분별한 전황 보도가 아르헨티나의 전쟁 수행에 도움이 되었다.
  • 언론 통제: 언론에서 자체적으로 통제한 내용을 다루는 정훈 교육 자료가 존재한다.
  • BBC의 중립성: 당시 BBC는 언론의 중립을 유지하면서 '아군'이 아닌 '영국군'이라고 불렀다.
  • 군사 기밀 누설: 영국군은 종전 후 군사기밀 누설을 이유로 BBC에 고소장을 제출하였다.

영국의 군사 지원과 오판

  • 아르헨티나 군부의 오판: 아르헨티나 군부는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영연방 국가들이 영국을 돕지 않을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 실제 군사 지원: 호주와 캐나다는 영국에 여러 군사적 지원을 제안하였고, 뉴질랜드는 아르헨티나군의 장비 정보를 넘기는 것은 물론 군함을 보내겠다고 제안하기도 하였다.
  • 전력 공백 메우기: 전쟁 발발 후 인도양에 배치된 영국 해군이 포클랜드 전장으로 출동하자 호주군과 뉴질랜드군이 전력 공백을 메워주었다.
  • 외교적 압박: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호주, 뉴질랜드는 아르헨티나와 수교를 끊거나 경제 제재를 가하는 외교적 경제적 압박을 병행하였다.

무기와 전투 장비의 유사성

  • 제식 소총의 유사성: 당시 영국군과 아르헨티나군은 제식 소총이 동일하여 영국군은 아르헨티나군의 탄약을 사용하였다.
  • 소총의 종류: 아르헨티나군은 벨기에제 FN FAL로, 영국군은 FN FAL의 라이센스 버전인 L1A1로 무장하였다.
  • 반자동 사격의 차이: 영국군의 L1A1은 반자동 사격만 가능하여, 아르헨티나 군의 FN FAL을 노획하여 완전자동 사격이 가능한 제식 소총에 대한 수요를 충족하였다.
  • 전투에서의 전략적 이점: 이러한 무기 유사성은 전투에서 전략적 이점을 제공하였다.

SA80 소총 개발의 어려움

  • SA80 소총 개발 필요성: 북아일랜드 분쟁에서 영국은 L1A1을 대체할 새로운 돌격소총을 개발할 필요성을 느꼈다.
  • 예산 삭감의 영향: IMF 경제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대처 내각이 예산을 삭감하였고, 포클랜드 전쟁까지 치르면서 영국 국방부는 주머니가 텅텅 빈 상황에서 SA80을 개발하게 되었다.
  • 조병창 민영화: 국립 조병창을 민영화하여 상당수가 해체되거나 대량 해고로 대규모 축소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 SA80의 초기 문제점: 개발진들은 XL64E5를 5.56mm NATO 탄을 쓸 수 있도록 한 XL70E3을 내놓았으나, 조악한 재료로 안전성이나 신뢰성이 극악이었다.

전후 해군의 전투 경험

  • A-4 공격기 격추: 영국 해군이 아르헨티나 공군의 A-4 공격기를 보포스 포로 격추하였다.
  • 사격통제장치의 중요성: 컴퓨터로 작동하는 사격통제장치가 여전히 강력하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 대공포의 운용 변화: 대공포로 사용하던 보포스 40mm 포가 중소형 전투함에서 주력으로 운용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 함정의 무기 배치 변화: 이후 전함들은 100mm 이상급의 거대주포보다는 대공포나 부포로 쓰이던 40mm, 75mm 급을 주포로 채용하기 시작하였다.

한국인 교포의 포클랜드 전쟁 지지

  • 한국인 교포의 시위: 아르헨티나로 이민을 간 한국인 교포들이 아르헨티나에서 겪은 일들을 묶어서 펴낸 <아르헨티나 코리안 문학 선집: 소설>에는 포클랜드 전쟁 당시 에피소드가 실려 있다.
  • 군사 정부의 지시: 아르헨티나 군사 정부는 전국의 모든 노동조합에게 포클랜드 전쟁을 지지하는 시위를 하라고 지시하였다.
  • 시위의 내용: 한국인 교포들은 대형 태극기를 흔들며 "후에라 포클랜드(떠나라 포클랜드), 볼베레 말비나스(돌아오라 말비나스)!"라는 구호를 외치며 전쟁을 지지하였다.
  • 영국의 반응: 이 장면이 아르헨티나 방송국 TV를 통해 생중계되자, 주한 영국대사가 한국 외무부 장관에게 항의하였다.

전쟁의 교훈과 현대적 해석

  • 예비군 정신교육의 소재: 과거에는 예비군 정신교육의 단골 소재로 사용되었다.
  • 전쟁의 결과: 아르헨티나가 무리하게 영국과 싸우다가 참패하여 하이퍼 인플레이션에 직면한 반면, 승전국인 영국은 지금도 잘 먹고 잘 살고 있다.
  • 시간의 흐름: 시간이 흐르면서 보다 최신 버전의 다른 사례도 많아져서 잘 쓰이지 않게 되었다.
  • 교훈의 현대적 적용: 전쟁의 교훈은 현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전쟁 40주년 기념 행사

  • 40주년 기념 다큐멘터리: 2022년 4월 아르헨티나는 전쟁 종결 40주년을 맞이하여 당시 참전용사들을 인터뷰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였다.
  • 전사자 추모식: 전사자 추모식이 열렸다.
  • 대통령의 발언: 아르헨티나 대통령 알베르토 페르난데스는 영토 보전을 회복하는 것이 절대 우선순위라고 천명하였다.
  • 영국의 추모식: 2022년 6월 영국에서도 보리스 존슨 총리가 참석한 가운데 전쟁 종결 40주년 추모식이 열렸다.

영국의 추모식과 아르헨티나의 반발

  • 영국의 기념 행사: 11월 전쟁 승전 40주년 기념으로 프린세스 로열 앤이 섬을 직접 찾아 추모비에 헌화하였다.
  • 아르헨티나의 반발: 아르헨티나 정부는 영국의 행동에 불쾌감을 표시하며 맹반발하였다.
  • 국제적 긴장: 이러한 사건은 양국 간의 긴장을 더욱 고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역사적 맥락: 전쟁 40주년 기념 행사는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명칭 문제와 포클랜드 전쟁

  • 한국의 명칭 사용: 한국에서는 서방의 보도를 그대로 받아들여 **'포클랜드 전쟁'**이라고 칭하고 있다.
  • 아르헨티나의 명칭 사용: 아르헨티나에서는 **'말비나스 제도'**라고 부르며, 이로 인해 포클랜드 전쟁/분쟁에서 아르헨티나 편을 드는 나라들은 **'말비나스 전쟁'**이라고 부른다.
  • 영국의 승리: 영국이 전쟁에서 승리하여 포클랜드 제도는 포클랜드 제도로 남게 되었고, 이는 널리 알려져 있어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판단된다.
  • 대화 시 주의사항: 아르헨티나인과 대화할 때는 기분 나빠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영국의 포클랜드 전쟁 승리

  • 전쟁 결과: 영국이 포클랜드 전쟁에서 승리함으로써, 포클랜드 제도는 포클랜드 제도로 남게 되었다.
  • 사회적 인식: 이 결과는 널리 알려져 있어, 큰 문제는 아닐 것이라고 여겨진다.
  • 명칭의 중요성: 전쟁의 명칭이 국가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명칭 사용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국의 명칭 사용에 대한 입장

  • 대화 시 주의: 아르헨티나인과의 대화에서 기분 나빠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 강조된다.
  • 명칭의 다양성: 한국 정부는 포클랜드 전쟁이라는 명칭만 인정할 것이 아니라, **'말비나스'**라는 명칭도 병행하여 사용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 여론의 변화: 이러한 입장은 여론이 일기도 했었다는 점에서, 사회적 논의가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독도 문제와 한국 정부의 입장

  • 독도 문제: 한일 간의 독도 문제와 관련하여, 영국 정부는 **일본의 편에서 '일본해'와 '다케시마'**만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 한국 정부의 대응: 한국 정부는 이러한 상황에서 포클랜드 전쟁의 명칭을 **'말비나스'**로 병행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사회적 논의: 이와 같은 입장은 여론이 일기도 했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 내에서의 논의가 활발했음을 보여준다.

중국의 포클랜드 전쟁 입장

  • 중국의 공식 입장: 중국은 포클랜드 영유권 분쟁에서 아르헨티나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지지하고 있다.
  • 명칭 사용: 이로 인해 포클랜드 전쟁을 **'마도 전쟁'(马岛战争)**으로 표기하고 있다.
  • 정치적 맥락: 중국의 이러한 입장은 정치적 맥락에서 아르헨티나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홍콩과 마카오에 대한 중국의 시각

  • 지배 기반 완성: 최근 홍콩과 마카오에 대한 사실상의 지배 기반을 완성한 중국은, 포클랜드 전쟁을 아르헨티나가 고유 영토를 되찾기 위한 정당한 전쟁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다.
  • 정당성의 연관성: 이러한 경향은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전쟁 정당성을 중국이 홍콩과 마카오를 가져간 정당성과 연관짓는 것으로 나타난다.
  • 정치적 메시지: 이는 중국의 정치적 메시지로, 자국의 영토 문제에 대한 정당성을 강화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정당성의 비교

  • 정당성의 연관성: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전쟁 정당성=중국이 홍콩과 마카오를 가져간 정당성"으로 간주되고 있다.
  • 정치적 논리: 이러한 비교는 정치적 논리에 기반하여, 각국의 영토 문제에 대한 정당성을 서로 연결짓는 방식으로 나타난다.
  • 국제 관계의 복잡성: 이는 국제 관계에서의 복잡한 이해관계를 반영하며, 각국의 입장이 서로 영향을 미치는 상황을 보여준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1. 전투 개요 

  •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중요한 전투로, 1944년 12월 16일부터 1945년 1월 25일까지 서부전선에서 발생한 전투이다.
  • 독일 국방군의 최후의 대공세로, 겨울철에 벌어진 일련의 전투로 알려져 있다.
  • 이 전투는 아르덴 공세(Ardennes Offensive), 벌지 전투(Battle of the Bulge), 또는 바스토뉴 공방전 등으로 다양하게 불린다.
  • 벌지(Bulge)라는 용어는 '돌출부'를 의미하며, 전략지도를 통해 독일군 전선이 서쪽으로 크게 돌출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벌지 전투의 명칭과 의미 

  • 벌지 전투는 여러 명칭으로 불리며, 이는 전투의 지리적 및 전략적 중요성을 반영한다.
  • 아르덴 공세는 독일군의 공격을 의미하며, 벌지 전투는 미국에서 주로 사용되는 명칭이다.
  • 바스토뉴 공방전은 특정 지역에서의 방어전을 강조하는 명칭으로, 전투의 다양한 측면을 나타낸다.
    벌지대전투 지옥의 사수작전

 

독일군의 전략과 목표

  • 독일군은 연합군의 제공권이 없을 경우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 기상 상황을 이용하여 연합군 공군이 뜰 수 없는 조건에서 전투를 감행한 회심의 반격이었다.
  • 이 전투는 독일군의 전략적 선택 결단력을 보여주는 사례로, 전투의 결과가 매우 중요하다.
    히틀러의 마지막 도박 - 벌지전투

 

전투 결과와 영향

  • 벌지 전투의 결과, 독일군은 연합군에게 피해를 주며 연합군의 진격을 6주 늦추었다.
  • 그러나 이 전투는 동부전선의 병력을 대거 빼간 만큼 제3제국의 패망을 6개월 앞당겼다.
  • 전투의 결과로 인해 베를린에 서방 연합군 대신 소련군이 진입하게 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 이러한 결과는 전략적 판단의 실패를 나타내며, 전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제1차 세계 대전과의 유사성

  • 벌지 전투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춘계 공세(루덴도르프 대공세)의 재현으로 볼 수 있다.
    서부전선: 루덴도르프 공세] 독일제국의 마지막 도박
  • 처음 작전안이 제기된 후 장성급 지휘관들의 반대에 부딪히는 과정이 유사하다.
  • 이러한 유사성은 역사적 맥락에서 전투의 의미를 더욱 부각시킨다.

 

임팔 작전과의 비교

  • 벌지 전투는 임팔 작전과 유사한 점이 있으며, 두 전투 모두 국가의 패배를 앞당겼다는 공통점이 있다.
  • 그러나 두 전투의 전개 과정 결과는 다르다.
  • 임팔 작전은 일본군이 상당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실패한 사례로, 독일군의 상황과는 차이가 있다.
  • 독일군은 프랑스 침공 당시의 지휘관들이 물러나거나 자살한 상황에서 전투를 치렀다.

 

전투 전개 과정의 차이점

  • 벌지 전투와 임팔 작전의 승패 결과는 유사하지만, 전개 과정에서의 차이가 두드러진다.
  • 임팔 작전은 일본군이 지원을 받았던 반면, 독일군은 동부전선의 지휘관들이 서부전선으로 전속되었으나 여전히 어려운 상황이었다.
  • 이러한 차이는 전투의 성격 결과에 큰 영향을 미쳤다.

 

지휘관의 전선 이동과 한계

  • **OKH(육군최고사령부)**는 동부전선의 지휘관들을 서부전선으로 전속시키는 조치를 취하였다.
    육군최고사령부
  • 그러나 유능한 지휘관이라 하더라도 기갑, 항공 부대의 연료와 병력 부족으로 승리를 거두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 이러한 상황은 전투의 결과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전략적 한계를 드러낸다.

 

전투 경험의 손실

  • 독일군은 정예 병력과 기계화 전력을 노르망디 상륙 작전과 이후의 전투에서 상실하였다.
  • 풍부한 전투 경험이 있었던 병력의 손실은 전투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이러한 손실은 독일군의 전략적 선택 결단력에 큰 제약을 주었다.

2. 배경

 

서부전선의 교착 상태

  • 연합군의 상황: 연합군은 휘르트겐 숲 전투에서 독일군에게 발목이 잡혀 진흙탕 싸움에 말려들었다.
  • 마켓 가든 작전 실패: 마켓 가든 작전에서 독일군의 방어선을 밀어내지 못해 점령한 항구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 보급 문제: 보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격을 멈춘 결과, 서부전선은 교착 상태에 돌입하였다.
  • 소련군의 진군 중단: 소련군도 바그라티온 작전 이후 보급 문제와 후방 정리 등의 이유로 진군을 멈춘 상태였다.

 

 

독일군의 방어와 반격 계획

  • 독일군의 전략: 아돌프 히틀러는 독일군 병력을 집중시켜 아르덴 지방의 숲을 돌파하고 벨기에 지역의 연합군을 포위 섬멸하는 반격 작전을 구상하였다.
  • 목표: 서방 연합군이 보급 기지로 삼고 있는 벨기에의 안트베르펀을 점령하여 전투 불능 상태로 만들려는 계획이었다.
  • 전략적 중요성: 이 작전은 독일군의 방어를 강화하고 연합군의 보급선을 차단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항구와 보급 문제

  • 항구 파괴: 독일군은 프랑스 북부에서 네덜란드에 이르는 항구와 필수 시설을 파괴하거나 사수하여 연합군의 항구 이용을 거부하고 있었다.
  • 항구 재가동: 독일군이 붙들고 있던 항구들은 독일군이 항복한 후에야 다시 가동될 수 있었다.
  • 마켓 가든 작전의 목적: 연합군은 네덜란드 강습을 통해 베네룩스 3국 연안의 항구 도시들을 확보하려고 하였다.
  • 안트베르펀의 중요성: 연합군이 확보한 안트베르펀은 사실상 유일한 최전방 보급 창구로, 이를 잃으면 보급선에 심각한 타격을 입게 된다.

 

 

연합군의 보급선 확보

  • 보급선의 위기: 안트베르펀을 잃으면 노르망디에서 보급품을 끌고 와야 하며, 이는 아프리카 군단과 비슷한 보급 거리를 초래할 것이다.
  • 전략적 계획: 서방 연합군이 독일과 평화 협상을 맺으면 독일군이 남은 병력을 소련군과 싸우기 위해 이동할 계획이었다.
  • 보급선의 중요성: 보급선의 확보는 연합군의 전투 지속 가능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히틀러의 전략적 오판

  • 연합군의 특성: 히틀러는 연합군이 각국 수뇌부의 협의를 거쳐야 부대를 배치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 기습 공격의 망상: 히틀러는 "기습 공격으로 우위를 장악한 뒤 영미 연합군의 대처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 전부 섬멸해 버리면 된다"라는 망상을 가지고 있었다.
  • 전략적 오판의 결과: 이러한 판단은 독일군의 전략적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았다.

연합군의 효과적인 지휘 체계

  • 연합참모본부 구성: 서방 연합국은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연합참모본부(Combined Chiefs of Staff, CCS)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었다.
    The Combined Chiefs of Staff
  • 아이젠하워의 역할: 유럽 대륙에 전개된 연합군은 아이젠하워를 사령관으로 하는 연합국 원정군 최고 사령부의 단일 지휘권 아래에 있었다.
  • 권한 부여: 연합국의 수반과 각국 군 수뇌부는 아이젠하워 장군에게 현장에서의 권한을 크게 부여하였다.
  • 신속한 대응: 덕분에 아르덴 대공세에서 아이젠하워는 독일군에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었다.

 

 

독일군의 자원 부족 문제

  • 연료 부족: 독일군의 가장 큰 문제는 기갑부대를 움직일 연료의 부족이었다.
  • 병력 동원 문제: 서부전선의 독일군은 동원 가능한 남성의 숫자가 바닥이 나서 동부전선의 병력을 빼다가 돌려막기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 전황의 비관적 전망: 서부전선 총사령관인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원수와 B집단군 사령관 발터 모델 원수는 전황이 낙관적이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룬트슈테트의 반대 의견

  • 작전 목표의 비현실성: 룬트슈테트는 안트베르펀은 목표로 하기엔 너무 멀다고 주장하였다.
  • 작전 회의의 비효율성: 룬트슈테트는 히틀러에게 적극적으로 반대하지도 않았고, 참모장인 지크프리트 베스트팔 장군이 대리 참석하는 경우가 많았다.
  • 휴전 요구: 룬트슈테트는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줄기차게 휴전을 요구해왔으나, 히틀러는 이를 무시하였다.

 

연합군의 공세 불가능성

  • 병력 손실: 연합군은 독일군의 병력 손실이 심하여 서부전선에서의 공세는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였다.
  • 부대 분산: 대부분의 부대가 퍼져 있었고, 베테랑들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재정비를 받고 있었다.
  • 정보 체계의 문제: 독일군의 보안 체계 강화로 인해 연합군은 독일군의 움직임을 파악하지 못하였다.

독일군의 정보 보안 강화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이 사건으로 독일군의 보안 체계가 강화되었고, 대부분의 명령이 유선을 통해 전달되었다.
  • 악화된 날씨: 12월 들어서는 날씨가 악화되어 항공 작전이 불가능한 수준에 이르렀다.
  • 기밀 유지의 성공: 발터 모델은 르제프 퇴각 작전에서 기밀 유지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브래들리의 전투 예측

  • 브래들리의 생각: 오마 브래들리는 독일군이 서부방 벽의 요새선에서 한꺼번에 튀어나오는 것이 낫겠다고 지속적으로 피력하였다.
  • 독일군의 규모: 실제로 튀어나온 독일군의 규모는 예상보다 훨씬 컸다.
  • 정보 참모의 해임: 아르덴 지역에서 공세를 예측하지 못한 정보 참모 에드윈 L. 시버트 준장은 해임되었다.

 

 


3. 작전 준비

작전 준비와 히틀러의 결정

  • 벌지전투 당시: 독일 측 사령관 발터 모델은 이길 가능성이 적은 도박으로 판단하였다.
  • 장성들의 반대: 여러 장성들이 가을 안개 작전에 부정적이었으나, 히틀러는 반대 의견을 무시하고 세부적인 작전 계획을 세우라고 명령하였다.
  • 히틀러의 개입: 히틀러는 작전 계획의 모든 세부 사항, 심지어 폭격 시간까지도 직접 결정하였다.
  • 결과: 이러한 결정은 작전의 성공 가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모델과 만토이펠의 갈등

  • 히틀러 암살 미수 사건 이후: 원로 장성들조차 히틀러의 눈치를 보며, 발터 모델과 핫소 폰 만토이펠은 '작은 해결책'을 마련하려 애썼다.
  • 갈등의 배경: 만토이펠은 1941년 모스크바 전투 당시 모델의 명령을 거부한 경험이 있었고, 이로 인해 군법 재판에 회부될 예정이었다.
  • 재회: 모델과 만토이펠은 오랜 갈등에도 불구하고 다시 만나게 되었고, 서로의 갈등을 해명할 기회를 가지지 못하였다.
  • 임무의 중요성: 모델은 두 사람의 과거 불화를 언급하며, 현재의 임무를 완수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모델과 만토이펠의 재회

  • 긴장감: 만토이펠이 모델에게 보고하러 갔을 때, 모델의 집무실에는 팽팽한 긴장감이 감돌았다.
  • 과거의 불화: 모델은 만토이펠과의 과거 불화를 언급하며, 이제는 그 이야기가 끝났다고 선언하였다.
  • 임무의 필요성: 두 사람은 현재 주어진 임무를 반드시 완수해야 한다는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 상황의 중대성: 이 재회는 작전 준비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작전명 변경과 준비 과정

  • 작전명 변경: 기존의 작전명인 '라인 강의 수비'는 '가을 안개'로 변경되었다.
  • 목표 설정: 만토이펠은 모델과 함께 뫼즈 강 도달을 목표로 하는 '작은 해결책'을 준비하였다.
  • 전략적 조정: 작전명 변경은 작전의 방향성을 새롭게 설정하는 중요한 결정이었다.
  • 협력의 중요성: 모델과 만토이펠의 협력은 작전 준비에 있어 필수적이었다.

 

 

독일군의 병력 동원

  • 병력 도착: 독일군은 동부전선에서 병력들이 속속 도착하였다.
  • 항공기 동원: 반격 작전을 위해 아껴두었던 항공기들을 모두 동원하였다.
  • 자원 확보: 마지막 남은 연료와 탄약까지 모아 작전 준비가 진행되었다.
  • 전력 강화: 이러한 준비는 독일군의 전력을 크게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기갑사단의 전력과 배치

  • 기갑사단 동원: SS 소속 5개 기갑사단과 국방군 소속 5개 기갑사단을 합쳐 총 10개 기갑사단이 동원되었다.
  • 전차 수: 이들 사단이 보유한 전차와 돌격포, 구축전차의 수는 1,000대 이상에 달하였다.
  • 각 사단의 전력:
    • 기갑교도사단: 4호 27대, 판터 30대, 구축전차 20대
    • 제2기갑사단: 4호 28대, 판터 64대, 돌격포 35대
    • 제9기갑사단: 4호 28대, 판터 60대, 돌격포 24대
    • 제11기갑사단: 4호 61대, 판터 47대, 돌격포/구축전차 19대
    • 제116기갑사단: 4호 26대, 판터 64대, 구축전차 25대
  • 전력의 중요성: 이러한 기갑사단의 전력은 작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작전 준비의 어려움

  • 병력과 장비 부족: 병력과 장비는 한참 모자랐고, 2~3선급 국민척탄병 부대들이 정예병들의 빈 자리를 채워야 했다.
  • 공수부대 문제: 루프트바페 공수부대의 집결에도 문제가 많았고, 보병처럼 흩어져 있었다.
  • 물자 부족: 공수부대를 태울 트럭에 기름이 없어 이동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 작전 준비의 복잡성: 이러한 문제들은 작전 준비의 복잡성을 더욱 부각시켰다.

 

작전 개시 전의 긴장감

  • 작전 개시일: 작전 개시일에서 고작 2주 전인 12월 2일, 모델과 만토이펠은 안트베르펀 점령이 불가능하다고 강조하였다.
  • 작전 목표 조정: 초기 작전 목표대로 공세를 시작하되, 진행 과정에서 목표를 전환할 수 있다는 점이 변경되었다.
  • 공세의 시간 조정: 공격 시간은 오전 11시에서 새벽 5시 30분으로 앞당겨졌다.
  • 작전의 중대성: 이러한 조정은 작전의 성공 여부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작전의 최종 목표와 압박

  • 작전 실패의 결과: 독일은 이 작전이 실패하면 더 이상의 작전이 불가능할 만큼 여력을 쥐어짜고 있었다.
  • 공세 병력 집결: 초기 작전 지역의 미 육군을 압도하는 규모의 공세 병력을 집결시켰다.
  • 작전의 긴급성: 작전의 성공 여부는 독일군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 전략적 압박: 이러한 상황은 독일군에게 큰 압박으로 작용하였다.

4.전투 진행

작전 초기와 독일군의 공세

  • 전투 시작일: 12월 16일, 독일군의 공세가 시작됨.
  • 미군 8군단의 상황: 해당 지역을 담당하던 미군 8군단은 참패를 면치 못함.
  • 핫소 폰 만토이펠의 전략:
    • 기습 시점을 새벽 5시 30분으로 변경.
    • 칠흑 같은 안개 속에서 적의 시야를 가려 효율적인 포격을 실시.
    • 고사포 진지에서 탐조등을 비추어 보병의 돌격로를 이끌어냄.
    • 일몰 후 전차를 투입하여 전과를 확대시키는 작전안을 편성함.
  • 훈련 및 준비: 제5기갑군을 철저하게 훈련시키고, 만토이펠 자신이 군복을 갈아입고 전투 지역을 미리 답사하는 등 준비를 완벽하게 마침.

미군의 불리한 상황

  • 미군의 배치: 4개 사단과 다수의 지원 부대가 주둔했으나, 8만 3천 명의 미군이 전부 일선에 있지 않음.
  • 일선 부대의 우려: 담당 구역이 너무 넓어 미군 내부에서도 우려가 있었음.
  • 항공 정찰의 무시: 포착한 이상 징후가 상급 사령부에서 무시됨.
  • 병사들의 수준과 사기: 평균 이하의 수준과 사기를 가진 병사들이 배치됨.

연합군의 지휘 공백

  • 지휘 공백 발생: 아르덴 대공세 직전 회의로 인해 18공수군단장과 101공수사단장이 미국 본토에 있었음.
  • 대행 지휘: 82공수사단장 제임스 가빈 소장과 101 공수사단 부사단장 앤서니 맥콜리프가 각각 군단장과 사단장 임무를 대행하여 공백을 막음.
  • 연합군의 대응: 허를 찔린 연합군은 충격과 공포에 빠져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함.

독일군의 교란 작전

  • 교란 작전의 효과: 오토 스코르체니 대령이 영어를 잘하는 병사들을 선발하여 미군 군복을 입고 허위정보를 퍼뜨림.
  • 검문 검색 강화: 미군이 독일군을 색출하기 위해 토박이 미국인만 알 수 있는 질문을 사용함.
    • 예시: "미키 마우스의 여자친구 이름은?" 등.
  • 혼란의 결과: 검문하는 병사들이 잘못된 정보를 가지고 있어, 정답을 말한 병사들이 스파이로 몰리거나 억류됨.

초기 독일군의 승리

  • 주도권 확보: 독일군은 초반 며칠 동안 주도권을 잡고 아르덴 각 지역을 공격함.
  • 발터 모델 원수의 역할: 직접 원수 지휘봉을 들고 교통 정리를 하여 독일 병사들에게 희망을 줌.
  • 독일 국민의 사기 진작: 독일군의 전과가 홍보되며 국민의 사기가 진작되고 국방군에 대한 신뢰도가 상승함.

정체된 공세와 연합군의 반격

  • 아이젠하워 원수의 재배치: 서부 유럽 전선 사령관인 아이젠하워 원수가 부대를 신속하게 재배치함.
  • 82사단과 101사단의 급파: 각각 생비트와 바스토뉴로 급파되어 연합군의 반격이 시작됨.
  • 독일군의 진격 둔화: 연합군의 맹렬한 대응으로 독일군의 진격이 서서히 둔화됨.

바스토뉴 공방전

  • 스타벨롯과 생비트 공격: 독일군은 스타벨롯과 생비트를 공격하였으나 미군의 반격으로 실패함.
  • 바스토뉴 포위: 12월 21일, 독일군이 바스토뉴를 포위하였으나 미군의 저항이 계속됨.
    신화가 된 일주일간의 포위' 바스토뉴 공방전
  • 상황 보고: 101사단 참모 장교는 포위된 상황을 "도넛 구멍을 그려 보십시오. 그게 우리입니다."라고 보고함.

 

맥콜리프의 유명한 반응

  • 항복 요구: 독일군이 미군에게 명예로운 항복을 제안함.
  • 맥콜리프의 반응: "Nuts!"라는 유머러스한 답변을 하여 항복을 거부함.
  • 답신의 의미: 독일군은 이 답신을 이해하지 못하고 분노함.

 

연합군의 반격과 기상 변화

  • 항공 작전 재개: 12월 23일, 날씨가 좋아지자 연합군의 항공 작전이 재개됨.
  • 고립된 병력 보급: 고립된 연합군 병력에게 보급이 이루어짐.
  • 연료 보급 문제: 독일군은 연료 부족으로 인해 공격이 한계에 다다름.

독일군의 공세 실패와 철수

  • 1월 1일 공세: 독일군은 다시 한번 공세를 가하였으나 연합군의 압도적인 항공력에 밀림.
  • 히틀러의 고집: 히틀러가 병력 철수를 수용하지 않음.
  • 전투 종료: 1월 27일, 전투가 마무리됨.

5. 공세의 여파

독일군의 공세와 연합군의 대응

  • 독일군의 공세: 예상치 못한 독일군의 공격으로 인해 연합군의 라인 강 진공 계획이 예정보다 6주 미뤄졌다.
  • 독일군의 자원 소모: 독일군은 본토에 배치된 전략 예비 부대와 동부전선의 정예 부대, 그리고 확보했던 물자들을 모두 소모하여 병력이 약체화되었다.
  • 연합군의 공격: 1945년 3월까지 연합군은 지연전으로 버티었으나, 3월 말에 미군이 레마겐의 철교를 확보하면서 독일군의 패주, 포위, 항복이 급증하였다.
  • 루르 포위전: 결국 4월 중순에 서부전선의 독일군은 전투를 종료하게 된다.

소련군의 동부전선 공격

  • 처칠의 요청: 윈스턴 처칠은 소련군에게 동부전선에서 독일군을 공격해 달라고 요청하였고, 이에 따라 소련의 붉은 군대는 비스와-오데르 대공세를 1월 12일에 개시하였다.
  • 전선의 불리함: 양 전선의 전황이 독일군에 극도로 불리해지면서, 독일군은 동부전선에서 빼온 기갑 부대를 다시 동부전선으로 되돌려보내야 했다.
  • B집단군의 방어 전략: 마켓 가든 작전의 승리로 방어 전략을 구사했던 B집단군 사령부는 아르덴 대공세 후기에 완전히 수동적인 대처를 하게 되었다.

아르덴 대공세의 실패

  • 몽고메리의 기자회견: 아르덴 대공세가 실패로 끝날 무렵, 영국의 몽고메리 원수가 기자회견을 열어 자신과 영국군의 역할을 부각시켰다.
  • 미군의 반발: 몽고메리의 발언은 아이젠하워를 비롯한 미군 측의 분노를 일으켰다.
  • 영국군의 기여: 몽고메리는 독일군의 움직임을 미리 예측하여 뫼즈 강의 다리를 사수함으로써 독일군의 공세를 막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 전황 파악의 우위: 잘 짜여진 통신체계를 통해 전황 파악이 미군에 비해 빨랐던 것도 사실이다.

몽고메리의 오만과 갈등

  • 독선적 태도: 몽고메리는 특유의 독선적이고 오만한 면 때문에 이탈리아 전선부터 미군 장성들과 마찰을 빚고 있었다.
  • 전사자 수의 차이: 벌지 전투에서 미군 전사자는 2만 명에 근접했으나, 영국군 사망자는 200명에 불과하였다.
  • 독일 진공 작전 지휘권: 몽고메리는 미군을 깔아뭉개고 자신의 전공만 내세우며 독일 진공 작전의 지휘권을 넘기라고 요구하였다.

 

아이젠하워의 대응과 사과

  • 장군 임명 고민: 아이젠하워는 영국의 해롤드 알렉산더 장군을 몽고메리의 자리에 임명하는 방안을 심각하게 고민하였다.
  • 몽고메리의 평판 하락: 오마 브래들리마저도 참았던 분통을 터뜨리며 몽고메리의 평판은 더욱 떨어졌다.
  • 참모진의 역할: 참모진은 미군 장성들을 설득하는 한편 몽고메리에게 현재 상황을 알려주었다.
  • 사과문 제출: 결국 몽고메리는 아이젠하워에게 사과문을 올려 사태가 진정되었다.

 

영국 의회의 중재 노력

  • 처칠의 개입: 영국의 윈스턴 처칠은 미군의 분노를 진정시키기 위해 나섰다.
  • 의회 연설 내용: 1945년 1월 중순 영국 의회의 연설에서, 벌지 전투에서 활약한 미군을 찬양하고 영국군의 전과 확대 해석을 경계하는 내용이 포함되었다.
  • 전투의 중요성 강조: 처칠은 미군의 기여를 강조하며 영국군의 역할을 축소하는 발언을 하였다.

지크프리트 선의 돌파

  • 아르덴 대공세 종료 후 상황: 아르덴 대공세가 종료된 후 약 2달 후, 3월 23일에 조지 S. 패튼이 이끄는 미 제3군 병력이 지크프리트 선의 방어부대 간의 지경선을 뚫었다.
  • 라인 강 건너기 허용: 이후 라인 강을 건너는 것을 허용하게 되었다.
  • 지크프리트 선의 완전 돌파: 이로 인해 실질적인 지크프리트 선까지 완전히 돌파당하게 되었다.

 

 


6. 공세 실패의 원인

공세 실패의 원인

  • 푀글러는 이번 공격이 소련을 겨냥한 것이 아니라, 동부 전선에서의 중압감을 덜기 위한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알베르트 슈페어는 동부 전선의 상황을 고려할 때, 미친 사람이 아니고서는 서쪽에서 밀려오는 적을 막으려는 생각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 1944년 10월 말의 대화에서, 히틀러는 민간인 관료조차 실현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 무모한 작전을 실시하였다.
  • 이로 인해 브래들리의 소원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공세 실패의 원인 중 하나로 작용하였다.

교통 문제: 비좁은 도로망

  • 아르덴 지역은 산악 지대로 도로망이 빈약하여, 미군과 독일군 모두에게 큰 문제를 초래하였다.
  • 미군 부대들은 후퇴 과정에서 서로 엉켜 많은 혼란이 발생하였고, 일부 부대는 도로상에 장비를 유기하는 사례가 있었다.
  • 독일군은 버려진 장비를 유용하게 사용하여 공세 시간을 벌었으며, 이는 미군이 고전하게 된 원인 중 하나이다.
  • 의 유속이 빠르고 강행 도하를 할 만한 곳이 거의 없어, 다리가 파괴되면 진격이 어려운 상황이 자주 발생하였다.

교통 문제: 진흙탕 도로

  • 도로에 진흙으로 된 늪이 생기면서 자주포와 기갑척탄병의 제병 합동 공격에 큰 문제가 발생하였다.
  • 자주포가 늪에서 허우적대면서 기갑척탄병의 공격을 지원하지 못해, 기갑척탄병 부대가 대규모 피해를 입고 퇴각하는 사례가 여러 번 발생하였다.
  • 어떤 경우에는 정찰부대가 진흙탕에 갇혀 길을 잃고 작전을 수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 이러한 상황은 공세 초반에 연합군이 사태를 빨리 수습하고 반격하는 계기가 되었다.

교통 문제: 공병의 역할

  • 연합군의 공병대는 이미 한 번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리와 같은 모든 물체에 폭탄을 설치하고 독일 기갑 부대가 접근하면 폭파하는 작전을 구사하였다.
  • 요아힘 파이퍼는 미군 공병대의 작전 방식에 대해 "이런 죽일 놈들!"이라고 표현하며 찬사를 보냈다.
    요아힘 파이퍼(Joachim Peiper)
  • 마켓 가든 작전 이후 공병의 중요성이 증가하였고, 벌지 전투에서 미 공병대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였다.
  • 공병대는 교량 폭파 및 재설치 작업을 통해 독일군의 진공을 어렵게 만들었으며, 보병과 기갑부대를 지원하는 역할도 수행하였다.

 

병참 문제와 연료 수급

  • 독일군의 연료 수급 상황은 매우 열악하여, 목적지인 안트베르펀에 도달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다.
  • 아르덴 삼림 지역에서부터 목적지까지의 거리는 최소 120km로, 연료를 노획하지 않으면 전진이 불가능하였다.
  • 독일군은 새로 만들어진 기갑장비를 대거 투입하였으나, 티거 2와 같은 중장비는 연비가 최악이었다.
  • 이로 인해 많은 전차가 연료 부족으로 전진도 후퇴도 못하고 자폭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제공권 장악의 실패

  • 1940년 프랑스 침공 당시 독일군은 연합군보다 훨씬 많은 전투기를 공중전에 투입하여 제공권을 장악하였다.
  • 그러나 아르덴 대공세 당시에는 독일군을 도울 공군이 활동할 날씨가 아니었고, 연합군이 하늘을 장악한 상태였다.
  • 날씨가 좋아지자마자 독일군은 연합군의 폭격에 의해 큰 피해를 입게 되었다.
  • 알베르트 슈페어는 자서전에서 날씨가 갠 뒤 도로를 다니는 것이 자살 행위와 같다고 언급하였다.

 

연합군의 발빠른 대응

  • 1940년 독일군의 프랑스 침공 당시 연합군은 독일군의 진격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였다.
  • 아이젠하워 장군은 병력 운용에서 전권을 보장받았고, 연합군 지휘부는 독일군을 저지하기 위해 모든 자원을 쏟아 부었다.
  • 미군의 조지 S. 패튼 중장은 독일군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대응 방안을 구상하였다.
  • 이러한 발빠른 대응은 아르덴 대공세에서 연합군의 성공적인 방어에 기여하였다.

 

독일군의 훈련 및 경험 부재

  • 독일군은 1939년 폴란드 침공 당시 훈련 상태가 좋지 않았으나, 이후 훈련을 통해 질적 향상을 이루었다.
  • 그러나 아르덴 대공세 당시에는 숙련된 장교와 부대가 대부분 소모되었고, 훈련이 부족한 병력으로 대체되었다.
  • 급조된 부대는 훈련이 부족하여 전투 능력이 떨어졌고, 이는 공세의 실패로 이어졌다.
  • 팔슈름예거 부대는 심각한 피해를 입고, 경험이 부족한 병력으로 구성되어 전투에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

 

부실한 기계화와 전투력

  • 독일의 전투력은 1944년 서방 연합군의 노르망디 상륙작전 이후 급격히 소모되었다.
  • 기갑사단의 상황이 심각하여, 독일군은 기계화 부대의 보충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 독일군의 기계화율은 미군에 비해 현저히 낮아, 전투에서 큰 손실을 입었다.
  • 연합군은 충분한 차량과 장비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독일군과의 기계화율 차이는 전투력에 큰 영향을 미쳤다.

https://www.youtube.com/watch?v=sZa8UdP11Gs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유대인 구역의 정의와 역사

  • 정의: 유대인이 모여 살도록 법으로 강제한 도시의 거리나 구역을 의미한다.
  • 유사 개념: 모로코의 멜라와 같은 유사한 지역이 존재하였으나, 게토보다 자유롭고 번화한 특징이 있다.🌹

멜라 (mellah, 아랍어: ملاح,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소금')는 모로코의 도시에서 유대인 거주 지역으로 분리된 구역으로서, 유럽의 게토와 흡사한 형식이다. 유대인들은 이 지역에 갇혀 15세기부터 살아야 했으며, 19세기 초부터 이런 형태가 더욱 널리 퍼졌다.

 

멜라는 벽으로 요새처럼 둘러싸여 있으며, 유대인 구역은 왕궁이나 고관의 거주지에 위치한다. 반발이나 모반을 바로 처리하기 위함이다. 도시의 경우 그렇지만 시골이나 지방의 경우에는 유대인이 사는 마을이 단독으로 따로 있다.


  • 역사적 배경:
    • 13세기 모로코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모로코인 거주 구역의 역사

예루살렘의 모로코인 거주 구역은 12세기 말에 설립되었다.

이는 살라흐 앗 딘의 장남 알 아프달 알리의 후원으로 이루어졌다.

모로코를 포함한 북서 아프리카와 안달루스의 무슬림들은 말리키파 법학파를 믿어 법 적용이 달랐다.

    • 14~15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도 거주 제한 규정이 생겨났다.
    • 게토라는 이름은 1516년경 베네치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게토의 기원과 목적

  • 원래 목적: 게토의 설계 목적은 유대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다.
  • 역사적 사건:
    • 1090년대 말 십자군의 공격으로 유대인 학살이 자행되었고, 이에 따라 12세기 슈파이어의 주교가 유대인 주거지에 성벽을 두르고 자치권을 부여하였다.
    • 십자군은 주교궁에 숨은 유대인까지도 학살하였다.
  • 어원: 게토의 어원은 베네치아에서 유래하였으며, 최초의 게토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유대인 강제수용 지역이었다.

 

유대인 구역의 정의와 역사

  • 정의: 유대인이 모여 살도록 법으로 강제한 도시의 거리나 구역을 의미한다.
  • 유사 개념: 모로코의 멜라와 같은 유사한 지역이 존재하였으나, 게토보다 자유롭고 번화한 특징이 있다.
  • 역사적 배경:
    • 13세기 모로코에서 처음 등장하였으며, 14~15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도 거주 제한 규정이 생겨났다.
    • 게토라는 이름은 1516년경 베네치아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게토의 구조와 생활 조건

  • 구조적 특징: 게토는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바깥 사회와 격리되어 있었다.
  • 자치권: 유대인 공동체로서 어느 정도의 자치를 허용하였으나, 시민권은 부여되지 않았다.
  • 출입 규제:
    • 게토를 나갈 때 유대인임을 증명하는 노란색 옷 챙달린 뾰족모자를 착용해야 하였다.
    • 해가 진 후에는 게토 밖으로 나가는 것이 금지되었고, 기독교인들이 보초를 서며 감시하였다.
  • 거주 환경: 거주제한으로 인해 게토의 유대인들은 건물을 높이 지을 수밖에 없었으며, 19세기부터 서유럽에서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동유럽의 유대인 거주 지역

  • 정주제한선: 러시아에서는 유대인 거주를 제한하기 위해 "정주제한선(Черта́ осе́длости)"을 설정하였다.
  • 슈테틀: 이 지역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는 마을들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이디시어로 **슈테틀(שטעטלעך)**이라고 하였다.
  • 인구 통계: '정주제한선' 안쪽에 거주하는 유대인 인구의 3/4가 슈테틀에 살았으나, 19세기 후반부터 경제적 어려움과 포그롬으로 인해 2백만 명이 동유럽을 떠났다.
  • 홀로코스트의 영향: 결정적으로 홀로코스트로 인해 슈테틀은 사라지게 되었다.

나치 독일의 게토 정책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은 폴란드 총독부를 포함한 동유럽 점령지에서 유대인을 몰아넣기 위해 게토를 부활시켰다.
  • 주요 게토:
    • 바르샤바 게토는 수용인구가 45만 명에 달해 가장 컸으며, 우치에 20만, 르비우에 15만, 빌뉴스에 8만, 크라쿠프에 7만 명이 수용되었다.
  • 역사적 게토와의 차이:
    • 역사적 게토는 유대인들을 기독교도들과 분리하기 위해 설계된 반면, 나치가 부활시킨 게토는 홀로코스트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 인구 밀도와 사망률: 나치의 게토는 인구 밀도가 높고 비위생적이며,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게토의 비극적 현실

  • 아시아의 게토: 2차 대전 당시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도 게토가 존재하였다.
    From the Archive: Life in the 'Shanghai Ghetto' - Jewish Telegraphic Agency

 

Image of Jewish refugees in the ghetto of Shanghai, 1938 (b/w photo)
Shanghai Ghetto ❘ Homepage - Shanghai Ghetto
Where did 20,000 Jews hide from the Holocaust? In Shanghai
The Shanghai Ghetto, formally known as the Restricted Sector for Stateless Refugees
The Shanghai ghetto, formally known as the Restricted Sector for Stateless Refugees,
Restricted sector for jewish refugees hi-res stock photography and images

 

  • 상하이의 상황: 일본군의 점령 지역인 상하이에서도 유대인들이 게토에 강제로 수용되었으나, 그곳의 주거 환경은 유럽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홀로코스트의 피해: 유대인들은 게토에서 굶어죽거나 병사하였으며, 대부분이 아우슈비츠 등의 절멸수용소로 끌려가 학살당하였다.
  • 저항의 시도: 나치 독일의 패망이 임박하자, 바르샤바의 유대인들은 봉기를 시도하였으나 진압당하였다.

 

유대인 저항과 영화의 묘사

  • 바르샤바 봉기: 유대인들은 바르샤바 봉기를 통해 무기를 밀수하여 나치 독일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아쉽게도 진압당하였다.
    바르샤바 게토 봉기

 

 

 

 

 

  • 영화 <피아니스트>:
    • 이 영화는 당시 폴란드의 저명한 피아니스트 슈필만이 게토에서 생활했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 영화 속 유대인들은 나치 군대의 핍박을 받으며, 서로의 음식을 훔쳐먹는 등 비참한 상황을 묘사하였다.
  • 영화 <쉰들러 리스트>:
    • 이 영화에서는 독일인 군수사업가 오스카 쉰들러와 열악한 환경에 내던져진 유대인들의 상황이 대비되어 있다.
    • 독일은 게토를 끝장내고 숨어있던 유대인들까지 철저히 학살하였다.

 

 

게토의 구조와 생활 조건

  • 구조적 특징: 게토는 높은 벽으로 둘러싸여 있어 바깥 사회와 격리되어 있었다.
  • 자치권: 유대인 공동체로서 어느 정도의 자치를 허용하였으나, 시민권은 부여되지 않았다.
  • 출입 규제:
    • 게토를 나갈 때 유대인임을 증명하는 노란색 옷 챙달린 뾰족모자를 착용해야 하였다.
    • 해가 진 후에는 게토 밖으로 나가는 것이 금지되었고, 기독교인들이 보초를 서며 감시하였다.
  • 거주 환경: 거주제한으로 인해 게토의 유대인들은 건물을 높이 지을 수밖에 없었으며, 19세기부터 서유럽에서 점차 사라지기 시작하였다.

동유럽의 유대인 거주 지역

  • 정주제한선: 러시아에서는 유대인 거주를 제한하기 위해 "정주제한선(Черта́ осе́длости)"을 설정하였다.
  • 슈테틀: 이 지역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는 마을들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이디시어로 **슈테틀(שטעטלעך)**이라고 하였다.
  • 인구 통계: '정주제한선' 안쪽에 거주하는 유대인 인구의 3/4가 슈테틀에 살았으나, 19세기 후반부터 경제적 어려움과 포그롬으로 인해 2백만 명이 동유럽을 떠났다.
  • 홀로코스트의 영향: 결정적으로 홀로코스트로 인해 슈테틀은 사라지게 되었다.

 

 

나치 독일의 게토 정책

  • 제2차 세계 대전: 나치 독일은 폴란드 총독부를 포함한 동유럽 점령지에서 유대인을 몰아넣기 위해 게토를 부활시켰다.
  • 주요 게토:
    • 바르샤바 게토는 수용인구가 45만 명에 달해 가장 컸으며, 우치에 20만, 르비우에 15만, 빌뉴스에 8만, 크라쿠프에 7만 명이 수용되었다.
  • 역사적 게토와의 차이:
    • 역사적 게토는 유대인들을 기독교도들과 분리하기 위해 설계된 반면, 나치가 부활시킨 게토는 홀로코스트를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 인구 밀도와 사망률: 나치의 게토는 인구 밀도가 높고 비위생적이며, 사망률이 매우 높았다.

홀로코스트

게토의 비극적 현실

  • 아시아의 게토: 2차 대전 당시 유럽뿐만 아니라 아시아 지역에도 게토가 존재하였다.
  • 상하이의 상황: 일본군의 점령 지역인 상하이에서도 유대인들이 게토에 강제로 수용되었으나, 그곳의 주거 환경은 유럽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 홀로코스트의 피해: 유대인들은 게토에서 굶어죽거나 병사하였으며, 대부분이 아우슈비츠 등의 절멸수용소로 끌려가 학살당하였다.
  • 저항의 시도: 나치 독일의 패망이 임박하자, 바르샤바의 유대인들은 봉기를 시도하였으나 진압당하였다.

유대인 저항과 영화의 묘사

  • 바르샤바 봉기: 유대인들은 바르샤바 봉기를 통해 무기를 밀수하여 나치 독일군과 전투를 벌였으나, 아쉽게도 진압당하였다.
  • 영화 <피아니스트>:
    • 이 영화는 당시 폴란드의 저명한 피아니스트 슈필만이 게토에서 생활했던 모습을 생생하게 그려내었다.
    • 영화 속 유대인들은 나치 군대의 핍박을 받으며, 서로의 음식을 훔쳐먹는 등 비참한 상황을 묘사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nzMbwsVc6EQ&t=4s

 

 

  • 영화 <쉰들러 리스트>:
    • 이 영화에서는 독일인 군수사업가 오스카 쉰들러와 열악한 환경에 내던져진 유대인들의 상황이 대비되어 있다.
    • 독일은 게토를 끝장내고 숨어있던 유대인들까지 철저히 학살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FFxbzKq5MnI&t=2s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2024.12.01 오후 10:46

제1차 세계 대전과 베르됭 전투 

  • 전투 기간: 1916년 2월 21일부터 12월까지.
  • 참여 세력: 독일 제국군과 프랑스 제3공화국의 프랑스군 간의 전투
    .

 

 

 

  • 유럽의 회색 지도 안에 독일 제국의 검은 평면 지도(1871–1918) 

독일제국 식민지
WW1 독일 제국군헬멧
독일 제국군

 

 

제1차 세계대전 컬러 기록사진

 

 

 

제1차세계대전 독일군 컬러 기록사진

 

 

 


독일 제국의 문제점 

 

지도자 빌헬름 2세


 

 

 

 


팁:

빌헬름 2세는 고종을 '왕' 아닌 '황제'로 칭했다
한일합방 부당' 98년 전 독일 정부문서 나왔다


 

  • 전투의 중요성:
    • 제1차 세계 대전의 가장 유명한 대전투 중 하나로, 소모전의 시초이자 참호전의 전형적인 양상을 나타냄.
    • 양측 모두에게 상상을 초월하는 규모의 살육을 강요함.

참호전 : 땅 속의 일상

전투의 역사적 중요성

  • 전투의 위치: 베르됭 전투는 마른 전투와 솜 전투와 함께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투로 간주됨.
  • 전투의 특징:
    • 소모전의 성격을 띠며, 전투의 결과가 양측의 인명 피해에 큰 영향을 미침.
    • 전투의 결과는 전쟁의 전반적인 흐름에 중대한 영향을 미침.

프랑스의 결의와 독일의 전략

  • 프랑스의 결의:
    • 프랑스 육군 중장 로베르 니벨의 유명한 구호인 "Verdun! on ne passe pas!"는 프랑스군의 결의를 상징함.

      "Verdun! On ne passe pas" - French WW1 Song
    • "Ils ne passeront pas."는 독일군의 진격을 저지하겠다는 의지를 나타냄.

 

 

 

 

 

 

전선 재정비와 공세 전략

  • 전선 재정비:
    • 독일의 슐리펜 계획이 실패한 후, 에리히 폰 팔켄하인 장군이 육군참모총장으로 임명됨.
    • 팔켄하인은 전선 재정비를 위해 공세를 지양하고 수세적으로 임함.
  • 전략적 판단:
    • 영국의 해상봉쇄로 인한 물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선의 요새화 필요성을 인식함.

 

소모전의 전술적 변화

  • 전투 방식의 변화:
    • 기존의 전투 방식은 승리한 쪽이 적의 거점을 공격하는 형태였으나, 제1차 세계 대전에서는 참호와 기관총의 결합으로 인해 전투 양상이 변화함.
  • 전투의 결과:
    • 수십만의 인명 피해에도 불구하고, 전투는 계속 이어짐.
    • 참호전의 특성상, 전투의 결과는 단순한 영토 확보가 아닌 인명 피해에 중점을 두게 됨.

독일군의 새로운 목표 설정

  • 전략 수정:
    • 독일군은 전투를 통해 적군을 더 많이 죽이는 것을 새로운 목표로 삼음.
  • 전략적 요충지 점령:
    • 프랑스군의 영토를 무차별적으로 공격하기보다는, 전략적 요충지만 점령하고 방어하는 방식으로 전환함.

소모전의 효율성과 전략

  • 소모전의 장점:
    •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고 효과적인 교환비를 통해 아군은 덜 죽고, 적군은 많이 죽이는 전략이 안정적이고 효율적임.
  • 란체스터 법칙:
    • 전투의 규모가 질적인 우위를 무력화하는 데 유용하다는 점이 강조됨.

 

 

 

베르됭 요새의 선택

  • 작전 계획:
    • 독일 육군 참모본부는 프랑스군에게 최대한의 병력 손실을 강요할 장소로 베르됭을 선택함.

서부전선 이상없다!! 두오몽 요새

 

세계의 요새 III - 알카사르·두오몽


 

  • 피해 비율:
    • 작전은 적과 아군의 피해 비율이 5:2라는 극단적인 소모전으로 계획됨.

 


1915년 전역의 전략적 상황

  • 협상국의 전략: 1915년 전역에서 협상국은 서부전선에서의 공세와 동부전선에서의 수세 전략을 유지하였다.
  • 전황의 부진: 협상국의 전력과는 별개로 전황은 영 시원찮았다.
  • 서부전선의 상황: 프랑스가 중심이 되어 여러 차례 대규모 공세를 실시하였으나, 독일군의 방어에 막혀 모두 실패하였다.
  • 필리프 페탱의 진급: 대장으로 진급한 필리프 페탱은 유일하게 진격에 성공하였으나, 그 진격 거리는 3~4km에 불과하였다.

 

서부전선의 실패와 동부전선의 승리

  • 프랑스의 공세 실패: 1915년 서부전선에서 프랑스의 대규모 공세는 전략적 성과가 없었다.
  • 동부전선의 대승: 동부전선에서는 동맹군이 대규모 공세를 통해 러시아령 폴란드를 거의 쓸어버렸다.
  • 러시아군의 피해: 러시아군의 피해는 가공할 수준으로 치솟았다.
  • 전선의 변화: 동부전선에서의 승리는 협상국의 전략적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중해 방면의 전황 변화

  • 불가리아 왕국의 가담: 불가리아 왕국이 동맹국 측에 가담하면서 세르비아 전역의 전황이 급격하게 변화하였다.
  • 세르비아 왕국의 상황: 몬테네그로 왕국은 항복하였고, 세르비아 왕국은 전 국토를 점령당하였다.
  • 영불 연합군의 개입: 영불 연합군은 세르비아를 돕기 위해 그리스 북부 테살로니키에 상륙하였으나, 부질없는 일이었다.
  • 갈리폴리 전투의 실패: 협상국의 회심의 수였던 갈리폴리 전투는 대실패로 끝나가고 있었다.

이탈리아의 참전과 전선 변화

  • 이탈리아의 참전: 1915년에 이탈리아 왕국이 협상국으로 참전한 것이 유일한 긍정적 요소였다.
  • 캅카스 전선의 소식: 러시아군이 오스만군을 격파하고 서아르메니아로 진격했다는 소식이 있었으나, 전체적인 전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 연합국 간 회의: 1915년 말 연합국 간 회의를 통해 1916년에도 프랑스와 영국이 서부전선에서 대공세를 펼치기로 합의하였다.
  • 러시아의 방어 전념: 러시아는 방어에 전념하기로 하였다.

동맹국의 상황과 독일군의 전략

  • 동맹국의 어려움: 동맹국도 상황이 나쁘지 않았으며, 독일군은 서부전선에서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 이탈리아의 중립 깨기: 이탈리아가 중립을 깨고 협상국 측으로 참전하면서 부담해야 할 전선이 늘어났다.
  • 동부전선의 승리: 동부전선에서 대승을 거두었으나, 러시아의 평원은 너무 넓었다.
  • 독일군의 전략적 판단: 독일군 수뇌부는 동부전선에서의 결정적 승리를 허황된 것으로 치부하였다.

서부전선의 병력 밀도와 전략적 판단

  • 서부전선의 병력 밀도: 서부전선의 병력 밀도는 동부전선을 훨씬 상회하였다.
  • 프랑스의 병력 동원: 프랑스는 전국의 병력을 긁어모으고 식민지군까지 동원하여 전선에 투입하고 있었다.
  • 영국의 대륙원정군 증강: 영국의 대륙원정군도 시시각각 증강되고 있었다.
  • 동부전선의 기동전 제안: 동부전선에서 기동전으로 러시아군 주력을 포위섬멸하고 페트로그라드를 공략하자는 주장이 더 합리적이었다.

베르됭 전투의 준비와 실패

  • 독일군의 주목: 독일군 총참모장 에리히 폰 팔켄하인은 베르됭에 주목하게 되었다.
  • 베르됭의 역사적 중요성: 베르됭은 프랑스 육군 최고의 요새 지대로, 프랑스의 자존심이었다.
  • 프랑스군의 방어 준비 부족: 프랑스군은 독일군의 공격 시도를 포착할 기회를 놓쳤다.
  • 조프르의 집중: 프랑스군 총사령관 조제프 조프르는 새로운 공세 준비에 몰두하였고, 베르됭 지역을 무시하였다.
    조제프 조프르

 

드리앙 대령의 경고와 무시

  • 드리앙 대령의 보고: 드리앙 대령은 방어 준비가 허술하다고 보고하였으나 무시당했다.
  • 정치적 인맥 활용: 드리앙 대령은 자신의 정치권 인맥을 활용하여 조프르에게 대책 마련을 촉구하였다.
  • 조프르의 반응: 조프르는 "정식 지휘계통 외의 보고는 인정하지 않겠다!"며 전군에 엄명을 내렸다.
  • 방어력 강화 실패: 드리앙이 원했던 베르됭 방어력 강화는 끝내 이루어지지 못했다.
    FRA788 / 프랑스 '56 1차대전 영웅 에밀드리앙 대령

 


독일 제국군의 대공세 시작

  • 독일의 작전 승인: 독일은 최종적으로 해당 지역을 선택하였고, 카이저 빌헬름 2세는 작전을 승인하였다.
  • 군사 배치:
    • 제5군: 9개 사단으로 구성된 제5군이 14만 명의 병력과 1,200여 문의 야포를 투입하였다.
    • 예비대: 본토에 배치한 예비대까지 포함되어 있었다.
  • 공세 시작: 1916년 2월 21일, 최정예 사단들이 투입되어 공세에 나섰으나, 포격만 진행하고 본격적인 공격은 하지 않았다.
  • 작전 지휘의 문제:
    • 참모장 크노벨스도르프는 포탄만으로 프랑스군을 제거할 수 있다는 믿을 수 없는 판단을 하였고, 작전 총사령관 빌헬름 황태자는 이를 칭찬하였다.
    • 이로 인해 독일군은 실질적인 성과 없이 뫼즈강 줄기를 따라 부아 도몽만을 점령하는 데 그쳤다.

초기 공격과 프랑스군 저항

  • 본격적인 공세: 포격 종료 후 독일군이 본격적인 공세에 돌입하였으나, 남은 프랑스군이 격렬하게 저항하였다.
  • 드리앙 대령의 역할:
    • 드리앙 대령은 자신이 지휘하던 2개 대대를 이용해 필사의 지연전을 펼쳤다.
    • 독일군은 선 화력제압 후 진격 방식을 선택하여 신중히 진격하였다.
  • 전력 비율: 객관적인 전력으로는 독일군이 뫼즈 강과 베르됭 요새까지 도달했어야 할 정도였으나, 실제로는 1차 목표선에 간신히 도달하였다.
  • 드리앙 대령의 전사: 드리앙 대령이 후퇴전을 지휘하며 아군을 엄호하다가 전사하였다.

두오몽 요새의 함락

  • 방어선 붕괴: 24일 방어선이 무너진 후, 25일에는 두오몽 요새가 독일 육군에 함락되었다.
  • 전술적 접근:
    • 독일군은 1,500여 문의 야포에서 30만 발을 쏟아부어 요새를 마비시켰다.
    • 그 뒤 보병이 진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프랑스군의 피해: 이 과정에서 프랑스 육군은 10만 가까운 사상자를 입었다.
  • 전투의 결과: 독일군의 압도적인 포격과 진격으로 인해 프랑스군의 방어가 크게 약화되었다.

 


페탱의 방어 전략과 병력 보강

  • 카리의 철군 요청: 중부집단군 사령관 카리가 철군 명령을 요청하였으나, 조제프 조프르는 이를 거부하고 필리프 페탱을 전선 사령관으로 임명하였다.
  • 전력 비율 인식: 페탱은 프랑스군과 독일군의 전력비가 1:3까지 벌어진 것을 인식하였다.
  • 최선의 판단: 독일군을 격퇴시키기 위해 최대한의 피해를 주어 스스로 물러나도록 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판단하였다.
  • 병력 보강:
    • 페탱은 베르됭 남부 60km 지점에 위치한 바르르뒤크로 향하는 통로를 확보하여 군수물자와 병력을 보충하였다.
    • 보강된 병력을 전투에 투입하고, 지친 병력과 교대시키며 전투를 지속하였다.

니벨의 공격적 전술 변화

  • 조프르의 불만: 프랑스 총사령관 조프르는 잃어버린 영토를 되찾아야 한다고 생각하여 페탱의 방식에 불만을 가졌다.
  • 페탱의 승진: 조프르는 페탱을 중부집단군 사령관으로 승진시키고, 후임으로 로베르 니벨을 임명하였다.
  • 니벨의 명령: 니벨은 부임하자마자 무조건적인 공세를 명령하였다.
  • 참호전의 전개: 이후 철조망과 기관총, 포격으로 병력이 증발하는 전형적인 참호전이 벌어졌다.

전투의 환경 변화와 독일군의 어려움

  • 초기 성공과 환경 변화: 독일군의 공세는 초기에는 성공적이었으나, 폭우와 진창길로 인해 어려움에 직면하였다.
  • 포병 재배치의 어려움:
    • 화력지원을 위해 준비한 포병들은 아군 보병의 전진에 맞추어 재배치해야 했으나, 진창길로 인해 작업이 극악의 난이도를 자랑하였다.
    • 이로 인해 독일군은 제때 포병대를 재배치하지 못하고, 프랑스군에게 전열을 재정비할 시간을 주었다.
  • 작전 지속 여부 고민: 작전의 지지부진함으로 인해 팔켄하인은 작전 지속 여부에 대해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 크노벨스도르프의 주장: 독일군 참모장 크노벨스도르프는 계속해서 공격을 외쳤고, 결국 작전은 계속되었다.

작전 지속 여부에 대한 논의

  • 조프르의 결정: 조프르는 페탱을 작전에서 제외시키고, 로베르 니벨을 후임으로 임명하였다.
  • 니벨의 공격 명령: 니벨은 즉시 무조건적인 공세를 명령하였고, 그 결과 전투는 더욱 격렬해졌다.
  • 전략적 의미 상실: 공세에 공세로 대응하는 상황이 전개되면서 더 이상의 전략적, 전술적인 의미가 없어졌다.
  • 전투의 지속: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전투는 계속되었고, 양측 모두 큰 피해를 입었다.

프랑스군의 반격과 요새 탈환 시도

  • 페탱의 승진: 5월 초, 페탱은 중앙집단군 사령관으로 승진하였고, 니벨이 베르됭 방어군 사령관이 되었다.
  • 니벨의 최우선 과제: 니벨의 최우선 과제는 두오몽 요새의 탈환이었다.
  • 프랑스 포병의 집중 포격: 5월 15일부터 프랑스 포병은 두오몽 요새에 대한 집중 포격을 시작하였다.
  • 요새 내부의 고통: 요새 안의 독일군은 극심한 고통을 겪었고, 통로가 매몰되고 물 공급이 부족하였다.

보 요새 전투와 독일군의 손실

  • 전투 전개: 6월 초의 전투는 보 요새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 독일군의 공격: 6월 2일부터 독일군은 연이어 요새를 공격하였으나, 매번 큰 손실을 입고 물러났다.
  • 요새 함락의 시간: 보 요새의 함락에는 6일이 걸렸으며, 이는 독일군의 전술적 성과였다.
  • 전선의 악화: 그러나 독일군의 입장은 점점 악화되고 있었고, 동부전선의 붕괴를 막기 위해 병력을 빼내야 했다.

전투 종료와 인명 손실

  • 전투의 종료: 10월 말, 니벨은 반격을 지시하여 두오몽 요새를 회복하였고, 12월 말까지 모든 지역을 회복하였다.
  • 최종 인명 손실: 최종적인 인명 손실은 독일 육군 43만 4000명, 프랑스 육군 55만 여명으로 추산된다.
  • 전투의 비극성: 이 전투는 프랑스군에 의해 분쇄기라고 불릴 정도로 치명적인 피해를 입혔다.
  • 전투의 역사적 의미: 베르됭 전투는 제1차 세계대전의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양측 모두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전투 이후 손실 비율

  • 손실 비율: 베르됭 전투의 전체 양측 손실 비율은 5:4로 나타났다.
  • 전투 기간 동안의 손실: 초기 공세 기간의 급격한 손실을 제외하면, 프랑스와 독일 양측의 병력 손실 비율은 거의 1:1에 근접하게 된다.
  • 전투력 변화: 이는 프랑스군의 전투력이 독일군과 비등해졌음을 의미하며, 더 이상 독일군이 우월한 전투력을 바탕으로 프랑스군에 소모전을 강요할 수 없게 되었음을 나타낸다.
  • 전후 독일군의 입장: 베르됭 전투 이후, 독일군은 솜 전투, 제2차 아라스 전투, 니벨 공세, 제2차 이프르 전투 등에서 수세적 입장으로 전쟁을 수행하게 된다.

페탱 장군의 명성과 비극

  • 페탱 장군의 역할: 베르됭 방어전을 성공으로 이끈 페탱 장군은 구국의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 후일의 항복: 그러나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초기에 나치에게 항복하고, 괴뢰 정부인 비시 프랑스의 수반이 되어 그의 명성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 반역죄로의 연금: 전후에는 반역죄로 여생을 연금 상태로 마치게 된다.
  • 페탱 변호론: 페탱을 변호하는 측에서는 베르됭 전투 당시의 경험이 그로 하여금 비시 정부의 수반으로 활동하며 독일에 대해 유화적인 입장을 취하게 했다고 주장한다.

페탱의 유화적 입장 논란

  • 전투의 충격: 베르됭 전투 당시 프랑스군이 입은 엄청난 피해가 페탱에게 큰 충격으로 남았다고 한다.
  • 희생에 대한 두려움: 그는 다시 그런 희생을 감수할 수 없었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 전쟁 양상의 변화: 제2차 세계 대전이 전쟁 초반부터 제1차 세계 대전의 참호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진행되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주장의 설득력에 의문이 제기된다.
  • 프랑스의 승리를 위한 조치: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페탱이 내린 조치는 프랑스의 승리를 위한 것이었지, 병사들의 목숨을 소중히 여긴 것이 아니었다는 점도 유념해야 한다.

전후 전쟁 분위기 변화

  • 전쟁 분위기 변화: 베르됭 전투는 전쟁을 대하는 각국의 분위기를 180도 바꿔 놓았다.
  • 종전 논의의 시작: 각국의 국민과 정계는 종전을 진지하게 고민하기 시작하였다.
  • 프랑스의 전시 거국내각: 프랑스의 전시 거국내각(Union Sacree)은 종전 여부를 논제로 분열되었다.
  • 독일의 군부 독재체제: 독일에서는 에리히 루덴도르프가 권력을 장악하여 군부 독재체제가 마련되었다.
    에리히 루덴도르프

 

러시아의 브루실로프 공세

  • 협상국 회담: 본래 협상국 주요 4개국(영국, 프랑스 제3공화국, 이탈리아 왕국, 러시아 제국) 회담에서는 1915년에 큰 피해를 입은 러시아를 배려하여 동부전선에서 현상 유지를 하고 나머지 3국이 일제히 서부전선에서 총공세를 펼치기로 합의되었다.
  • 독일의 선제 공격: 그러나 공세에 나서기도 전에 독일이 베르됭 전투로 선수를 쳤다.
  • 프랑스의 구원 요청: 상황이 급해진 프랑스는 기존의 합의를 제쳐두고 러시아에 급히 구원을 요청하게 된다.
  • 러시아의 반응: 러시아가 이에 호응하여 벌어진 것이 러시아 제국 최후의 공세 작전인 브루실로프 공세이다.
    1차 세계대전 - 브루실로프 공세

 

베르됭 전투의 유산

  • 참호전의 참혹함: 베르됭 전투의 참호전이 얼마나 처절했는지, 100년이 지난 지금도 베르됭 일대의 지형은 포격으로 패인 흔적이 남아 있다.
  • 존 루주(Zone Rouge): 이 지역은 존 루주라고 부르며, 불발탄과 지뢰가 너무 많아 출입이 통제되는 장소가 있다.
  • 오염 문제: 비소, 납, 수은, 독가스 오염 문제도 심각하여 일부 지역은 현재까지도 출입이 통제되고 있다.
  • 폭탄 제거 작업: 폭탄 제거반이 1년에 50여 톤의 불발탄을 수거하고 있지만, 이 속도로는 최대 300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측된다.

전투의 비극적 결말

  • 프랑스군의 비참한 결말: 이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비참한 끝을 맞이하였다.
  • 주역들의 운명: 전투의 주역들은 전후에 각기 다른 운명을 겪게 되었다.
  • 역사적 맥락: 이 전투는 제1차 세계대전의 중요한 사건 중 하나로, 프랑스군의 패배가 큰 영향을 미쳤다.
  • 전투의 결과: 전투의 결과는 프랑스군의 사기 저하와 전후 정치적 상황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필리프 페탱의 명성과 추락

  • 페탱의 초기 명성: 필리프 페탱은 전후 한동안 추앙받았으며, 특히 베르됭 전투에서 영웅으로 칭송받았다.
  • 기념물과 초상화: 베르됭 전투 수훈자 명단의 최상단에 페탱의 이름이 걸려 있었고, 전투를 기념하는 건물 안에는 그의 초상화가 가장 크게 걸려 있었다.
  • 명성의 변화: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페탱은 대독 부역혐의로 인해 모든 기념물이 철거되거나 그의 이름이 삭제되었다.
  • 사회적 반응: 이러한 변화는 프랑스 사회에서 페탱에 대한 인식이 급격히 변모했음을 나타낸다.

전후 페탱의 운명

  • 대독 부역혐의: 페탱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대독 부역혐의로 비난받았다.
  • 기념물 철거: 그의 이름이 적힌 명판과 초상화는 모두 철거되었고, 베르됭 전몰자 묘역의 장지도 비어있게 되었다.
  • 역사적 교훈: 이는 전후 역사에서 개인의 명성과 정치적 상황이 어떻게 연결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사회적 영향: 페탱의 추락은 프랑스 사회에서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평가가 얼마나 변할 수 있는지를 시사한다.

로베르 니벨의 지휘와 패배

  • 니벨의 지휘: 페탱이 경질된 이후, 로베르 니벨이 지휘를 맡아 프랑스군 총사령관이 되었다.
  • 참패의 원인: 니벨의 지휘 아래에서 프랑스군은 1917년 1차 대전에서 최악의 참패를 경험하였다.
  • 전략적 실패: 이 참패는 프랑스군의 전략적 실패와 전투 준비 부족을 반영한다.
  • 군사적 영향: 니벨의 패배는 프랑스군의 전반적인 전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군의 비극적 구출 작전

  • 고립된 프랑스군: 6월 초, 보 요새에서 고립된 프랑스군이 구원을 청하는 마지막 전서구를 보냈다.
  • 전서구의 기적적 도착: 이 전서구는 기적적으로 프랑스군 진영에 도착하였으나, 그들은 생을 마감하였다.
  • 레지옹 도뇌르 훈장: 프랑스 육군은 이 전서구에게 레지옹 도뇌르 훈장을 수여하였다.
  • 기념 엽서와 전시: 전서구는 기념 엽서로 만들어져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보 요새의 대규모 공세 실패

  • 구출 작전의 비극: 전서구의 도착 이후, 프랑스군 지휘부는 고립된 아군을 구하기 위해 대규모 공세를 펼쳤다.
  • 공세의 실패: 그러나 이 공세는 모두 실패하였고, 최소 수천 명 이상의 인명이 희생되었다.
  • 고립된 병력: 보 요새에 고립되어 있던 병력은 최대 600여 명으로 추산된다.
  • 전투의 복잡성: 고립된 부대의 구출 요청과 지휘부의 대응은 복잡한 상황을 초래하였다.

두오몽 요새의 참사

  • 두오몽 요새 점령: 1916년 5월, 독일군 병사들이 두오몽 요새를 점령하였다.
  • 연쇄폭발 사고: 독일군 병사들이 화염방사기 연료로 불을 때우다가 연쇄폭발이 발생하여 600명이 즉사하고 수천 명이 부상당하였다.
  • 폭발의 영향: 요새와 같은 견고한 공간에서의 폭발은 사망률을 약 600% 높였다.
  • 전투의 위험성: 이러한 사건은 전투 중의 위험성을 잘 보여준다.

 

생존자에 대한 오해와 비극

  • 생존자의 비극: 몇몇 생존자들이 요새를 탈출했으나, 대폭발에 놀란 병사들이 그들을 오인하여 사살하였다.
  • 오해의 원인: 생존자들은 폭발로 인해 피부가 검댕으로 변해 있었고, 이는 프랑스의 아프리카 식민지 군대의 침투로 오해되었다.
  • 사살 사건의 결과: 이 사건은 전투 중의 혼란과 오해가 얼마나 치명적일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 프랑스 측의 대응: 프랑스 측은 이 폭발을 목격하고 두오몽을 재탈환하기 위한 공세를 개시하였으나 여러 번 실패하였다.

프랑스군의 참호에서 발견된 현상

  • 기이한 현상 발견: 전투 중 프랑스군은 탈환한 참호에서 기이한 현상을 발견하였다.
  • 참호의 매몰: 참호선이 통째로 매몰되어 있었고, 그 위로 총검들이 솟구쳐 있었다.
  • 생매장된 병사들: 발굴 결과, 총검 바로 아래에 수백여 명의 프랑스군 병사들이 생매장되어 있었다.
  • 전투의 비극적 상징: 이 현상은 전투의 비극적 상징으로 여겨지며, 전투 중의 희생을 기리는 의미를 지닌다.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지상최대 전차전: 쿠르스크 전투의 모든 것

 

쿠르스크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투 중 하나로, 독일과 소련 간의 치열한 전투가 벌어진 사건이에요. 이 전투는 1943년 7월 4일부터 8월 23일까지 진행되었고, 전투의 배경을 살펴보면 그 당시 독일의 동부 전선에서의 상황과 소련의 방어 전략이 엮여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전투의 규모는 정말 엄청났어요. 쿠르스크 전투는 역사상 최대의 전차전으로 불리며, 약 8,000대의 전차가 동원되었습니다. 이 전투에서는 독일의 타이거 전차와 소련의 T-34 전차가 치열하게 맞붙었죠. 전투 초기에는 독일군이 우세한 상황이었지만, 소련군의 방어선 강화와 기습적인 반격으로 전세가 뒤바뀌는 순간이 많았어요.

 

 

 

전투 중 발생한 주요 작전과 그에 따른 전투의 전개 상황을 살펴보면, 독일군의 'Zitadelle 작전'은 쿠르스크 돌출부를 목표로 하였는데, 이는 다수의 전차와 항공기를 동원한 대규모 공격이었어요. 소련군은 이 작전이 발생하기 이전에 방어선을 사전에 강화하고, 적의 공격을 예상하여 전투 준비를 철저히 했죠.

 

 

쿠르스크 전투의 결과는 전후 전쟁에 미친 영향이 상당했어요. 이 전투에서 소련군이 승리하게 되면서 독일군은 동부 전선에서 더 이상의 공격을 지속하기 어려워졌고, 이는 전반적인 전쟁의 흐름을 바꿔놓는 계기가 되었어요. 독일의 군사력을 크게 약화시킨 이 전투는 소련군의 사기를 높이고, 전쟁의 주도권을 가져오는 데 큰 기여를 하게 되었죠.

 

 

많은 사람들이 쿠르스크 전투를 역사적 전환점으로 이야기하지만, 이 전투가 남긴 유산은 단순히 군사적 승리에 그치지 않아요. 현대 전쟁에서도 여전히 많은 전술적 교훈을 제공하고 있으며, 전쟁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시하고 있어요.

 

 

 

전투의 전개 과정에서 보여준 전략과 전술의 변화는 오늘날에도 많은 군사 전문가들에 의해 연구되고 있는 주제입니다. 이렇듯 쿠르스크 전투는 단순한 전투의 연대기를 넘어서, 전쟁의 본질과 그에 대한 인간의 응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남아있습니다.

 

 

 

결국, 쿠르스크 전투는 전쟁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사건이며, 전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깊은 고민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죠. 독일과 소련 간의 전투는 많은 이들에게 여전히 흥미로운 주제로 남아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그 역사적 맥락이 계속해서 조명되고 있습니다.

 

 

 


 

 

 

 

 

 

 

 

 

 

 

 


 

쿠르스크 전차전을 배경으로 한 유럽의 해방(liberation) 1부 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zAcLXdGoyI

 

.

 

#태그 #쿠르스크전투 #전차전 #제2차세계대전 #전쟁사 #소련 #독일 #전략 #역사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나무위키 - 쿠르스크 전투

(https://namu.wiki/w/%EC%BF%A0%EB%A5%B4%EC%8A%A4%ED%81%AC%20%EC%A0%84%ED%88%AC)

[2] Wikipedia - 쿠르스크 전투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C%BF%A0%EB%A5%B4%EC%8A%A4%ED%81%AC_%EC%A0%84%ED%88%AC)

[3] YouTube - 독일 vs 러시아, 역사상 최대의 전차전 (https://www.youtube.com/watch?v=-mrRMTKMPN0)

[4] 뉴스1 - [임용한의 역사 크루즈] 쿠르스크 악몽의 전차전① (https://www.news1.kr/life-cultu

출처: https://view6980.tistory.com/291 [view6980 님의 블로그:티스토리]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야마토 전함은 일본 제국 해군의 상징적인 존재로, 그 역사와 설계, 전투, 실패 원인, 그리고 문화적 영향까지 여러 측면에서 흥미로운 이야기를 가지고 있어요. 오늘은 이 전함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려고 해요.

1. 야마토 전함의 역사

야마토 전함은 1937년에 건조가 시작되어 1941년에 완공되었어요.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전함으로 알려졌고, 일본의 군국주의의 상징으로 여겨졌죠. 하지만 이러한 거함이 과연 전쟁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역사 속에서 자리 잡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 개요

  • 일본 제국 해군의 전함에 대한 기본적인 소개로 시작된다.
  • 이 전함은 야마토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본 해군의 상징적인 존재이다.

군축조약과 야마토 건조 배경

  • 일본 제국은 워싱턴 해군 군축조약 런던 해군 군축조약에서 탈퇴하였다.
  • 이러한 탈퇴는 함대결전시 해군의 전력비상 열세를 질로 만회하기 위한 계획의 일환이다.
  • 규격 외의 초거대 전함으로서, 일본 해군의 전력을 강화하기 위해 건조되었다.

야마토의 크기와 무장

  • 야마토 전장 263m, 전폭 39m의 거대한 전함이다.
  • 이 전함은 460mm 함포를 탑재하여 거함거포주의의 정점에 달한 전함으로 평가된다.
  • 비교 대상으로는 영국의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뱅가드, 미국의 아이오와급 전함, 독일의 비스마르크급 전함이 있다.

전함의 전투력과 비아냥

  • 야마토는 상당기간 대기만 하는 초라한 전과로 인해 비아냥을 받았다.
  • 전함의 내부는 호화로운 설비 높은 급식의 질로 여객선에 비유되기도 하였다.
  • 태평양 전쟁 기간 동안, 야마토는 일본군의 대다수 전함들과 함께 항구에 처박혀 있었다.
  • 이로 인해 야마토 호텔이라는 별칭이 붙기도 하였다.

해군 내부의 갈등과 찬반 논쟁

  • 일본 제국 해군 내부에서는 야마토급 전함의 건조 여부를 둘러싸고 상당한 갈등이 존재하였다.
  • 거함거포주의 파벌은 야마토급 전함을 건조하기 위해 상세한 제원과 예산을 확보하였다.
  • 반면, 항공모함 시대를 주장하는 야마모토 이소로쿠와 같은 인물들은 반대 의견을 제시하였다.
  • 그러나 결국 거함거포주의 파벌이 해군의 주류를 차지하게 되었다.

야마토의 명명법과 역사적 배경

  • 야마토라는 이름은 일본 고대국가 야마토 왕권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야마토노쿠니(大和国)에서 따온 것이다.
  • 일본 해군의 전함 명명법은 옛 일본의 율령국에서 유래한다.
  • 자매함 무사시 시나노의 어원도 율령국의 이름에서 비롯되었다.
  • 항공모함 카가 역시 원래 전함이었으며, 번국을 함명으로 사용하는 전통이 있다.

야마토의 승조원과 내부 구조

  • 이시다 나오요시라는 해군 장교의 증언에 따르면, 야마토 내부에는 길을 잃을 때를 고려한 화살표가 곳곳에 있었다.
  • 이러한 표식은 현대의 안내판과 유사한 기능을 하였다.
  • 이는 상당히 큰 배에서만 볼 수 있는 특징이다.

야마토급의 배수량과 기록

  • 야마토급은 두터운 장갑 덕분에 기준배수량 65,000t, 만재 배수량 72,000t에 달하는 거구이다.
  • 이 기록은 1950년대 말에 미국의 포레스탈급 항공모함이 깰 때까지 유지되었다.

야마토의 최후와 역사적 의미

  • 야마토급은 단 1척의 잠수함 어뢰에 의해 격침당한 가장 큰 군함으로 기록된다.
  • 이는 야마토급을 개장해 건조한 항공모함에 해당한다.
  • 야마토는 일본 해군의 자존심을 상징하는 존재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https://www.youtube.com/watch?v=qhdQtwZDkGs

 

Man in the High Castle S03 Yamato class battleship scenes


2. 야마토 전함의 설계와 특징

야마토 전함은 263m에 달하는 길이와 72,000톤에 가까운 배수량을 자랑했어요. 이 전함은 46cm의 대포를 장착하고 있었고, 이는 당시 가장 강력한 화력으로 평가받았죠. 그러나 거대한 크기와 화력에도 불구하고, 디자인의 문제로 인해 실제 전투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했어요. 이 전함의 설계에는 많은 문제점들이 존재했는데, 특히 무게 중심과 이동성의 문제로 인해 기동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어요.

 

 

 

당시 일본 해군은 야마토 전함을 통해 '거함거포전'의 시대를 열고자 했지만, 실제 전투에서의 운용은 예상과 달리 복잡했어요.

 

 

 

고요한 바다를 항해하는 야마토 전함의 모습은 그 자체로도 압도적인 아름다움을 지니고 있었지만, 이러한 외형적인 매력과는 다르게 전투에서의 성능은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어요.

3. 야마토 전함의 전투

야마토 전함은 여러 해전에서 참전했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1945년의 오키나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이때 야마토는 우월한 화력을 발휘했지만, 단독으로는 전투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었어요. 전투 중 미군의 항공기 공격을 받고 큰 피해를 입게 되죠. 이 전투는 야마토 전함의 역사에서 가장 유명한 순간 중 하나로 남아 있어요.

 

 

신뢰를 잃어가는 일본 해군의 현실을 보여주는 전투 장면은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죠.

4. 야마토 전함의 실패 원인

야마토 전함의 가장 큰 문제는 거대한 규모와 설계의 결함이었어요. 당시 해전의 패턴이 변화하면서, 대규모 전함의 필요성이 줄어들었고, 대신 항공모함과 같은 새로운 전투 방식이 부각되었죠. 결국 야마토 전함은 해전에서 그다지 큰 역할을 하지 못하고, 많은 전투에서 무용지물로 전락하게 되었어요.

 

 

이러한 과거의 모습은 야마토 전함이 겪었던 실패를 더 극명하게 드러내죠.

5. 야마토 전함의 문화적 영향

야마토 전함의 이야기는 단순히 군사적 측면을 넘어서 문화적 영향도 미쳤어요. 많은 영화와 소설에서 야마토 전함은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졌는데, 예를 들어 일본 애니메이션에서도 종종 등장하죠. 이러한 작품들은 야마토 전함을 단순한 전투 수단이 아닌 하나의 상징으로 부각시키고 있어요.

 

야마토 전함의 역사적 의미는 그 자체로도 흥미롭지만, 이러한 문화적 해석은 오늘날에도 그 영향력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요.

 

 

이러한 전함의 모습은 여러 세대에 걸쳐 많은 사람들에게 기억되고 있죠.

6. 마무리 및 개인적인 생각

야마토 전함은 단순한 전함을 넘어서 일본 역사와 군사 전략의 아이콘이 되었다고 생각해요. 그 설계의 실패와 전투에서의 무용은 결국 군사적 전략의 변화와 시대의 흐름을 잘 보여주는 사례가 되었죠. 개인적으로는 야마토 전함의 이야기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고 느끼고 있어요. 과거의 실패를 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되는 계기가 되네요.

 

여러분도 야마토 전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첨언: 결국 일본 해군이 삽질 하였음을 만방에 알리다 !!!!

태그

#야마토전함 #일본전함 #군사역사 #해전 #전투 #문화적영향 #군국주의 #실패작 #전쟁사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나무위키 - 야마토급 전함/평가 (https://namu.wiki/w/%EC%95%BC%EB%A7%88%ED%86%A0%EA%B8%89%20%EC%A0%84%ED%95%A8/%ED%8F%89%EA%B0%80)

[2] 나무위키 - 야마토급 전함/문제점 (https://namu.wiki/w/%EC%95%BC%EB%A7%88%ED%86%A0%EA%B8%89%20%EC%A0%84%ED%95%A8/%EB%AC%B8%EC%A0%9C%EC%A0%90)

[3] NAVER - 군국주의 일본 '초거대 전함'은 왜 실패했을까? | 아르키메데스의 ... (https://blog.naver.com/kookbang_media_lab/223118671375)

[4] BEMIL 군사세계 - 일본전함 야마토호에 관한 질문입니다. (https://bemil.chosun.com/nbrd/gallery/view.html?b_bbs_id=10040&pn=5&num=23029)

 

출처: https://view6980.tistory.com/179 [view6980 님의 블로그:티스토리]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 레이테 해전이 일어난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요, 가장 큰 이유는 미국이 필리핀을 재탈환하기 위한 작전을 시작했기 때문이에요. 일본군은 필리핀을 방어하기 위해 대규모 병력을 집결했고, 미국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해군과 공군을 총동원했어요. 필리핀은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어, 양국 모두 필리핀에서의 승리를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답니다.전투 전에 미국은 맥아더 장군 의 지휘 아래 병력을 집결하고, 일본은 그에 맞서 하라타히 해군 중장 을 중심으로 방어 작전을 세웠어요. 이렇게 서로 다른 입장에서 전투 준비를 하게 되었죠.


    주요 참여 세력

    미국 함대 ------------------------------------------------------------------------------------------------------------------------------------- 

    • 제34기동부대 (사령관: 윌리스 리 중장)
      전함(6척): 워싱턴, 앨라배마, 메사추세츠, 사우스다코타, 뉴저지, 아이오와
      중순양함(2척): 뉴올리언스, 위치타
      경순양함(5척): 산타페, 모빌, 빌럭시, 빈센스, 마이애미
      구축함(18척)
    출처: https://view6980.tistory.com/282 [view6980 님의 블로그:티스토리]

     
    • 미군상황 설명 

    • 미군의 필리핀 공략 계획
      • 미군의 목표: 레이테 만에 지상군을 상륙시켜 필리핀을 공략하고자 하였다.
      • 상륙 작전 준비: 미군은 일본 제1항공함대와 제4항공군을 공습하기 위해 9월부터 필리핀에 전개하였다.
      • 작전의 중요성: 필리핀 탈환은 태평양 전쟁에서 중요한 전략적 목표로 여겨졌다.
      • 상륙 작전의 배경: 일본군의 항공세력에 대한 공습은 미군의 상륙 작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였다.
      일본 항공세력의 공습
      • 공습 시기: 10월 중순부터 필리핀 인근 해역인 류큐 제도와 대만의 일본군 항공 세력을 차례로 공습하였다.
      • 공습의 결과: 일본군 항공세력은 큰 피해를 입었으며, 이는 미군의 상륙 작전 준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전략적 우위: 미군의 공습으로 일본군의 항공 지원이 불가능한 상황이 되었다.
      • 공습의 목표: 일본군의 항공력을 약화시켜 미군의 지상군 상륙을 용이하게 하려는 전략이었다.
      일본군의 항공 손실
      • 손실 규모: 10월 18일 시점에서 일본군 항공세력은 700기 이상, 미군 측 자료에 따르면 1,200기의 항공기를 손실하였다.
      • 전투 준비 상태: 일본군의 항공 손실로 인해 본격적인 해전 준비에 차질이 생겼다.
      • 전략적 결과: 일본군의 항공력 약화는 미군의 해상 작전에서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미군의 이점: 미군은 항공 지원을 통해 전투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 상황이 조성되었다.
      레이테 만의 군사 배치
      • 킨게이드 제독의 7함대: 여러 함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상군에게 항공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레이테 만 동쪽과 남쪽 외곽에 전개하였다.
      • 77.2 임무전대: 올덴도르프 제독의 지휘 하에 레이테 만에 직접 들어가 포격 지원을 하기로 하였다.
      • 함대 구성: 6척의 구형 전함, 7척의 순양함, 10척 이상의 구축함으로 구성되어 있다.
      • 작전 목표: 지상군의 상륙을 지원하고 일본군의 저항을 무력화하는 것이었다.
      홀시 제독의 3함대 준비
      • 3함대의 역할: 일본 해군의 역습에 대비하여 외곽에서 함대 결전을 준비하고 있었다.
      • 에식스급 항공모함: 홀시 제독의 3함대에는 질적으로 다른 에식스급 항공모함과 고속전함들이 배치되었다.
      • 38 임무부대: 마크 미처 제독의 지휘 하에 3척의 에식스급 항공모함이 포함된 강력한 전대가 존재하였다.
      • 재보급 작전: 이 전대는 울리시 해군기지에 재보급을 받으러 가다 돌아오고 있는 중이었다.
      일본 해군의 침입 경로
      • 침입 경로: 일본 해군이 침입할 가능성이 있는 경로는 남쪽의 수리가오 해협과 북쪽의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이었다.
      • 초계 작전: 남쪽의 수리가오 해협에 어뢰정을 배치하여 초계하도록 하였다.
      • 적 발견 시 대응: 적이 발견되면 77.2 임무전대가 호위항공모함의 항공 지원을 받으며 격퇴하기로 하였다.
      •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 이 해협은 구불구불하여 침공하기 불리한 장소였으나, 3함대가 방어할 영역으로 설정되었다.
      미군의 전력 우위
      • 전력 비교: 미군의 전력은 일본군의 전력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막강하였다.
      • 항공 지원의 중요성: 미군은 항공모함과 지상 기지로부터의 압도적인 항공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
      • 일본군의 한계: 일본군은 항공 지원을 받지 못해 전투에서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 전투 결과 예측: 각 함대가 임무를 완수하기만 해도 일본 해군은 전멸할 가능성이 높았다.
      합동 작전의 복잡성
      • 작전의 독립성: 필리핀 탈환전은 독립적인 작전권을 가진 두 개의 해역군이 동원된 대규모 전투였다.
      • 해역군의 구성: 니미츠 제독의 태평양해역군과 맥아더 장군의 남서태평양해역군이 합동 작전을 펼쳤다.
      • 이전의 작전과 차별성: 이전에도 항공모함을 빌려주는 일이 있었으나, 온전한 합동 작전은 아니었다.
      • 작전의 복잡성: 두 해역군의 통합사령관 없이 독자적인 전투를 실행하게 되었다.
      지휘권의 문제
      • 명목상의 지휘관: 필리핀 탈환전의 명목상의 지휘관은 맥아더 장군이었으나, 그의 지휘권은 남서태평양해역군에만 해당되었다.
      • 협조 요청의 한계: 태평양 함대에 대해서는 니미츠 제독을 통해 '협조 요청'이라는 형식을 취할 수밖에 없었다.
      • 비협조의 원인: 두 해역군 간의 비협조는 작전의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었다.
      • 상급자의 역할: 상급자로서 워싱턴에 있는 합동참모회의 의원을 사령관으로 모셔오는 것도 불가능하였다.
      비협조의 결과
      • 비협조의 영향: 3함대와 7함대 간의 비협조는 작전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작전의 성공 가능성: 비협조로 인해 필리핀 탈환전의 성공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었다.
      • 전투의 복잡성: 두 해역군의 독립적인 작전 수행은 전투의 복잡성을 증가시켰다.
      • 결과적 문제: 이러한 비협조는 전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 일본 연합함대 --------------------------------------------------------------------------------------------------------------------------------

    • 일본 함대 상황
    •  
    • 일본은 항공모함과 전투함을 포함한 큰 규모의 함대를 구성했어요. 일본 해군은 미 해군의 공격을 저지하기 위해 강력한 전투 전략을 세웠지만, 다수의 전투에서 엄청난 피해를 입었답니다.

    • 연합함대 (사령장관:도요타 소에무 대장)
    • 제1유격부대: (제2함대 사령관 구리타 다케오 중장: 수마트라 링가 정박지 / 기함; 아타고  야마토)

      사마르 해전 참가 부대
      • 제1부대(구리타 직속) 19척
        • 제1전대(전함 3척)
        • 제4전대(중순양함 4척)
        • 제5전대(중순양함 2척)
        • 제2수뢰전대(경순양함 1척, 구축함 9척)
      • 제2부대(스즈키 요시오 중장) 13척
        • 제3전대(전함 2척)
        • 제7전대(중순양함 4척)
        • 제10전대(경순양함 1척, 구축함6척)
      • 제3부대(니시무라 쇼지 중장 / 기함; 야마시로) 척
        • 제2전대(전함 2척, 중순양함 1척)
          • 제4구축함분대(구축함 4척)
    • 기동부대: (제3함대 사령관 오자와 지사부로: 일본 본토 서부 해역 / 기함; 즈이카쿠)
      엔가노 곶 해전 참가 부대   8척
      • 제3항공전대(오자와 직속)
        항공모함 4척
      • 제4항공전대(마쓰다 지아키 소장)
        전함 2, 경순양함 2척 (항공기 탑재)
      • 제31전대(에도 헤이타로 소장)
    • 제2유격부대: (제5함대 사령관 시마 기요히데: 일본 본토 / 기함; 나치) 7척
      • 제21전대(시마 중장 직속)
        중순양함 2척
      • 제1수뢰전대:(기무라 마사토미 소장)
        경순양함 1, 구축함 4척
    • 선견부대: (제6함대 사령관 미와 시게요시) 
      참가 잠수함 12척
    • 제5기지항공부대: (제1항공함대 사령관 오니시 다키지로: 필리핀 세부)
      실가동 전력 약 40기
    • 제6기지항공부대: (제2항공함대 사령관 후쿠도메 시게루: 타이완)
      실가동 전력 약 223기

    • 육군
    • 제4항공군(사령관 도미나가 교지[32]: 필리핀 바콜로드)
      실가동 전력 약 70기
    일본군 항공모함의 패배
    • 일본군의 항공모함 세력은 필리핀 해 해전에서 패배하여 재기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렀다.
    • 이로 인해 연합함대는 전함 위주의 작전을 수립할 수밖에 없었다.
    • 항공모함은 후일을 기약하는 방법이 있었으나, 일본 해군 수뇌부는 이 해전에 올인하기로 결정하였다.
    • 결과적으로 항공모함은 미끼로 사용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되었다.
    양동작전의 계획
    • 일본 해군은 태평양 전쟁 내내 양동작전을 준비하였다.
    • 니시무라 함대 시마 함대는 남쪽을 통해 레이테 만으로 진입할 계획이었다.
    • 구리다 함대는 산 베르나르디노 해협을 통과하여 레이테 만 동쪽으로 진입하기로 하였다.
    • 오자와 지사부로가 이끄는 함대는 북쪽에서 항공모함을 이끌기로 하였다.
    구리다 함대의 전략
    • 니시무라, 시마, 오자와 함대는 모두 구리다 함대를 위한 양동작전이었다.
    • 일본군의 전략은 주력함대를 북쪽과 남쪽으로 끌어낸 후, 연합함대의 최고의 패인 야마토, 무사시, 나가토를 사용하여 적의 심장부를 타격하는 것이었다.
    • 작전이 성공하더라도 수상함대가 살아돌아올 가능성은 거의 없었다.
    • 올인하는 전략은 일본 해군의 기존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았으나, 승리를 얻겠다는 구상은 일본군답지 않은 면이 있었다.
    일본 해군의 전술적 갈등
    • 당시 일본 해군은 파벌이 갈려 있었으며, 크게 전함파 항공파로 나눌 수 있다.
    • 각 파벌에 따라 전술에 대한 관점이 달라졌으며, 기함의 역할에 대한 의견도 갈렸다.
      • 전함파 내부에서도 수뢰전 포술에 대한 의견이 나뉘었다.
      • 기함으로 어떤 배를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있었다.
    • 전함파는 전파 침묵 야간전에 집착하였고, 이로 인해 수리가오 해협 해전에서 패배를 자초하였다.
    일선 장교들의 비판
    • 일선 장교들은 연합함대 사령부에 문제를 제기하였다.
    • 러일전쟁 당시와 달리, 2차 대전기에는 연합함대 지휘부가 실전에 나가지 않았다.
    • 야마모토 이소로쿠와 같은 지휘관들은 전함을 호텔처럼 사용하였고, 작전의 실효성을 떨어뜨렸다.
    • 구리다 타케오와 같은 고위 지휘관들은 실전에 나가지 않으면서도 작전을 담당하는 상급 총사령부의 입지를 애매하게 만들었다.
    지휘부의 실패와 보신주의
    • 지휘관이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는 사소한 문제로 여겨졌다.
    • 항공모함을 기함으로 삼았던 나구모 오자와는 선두에 설 수 없었으나, 일본군 내에서는 이들에게 지휘관 선두를 요구하지 않았다.
    • 보신주의에 젖은 고위 지휘관들이 싸움을 피함으로써, 최고사령부의 의도가 현장에 전달되지 못하였다.
    • 진주만 공습은 야마모토 이소로쿠에 의해 주도되었으나, 본인이 참가하지 않아 전략적 가치가 높은 항공모함과 항만 시설에 타격을 입히지 못하였다.
    상층부의 권위 상실
    • 도요타 소에무는 본토로 도망치면서 잔존 함대에 황국의 흥폐가 달렸다고 훈시하였다.
    • 그는 미 육군 수송선단과 동귀어진하라는 명령을 내린 전함파의 일원이었다.
    • 이러한 행동은 상층부가 일선 장병들에게 권위와 신뢰를 상실하게 만든 원인이 되었다.
    • 일본 해군의 상층부는 표리부동한 태도를 보였으며, 이는 군의 사기와 전투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레이테 해전에서 미국과 일본 양측은 각각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답니다. 미국은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 등 다양한 전투함을 투입했어요. 특히 항공모함은 공중 지원을 위해 필수적이었고, 그로 인해 미국의 전투력은 한층 더 강화되었답니다.
    • 이 해전은 레이테 만에서 벌어진 것이 아니나, 일본군의 목표가 레이테 만을 통해 상륙을 벌이려던 미군을 저지하는 것이었고 각 해전이 연관되어 있기에 레이테 만 해전으로 불리는 것이다.
    • 미국이 일본 제국 해군을 완전히 재기불능 상태로 만든 전투이자 일본 해군의 총력전. 그리고 인류의 전쟁사 최대 규모의 해전이었다. 태평양 전선 기간인 1944년의 필리핀 탈환전역 중 10월 22일에서 27일까지 벌어진 시부얀 해전, 수리가오 해전, 엔가노 곶 해전, 사마르 해전을 통틀어 말하는 함대결전급 해전이다. 야마토급 전함나가토급 전함아이오와급 전함 등 미국, 일본 둘 다 최신 거함들을 한데 끌고 나왔다.
    •  
    • 레이테 해전의 배경 
    •  
    • 레이테 해전은 제2차 세계대전 중 가장 큰 해전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 전투는 1944년 10월 20일부터 26일까지 필리핀 레이테 만에서 벌어졌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 전투를 통해 전쟁의 흐름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알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오늘은 레이테 해전의 배경, 주요 참여 세력, 전투의 전개, 그리고 결과와 영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해요.
    •  
    • 레이테 해전은 여러 차례의 해상 전투로 이루어졌어요. 처음에는 미군의 공습이 시작되었고, 일본 해군은 이에 맞서 여러 차례 반격을 시도했어요. 이 과정에서 양측은 많은 전투함과 항공기를 잃었답니다.
    • 특히 전투의 전개 과정에서 미국의 승리로 이어진 여러 전투가 있었어요. 미국은 일본의 주요 함대를 상대하며 놀라운 전투력을 보여줬고, 일본군의 기세는 차츰 꺾이게 되었죠. 이 모든 과정에서 미군의 전략적인 판단이 큰 역할을 했답니다.
    • 전투 중에는 해상에서의 대규모 전투 외에도 육상의 교전도 있었어요. 미군 병사들은 해변으로 상륙하고, 일본군은 이를 저지하기 위해 필사적으로 방어했답니다. 그 모습이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긴장감을 주었어요.
    <전투 결과와 영향>
    • 레이테 해전의 결과는 미군의 압도적인 승리로 마무리되었어요. 이 전투로 일본 해군은 큰 피해를 입었고, 미국은 필리핀을 재탈환하게 되었죠. 이 승리는 제2차 세계대전의 전반적인 전쟁 양상에 많은 영향을 미쳤어요. 일본의 저항력이 크게 약화되었고, 미국은 태평양 전쟁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확고히 하게 되었답니다.
     
    • 레이테 해전은 단순한 해전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이 전투로 인해 전후 세계질서가 변화하게 되었고, 많은 이들이 전쟁의 비극을 다시 한 번 되새기게 되었답니다.
    • 레이테 해전 관련 이미지
    • 전투의 모습을 더욱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해 이미지 몇 장을 소개할게요
    • 이 지도는 레이테 해전의 해상 전투를 설명하는데 유용해요. 각각의 경로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한눈에 보여주죠.
    • 또한 해전 중의 격렬한 전투 장면을 담은 이미지도 있어요.
    전투의 긴박함이 느껴지는 장면이에요.
     
    • 레이테 해전은 군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사건으로 남아있죠. 이 전투를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느낄 수 있었던 것 같아요.
    각 이미지를 통해 역사 속의 전투를 보다 현실감 있게 느껴보세요!
     


  •  
  •  
  • < 전투 진행 과정 > 
  •  
  •  
  •  
  • 출처: https://view6980.tistory.com/282 [view6980 님의 블로그:티스토리]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워털루 전투 개요

  • 전투 날짜 및 장소: 워털루 전투는 1815년 6월 18일에 오늘날의 벨기에 워털루 인근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 주요 인물: 이 전투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 북부군이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의 주요 군대에게 패배하였다.
  • 연합군 구성: 연합군은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가 이끄는 영국 주축의 군대와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전투의 결과: 이 전투로 인해 나폴레옹 전쟁은 완전히 종결되었다.

 

 

 

전투의 배경

  • 나폴레옹의 복귀: 1815년 3월, 나폴레옹이 다시 황제가 되자 많은 유럽 국가들은 그에 대항하여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였다.
  • 군대 동원: 동맹국들은 나폴레옹에 맞서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기 시작하였다.
  • 군대 위치: 웰링턴과 블뤼허의 군대는 프랑스 북동부의 국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 전략적 목표: 나폴레옹은 연합군을 각개격파하여 다른 연합군이 협조하여 프랑스를 침공하는 것을 차단하려고 하였다.

전투 전개와 전략

  • 리니 전투: 6월 16일, 나폴레옹은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성공적으로 공격하였다.
  • 카트레브라 전투: 프랑스의 일부 군대는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영국 주축의 연합군을 공격 중이었다.
    카트레브라 전투
  • 방어 성공: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방어에 성공하였으나, 프로이센군의 패배로 인해 웰링턴은 17일에 워털루로 이동해야 했다.
  • 추격 작전: 나폴레옹은 웰링턴과 함께 후퇴하는 프로이센군을 추격하기 위해 제3파를 보냈다.

 

리니 전투와 카트레브라 전투

  • 전투의 연속성: 리니 전투와 카트레브라 전투는 워털루 전투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프랑스군의 공격: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영국 주축의 연합군을 공격하였으나, 프로이센군의 패배로 인해 상황이 복잡해졌다.
  • 전략적 이동: 웰링턴은 프로이센군의 패배 후, 전투를 위해 워털루로 이동하였다.
  • 전투의 긴장감: 이 시점에서 전투의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양측의 군대는 서로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웰링턴의 방어와 프로이센군의 지원

Arthur Wellesley, 1st Duke of Wellington (1769-1852)

  • 전투 결심: 웰링턴은 프로이센군이 지원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후, 몽생장의 브뤼셀 도로에서 전투를 하기로 결심하였다.
  • 방어 성공: 웰링턴은 18일까지 프랑스군의 반복적인 공격을 막아냈다.
  • 프로이센군의 도착: 격렬한 전투 끝에 프로이센군이 도착하여 영국군을 지원하였다.
  • 연합군의 협력: 웰링턴과 프로이센군의 협력은 전투의 결과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나폴레옹이 프로이센군을 발견하다

전투의 결말

  • 마지막 공격: 저녁에 나폴레옹은 마지막 예비군인 제국친위대를 투입하여 마지막 공격을 감행하였다.
  • 영국군의 저항: 영국군은 나폴레옹의 마지막 공격을 다시 격퇴하였다.
  • 프랑스군의 패배: 프로이센군이 프랑스군의 우익을 돌파하면서, 웰링턴이 이끄는 영국 주축의 연합군도 중앙에서 반격을 개시하였다.
  • 전투의 종료: 결국 프랑스군은 궤멸되었고, 전투는 종료되었다.

전투의 역사적 의의

  • 결정적 전투: 워털루 전투는 워털루 전역 나폴레옹 전쟁의 결정적 전투로 평가된다.
  • 웰링턴의 발언: 웰링턴은 이 전투를 "전투는 당신의 삶에서 당신이 본 것 중 가장 아찔한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 나폴레옹의 폐위: 전투 후 4일이 지나 나폴레옹은 폐위되었다.
  • 연합군의 파리 입성: 7월 7일, 연합군은 파리에 입성하였다.

나폴레옹의 몰락

  • 통치의 종말: 워털루 전투의 패배는 나폴레옹의 통치를 끝냈다.
  • 백일천하의 종료: 그의 백일천하도 이 전투로 끝났다.
  • 프랑스 제1제국의 붕괴: 이 전투는 프랑스 제1제국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 역사적 영향: 워털루 전투는 유럽 역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남아 있다.

워털루 전투 개요

  • 전투 날짜 및 장소: 워털루 전투는 1815년 6월 18일에 오늘날의 벨기에 워털루 인근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 주요 인물: 이 전투에서 나폴레옹 보나파르트가 이끄는 프랑스 북부군이 제1대 웰링턴 공작 아서 웰즐리가 이끄는 영국 주축의 연합군과 게프하르트 레베레히트 폰 블뤼허가 이끄는 프로이센군에게 패배하였다.
  • 전투의 결과: 이 전투로 인해 나폴레옹 전쟁은 완전히 종결되었다.
  • 전투의 중요성: 워털루 전투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전투로, 나폴레옹의 통치와 프랑스 제1제국의 운명을 결정짓는 계기가 되었다.

전투의 배경

  • 나폴레옹의 복귀: 1815년 3월, 나폴레옹이 다시 황제가 되자, 많은 유럽 국가들은 그에 대항하기 위해 제7차 대프랑스 동맹을 결성하였다.
  • 군대 동원: 동맹국들은 나폴레옹에 맞서기 위해 군대를 동원하기 시작하였다.
  • 군대의 위치: 웰링턴과 블뤼허의 군대는 프랑스 북동부의 국경지대에 위치하고 있었다.
  • 전략적 목표: 나폴레옹은 연합군이 협조하여 프랑스를 침공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그들을 각개격파하려고 하였다.

전투 전개와 전략

  • 나폴레옹의 계획: 나폴레옹은 연합군을 각개격파하여 그들의 협력을 방해하려고 하였다.
  • 리니 전투: 6월 16일, 나폴레옹은 리니 전투에서 프로이센군을 성공적으로 공격하였다.
  • 카트레브라 전투: 프랑스군은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영국 주축의 연합군을 공격 중이었다.
  • 전투의 결과: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방어에 성공하였으나, 프로이센군의 패배로 인해 웰링턴은 17일에 워털루로 이동해야 했다.

리니 전투와 카트레브라 전투

  • 전투의 연속성: 리니 전투와 카트레브라 전투는 워털루 전투의 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 프랑스군의 공격: 프랑스군은 카트레브라 전투에서 영국군을 공격하였으나, 프로이센군의 패배로 인해 상황이 불리해졌다.
  • 웰링턴의 결정: 웰링턴은 프로이센군의 후퇴를 감지하고, 그들을 지원하기 위해 워털루로 이동하였다.
  • 전투의 긴장감: 이 시점에서 전투의 긴장감이 고조되었고,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추격하기 위해 병력을 보냈다.

웰링턴의 방어와 프로이센군의 지원

  • 웰링턴의 결심: 웰링턴은 몽생장의 브뤼셀 도로에서 전투를 하기로 결심하였다.
  • 프랑스군의 공격 방어: 웰링턴은 18일까지 프랑스군의 반복적인 공격을 막아냈다.
  • 프로이센군의 도착: 격렬한 전투 끝에 프로이센군이 도착하여 영국군을 지원하였다.
  • 전투의 전환점: 프로이센군의 지원은 전투의 전환점이 되었고, 웰링턴의 방어가 더욱 강화되었다.

전투의 결말

  • 나폴레옹의 마지막 공격: 저녁에 나폴레옹은 마지막 예비군인 제국친위대를 투입하여 마지막 공격을 감행하였다.
  • 영국군의 저항: 영국군은 나폴레옹의 마지막 공격을 다시 격퇴하였다.
  • 프랑스군의 궤멸: 프로이센군이 프랑스군의 우익을 돌파하면서 웰링턴이 이끄는 연합군도 중앙에서 반격을 개시하였고, 결국 프랑스군은 궤멸되었다.
  • 전투의 종료: 이로써 워털루 전투는 결정적인 전투로 기록되었다.

전투의 역사적 의의

  • 결정적 전투: 워털루 전투는 워털루 전역 나폴레옹 전쟁의 결정적 전투로 평가된다.
  • 웰링턴의 발언: 웰링턴은 이 전투를 "전투는 당신의 삶에서 당신이 본 것 중 가장 아찔한 것"이라고 표현하였다.
  • 나폴레옹의 폐위: 전투 후 4일이 지나 나폴레옹은 폐위되었다.
  • 연합군의 파리 입성: 7월 7일, 연합군은 파리에 입성하였다.

나폴레옹의 몰락

  • 통치의 종말: 워털루 전투의 패배는 나폴레옹의 통치를 끝내는 계기가 되었다.
  • 백일천하의 종료: 나폴레옹의 백일천하도 이 전투로 끝났다.
  • 프랑스 제1제국의 붕괴: 이 전투는 프랑스 제1제국의 붕괴를 초래하였다.
  • 역사적 영향: 워털루 전투는 유럽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사건으로 남아 있다나폴레옹의 엘바섬 탈출
    • 워털루 전투는 1815년 6월 18일에 발생한 전투이다.
    • 나폴레옹은 1813년 라이프치히 전투에서 패배한 후, 1814년 4월에 폐위되어 엘바섬으로 추방되었다.
    • 그러나 빈 회의에서의 연합군 간의 다툼을 목격한 나폴레옹은 1815년 2월 26일에 엘바섬을 탈출하였다.
    • 나폴레옹은 남프랑스의 주앙에 상륙한 후 병사를 모으면서 파리로 향하였다.
    나폴레옹의 복귀와 유럽의 반응
    • 나폴레옹의 복귀 소식은 유럽을 두려움에 떨게 만들었다.
    • 프랑스 제국의 해체로 인해 생기는 영토와 이득을 욕심낸 연합국은 일제히 단결하여 각 방향에서 프랑스를 향해 진격하였다.
    • 나폴레옹은 제국의 부활을 선언하고 동맹국에게 공존을 주장하였다.
    전투 준비와 병력 배치
    • 나폴레옹은 신규로 징병한 병력을 더해 각 방향에 대한 방어를 준비하였다.
    • 주력군은 12만 8천 명과 대포 366문을 북쪽 방향에 집중시켰다.
    • 웰링턴군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출발한 연합군으로, 10만 7천 명에 달하며 대포 216문을 보유하였다.
    웰링턴군과 프로이센군의 상황
    • 프로이센군은 벨기에 리에주에서 출발하여 나폴레옹군과 대등한 병력 12만 8천 명과 대포 312문을 보유하였다.
    • 병력을 비교할 때, 프랑스군은 연합군에게 크게 뒤지지만 각각 나눠 비교할 경우 승산이 있었다.
    • 웰링턴군의 대부분은 영국해협의 항구들을 지키기 위해 파견되었기 때문에, 6월 16일 카트르 브라-워털루로 집결할 수 있었던 병력은 고작 3만 6천 명에 불과하였다.
    리니 전투와 나폴레옹의 승리
    •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기 위해 네 원수에게 병력 2만 4천 명을 맡겼다.
    • 자신은 8만 병력을 이끌고 리니에서 프로이센군과 전투를 벌였다.
    • 6월 16일 리니 전투에서 나폴레옹은 승리하였으나, 프로이센군을 완벽하게 격파하지는 못하였다.
    • 퇴각한 프로이센군은 블뤼허 원수가 중상을 입어 참모장 그나이제나우 장군이 대신 지휘를 맡게 되었다.
    웰링턴의 후퇴와 전략
    • 웰링턴은 블뤼허와 합류한 뒤 결전을 벌일 예정이었으나, 블뤼허가 후퇴했기 때문에 자신의 군도 후퇴하였다.
    • 그는 몽을 지키기 위해 병력 2만 9천여 명을 파견하고, 남은 6만 8천 병력을 워털루 쪽으로 후퇴시켰다.
    •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이 동쪽으로 완전히 퇴각한 것으로 잘못 생각하였다.
    전투 준비와 나폴레옹의 전략
    • 웰링턴군은 몽-생-장에 구축한 방어 진지에 도착하였다.
    • 웰링턴은 프랑스군이 서쪽으로 우회할 것을 두려워하여 1만 5천 명을 우익에 배치하였다.
    • 나폴레옹은 웰링턴군 정면에 포진하고, 보병 사단을 전면에 배치하였다.
    전투 개시 지연과 결과
    • 전날밤의 비로 인해 땅이 진흙탕처럼 변해버려 대포의 이동이 늦어졌다.
    • 나폴레옹은 공격 개시 시간을 아침 9시에서 오전 11시로 늦추었다.
    • 이 지연은 나중에 프랑스군이 패배한 한 가지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워털루 전투 개요

  • 전투 배경: 프랑스군 7만 2천 명과 웰링턴군 6만 8천 명이 워털루에서 맞붙게 되었다.
  • 병력 분산: 양측의 병력이 여러 방향으로 분산되어 전투가 진행되었다.
  • 전투의 시작: 프랑스군은 연속적인 포격으로 웰링턴군의 전선을 압박하였다.
  • 웰링턴의 전략: 웰링턴은 중앙 병력을 유인하기 위해 공격을 받았으나, 예비 병력을 보존하며 방어에 집중하였다.

웰링턴의 방어 전략

  • 방어 진지: 웰링턴이 의지한 진지는 가로로 긴 산등성이로, 방어에 유리한 위치였다.
  • 후퇴 전략: 웰링턴군은 위험한 상황이 아니면 부대를 후퇴시켜 프랑스군의 포격을 피하였다.
  • 병력 배치: 웰링턴군은 방어에 매진하며, 적의 공격에 대비한 병력 배치를 하였다.
  • 전투의 긴장감: 웰링턴은 적의 공격에 대비하여 신중하게 병력을 운영하였다.

나폴레옹의 전술적 실수

  • 전령의 부족: 나폴레옹은 그루시 원수를 불러들이기 위해 전령을 보냈으나, 단 1명의 전령만을 보내는 실수를 저질렀다.
  • 술트 원수의 역할: 술트 원수는 군단 사령관으로서의 경험이 부족하여 참모장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다.
  • 나폴레옹의 불만: 나폴레옹은 "베르티에였다면 스무명은 보냈을 텐데."라고 중얼거리며 불만을 표출하였다.
  • 전술적 지시: 나폴레옹은 몽-생-장의 산등성이에 맹포격을 지시하였다.

 

 

프랑스군의 공격과 저항

  • 중앙 사단의 전진: 오후 1시를 넘기며, 에르몽이 지휘하는 중앙 4개 사단이 전진하였다.
  • 웰링턴의 방어: 웰링턴은 우익의 농가를 방어 거점으로 삼아 공격에 대응하였다.
  • 전투의 격렬함: 이 공격으로 인해 웰링턴군의 방어선이 격전 끝에 함락당하였다.
  • 전선의 변화: 프랑스군의 공격으로 전선에 큰 변화가 생겼고, 웰링턴군은 방어에 어려움을 겪었다.

기병대의 돌격과 전투

  • 흉갑기병대의 출격: 나폴레옹은 흉갑기병대를 풀어 공격 성과의 확대를 기도하였다.
  • 웰링턴의 반격: 웰링턴은 중기병 2개 여단을 출격시켜 프랑스 흉갑기병을 격파하였다.
  • 전투의 혼란: 프랑스 포병 진지를 습격하려던 웰링턴은 폴란드 창기병에게 격퇴당하였다.
  • 보병 사단의 분쇄: 에르몽의 보병 4개 사단이 웰링턴군 제1방위선을 분쇄하였다.

 

전투의 교착 상태

  • 교착 상태의 발생: 보병의 정면 돌격에도 열리지 않아 전황은 교착 상태에 빠졌다.
  • 프로이센군의 긴급성: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이 도착하기 전에 결판을 지어야 했다.
  • 포격 재개: 나폴레옹은 포격을 재개하였고, 웰링턴은 병력의 소모를 막기 위해 후퇴하였다.
  • 기병의 대집단 돌격: 네는 기병의 대집단을 이끌고 일제돌격을 감행하였으나, 웰링턴의 방진에 의해 저지되었다.

프로이센군의 도착과 반격

  • 프로이센군의 지원: 오후 6시, 프로이센군이 도착하여 웰링턴군의 좌익을 보강하였다.
  • 웰링턴의 방어 전술: 웰링턴은 보병을 4열 횡대로 산개시켜 방어를 강화하였다.
  • 나폴레옹의 근위사단 투입: 나폴레옹은 근위사단을 투입할 시기를 고려하였다.
  • 영국군의 반격: 영국 근위 사단이 일제사격을 퍼부어 프랑스군을 무너뜨렸다.

나폴레옹의 퇴각과 전투 결과

  • 전투의 전개: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을 격파하기 위해 네 원수에게 병력 2만 4천 명을 맡겼다.
  • 리니 전투의 승리: 6월 16일 리니 전투에서 승리하였으나, 완벽하게 격파하지는 못하였다.
  • 블뤼허의 부상: 퇴각한 프로이센군은 블뤼허가 중상을 입어 참모장이 지휘하게 되었다.
  • 전투의 피해: 네 원수는 카트르 브라에서 사상자 4300명, 웰링턴은 3463명을 기록하였다.

웰링턴의 후퇴와 방어 준비

  • 후퇴 결정: 웰링턴은 블뤼허와 합류할 계획이었으나, 블뤼허의 후퇴로 인해 자신의 군도 후퇴하였다.
  • 방어 진지 구축: 웰링턴은 몽을 지키기 위해 병력 2만 9천여 명을 파견하였다.
  • 전투 준비: 웰링턴은 남은 6만 8천 병력을 워털루 쪽으로 후퇴시켰다.
  • 나폴레옹의 오판: 나폴레옹은 프로이센군이 동쪽으로 완전히 퇴각했다고 잘못 생각하였다.

전투 개시 지연의 원인

  • 기상 조건의 영향: 전날밤의 비로 인해 땅이 진흙탕처럼 변해 대포의 이동이 늦어졌다.
  • 공격 개시 시간 조정: 나폴레옹은 공격 개시 시간을 아침 9시에서 오전 11시로 늦추었다.
  • 패배의 원인: 이 지연이 나중에 프랑스군의 패배에 결정적인 원인이 되었다.
  • 전투 준비의 중요성: 전투 개시 전의 준비가 전투 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워털루에서 프랑스 기병을 날려먹은 원흉은 누구인가? - 토탈 워 마이너 갤러리
나폴레옹 전쟁 (8) - 라스트 워털루
1815년 6월 18일 : 나폴레옹의 워털루 전투방문
하늘이 허락하지 않은 나폴레옹의 부활 - 워털루전투 (1815)
15화 워털루, 나폴레옹의 엔드게임 1815년
15화 워털루, 나폴레옹의 엔드게임 1815년
워털루 전투

 

 

728x90
반응형
LIST
728x90
반응형

미드웨이 해전 리뷰: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

 

 

 


날짜장소결과
1942년 6월 4일 ~ 1942년 6월 7일
미드웨이 환초 인근 해상
미군의 승리

교전국지휘관군대병력

 미국  일본 제국
체스터 니미츠
프랭크 잭 플레처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
야마모토 이소로쿠
나구모 주이치
야마구치 다몬 
곤도 노부타케
 태평양 함대
미국 육군 항공대

미국 해병대
 연합함대
[1] 항공모함 타격부대
급유대
  • 구축함 4척
  • 급유함 3척
잠수함대
미드웨이 기지 항공대
  • 항공기 101대
  • 비행정 31대
  • 수상기 1대
미드웨이 제도, 쿠레섬
  • 어뢰정 10척
  • 방뢰/방잠망 부설선 1척
프렌치프리깃 암초
  • 수상기모함 2척
  • 구축함 1척
펄앤드허미즈 환초
  • 급유함 1척
  • 개장 초계함 1척
  • 예인함 1척
기타 제도
  • 기타 함정 4척
[2] 제1항공함대
  • 정규항공모함 4척
  • 전함 2척
  • 중순양함 2척
  • 경순양함 1척
  • 구축함 12척
  • 급유선 1척
  • 특설급유선 7척
  • 항공기 248대
  • 수상기 16대
미드웨이 공략부대
  • 경항공모함 1척
  • 전함 2척
  • 중순양함 8척
  • 경순양함 1척
  • 구축함 11척
  • 공작함 1척
  • 급유함 2척
  • 급유선 2척
  • 항공기 20대
선단부대
  • 경순양함 1척
  • 구축함 10척
  • 초계정 4척
  • 수송선 14척
  • 급유선 1척
  • 특설소해정 4척
  • 특무함 2척
항공대
  • 수상기모함 2척
  • 구축함 1척
  • 초계정 4척
  • 수상기 12대
잠수함대
  • 경순양함 1척
  • 잠수모함 2척
  • 잠수함 18척
주력부대
  • 경항공모함 1척
  • 수상기모함 2척
  • 전함 7척
  • 경순양함 3척
  • 구축함 21척
  • 특설급유선 4척
  • 항공기 8대
기지항공대
  • 항공기 389대
  • 비행정 18대


일본의 작전 계획 개요

  • 미드웨이 공격과 알류산 열도 공격: 일본은 미드웨이 공격과 동시에 알류산 열도를 공격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 작전의 주요 목표:
    1. 알래스카 방어: 알류산 열도의 애투섬과 키스카섬을 점령하여 알래스카를 통해 북쪽에서 일본을 위협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2. 미국의 주목 분산: 미국의 시선을 북쪽으로 돌려 미드웨이섬에 대한 관심을 줄이려는 전략이 포함되었다.
  • 작전의 우선순위: 알류산 열도에 대한 공격은 미드웨이에 대한 공격보다 먼저 이루어질 계획이었다.

알류산 열도 점령의 목적

  • 점령의 필요성: 알류산 열도를 점령함으로써 일본은 북쪽에서의 위협을 차단하고자 하였다.
  • 전략적 이점:
    • 미국의 방어선 약화: 알래스카를 통해 일본의 공격을 방어하는 미국의 능력을 약화시키는 것이 목표였다.
    • 전선 분산: 미국의 군사적 자원을 분산시켜 미드웨이에 대한 방어를 약화시키려는 의도가 있었다.

미드웨이 점령의 전략

  • 미드웨이섬의 중요성: 미드웨이섬을 점령하여 하와이 및 미국 본토 공격의 전진 기지로 삼으려는 계획이 있었다.
  • 미국 해군의 철수: 미국 해군의 작전 거점을 본토로 철수시켜 일본 본토에 대한 위협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 전략적 목표: 미드웨이 점령은 일본의 군사적 우위를 확보하는 중요한 단계로 여겨졌다.

잔존 미국 태평양 함대의 전멸 계획

  • 야마모토의 목표: 미드웨이 공격에서 야마모토는 진주만 공격의 주 목표였으나, 놓쳤던 미국의 항공모함들을 침몰시키려는 계획이 있었다.
  • 미드웨이 공격의 의도: 미국 태평양 함대가 출동하지 않으면 손쉽게 미드웨이섬을 점령할 수 있을 것이라는 계산이 있었다.
  • 전략적 판단: 일본군은 미드웨이 점령 후 미국의 해군력을 완전히 무력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다.

미드웨이 점령 이후의 작전 계획

  • 자신감 있는 일본군: 미드웨이를 점령한 후 일본군은 후속 작전 계획을 수립하였다.
  • 작전의 범위:
    1. 남태평양 진출: 전함 함대는 일본으로 복귀하고, 항공모함, 순양함, 구축함으로 구성된 기동 함대를 남태평양으로 보내는 계획이 있었다.
    2. 프랑스령 누벨칼레도니와 피지 제도 점령: 이 지역을 점령하여 일본의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있었다.
    3. 하와이 공격: 8월에는 하와이를 공격할 계획이 수립되었다.
  • 협상 강요: 이러한 작전이 성공하면 미국은 일본이 요구하는 협상안에 서명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야마모토의 생각이 있었다.

작전 반대와 대본영의 결정

  • 작전 반대의 배경: 이 작전은 일본 대본영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반대한 작전으로, 둘리틀 공습 이전에 수립된 계획이었다.
  • 야마모토의 우려: 진주만 공격이 성공한 후에도 태평양의 미국 항공모함들이 신경 쓰였고, 이들을 찾아내어 모두 격침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 자원 배분의 문제: 대본영은 진주만 기습 이후 동남아시아와 남서 태평양 공략에 가용한 모든 자원을 투입하고 있었다.
  • 전쟁 목적: 전쟁의 목적이 미국의 석유 금수 조치에 대한 대안으로 동남아시아의 풍부한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병력을 남쪽으로 보내고 있었다.

야마모토의 전략적 고민

  • 위협적인 배후: 야마모토는 위협적인 배후를 남겨둔 채 계속 남쪽으로 진격하는 것이 마음에 걸렸다.
  • 둘리틀 공습의 발생: 이러한 상황에서 둘리틀 공습이 벌어졌고, 미국의 항공모함들이 건재함을 과시하는 듯한 산호해 해전을 치르게 되었다.
  • 작전 결행 찬성으로의 변화: 반대파들도 작전 결행 찬성으로 입장을 바꾸게 되었다.
    산호해해전 마지막날 (시작) - 결전의 아침 양측의 상황

일본군 암호 해독의 시작

  • 주제: 일본군의 암호 해독이 시작되었음을 알리는 내용이다.
  • 상황: 일본군의 암호가 해독되기 시작하면서, 미 해군의 정보 활동이 활발해졌다.
  • 의의: 이 사건은 미 해군이 일본군의 전략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결과: 일본군의 암호 해독이 이루어짐으로써, 미 해군은 일본의 공격 계획을 미리 알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되었다.
    태평양전쟁 일본군의 암호를 해독하라! - 미군의 암호해독 관련 이야기들

 

미 해군의 정보 수집

  • 주제: 미 해군의 정보 수집 활동에 대한 설명이다.
  • 상황: 진주만 공격의 치욕을 겪은 후, 미 해군은 정보 수집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 행동: 하와이 주둔 미국 해군 정보부의 암호 해독반인 블랙 쳄버가 일본군의 무전 증가를 발견하였다.
  • 의의: 이러한 정보 수집 활동은 일본군의 다음 공격을 예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JN-25 암호 체계의 해독

  • 주제: 일본 해군의 암호 체계인 JN-25의 해독 과정이다.
  • 상황: 해독반은 일본 해군의 암호 체계인 JN-25를 이미 해독하고 있었다.
  • 관찰: ‘AF’라는 문자가 자주 나타나는 것을 주목하였다.
  • 의의: 이 문자의 해독은 일본군의 공격 목표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었다.

 

‘AF’의 의미 추정

  • 주제: ‘AF’라는 암호의 의미에 대한 추정이다.
  • 상황: AH는 진주만을 뜻했으며, 해독반은 ‘AF’가 미드웨이섬을 의미한다고 생각하였다.
  • 추정 근거: 로슈포르 중령은 일본의 정찰기가 “AF 근처를 지나고 있다.”라는 무선 보고를 해독한 경험이 있었다.
  • 의의: 이러한 추정은 일본군의 다음 공격 목표를 미드웨이섬으로 좁히는 데 기여하였다.

로슈포르 중령의 판단

  • 주제: 로슈포르 중령의 판단 과정에 대한 설명이다.
  • 상황: 로슈포르 중령은 ‘AF’를 미드웨이섬으로 추정하였다.
  • 행동: 그는 일본의 정찰기 비행 경로를 추정하여 ‘AF’가 미드웨이섬이라는 심증을 갖게 되었다.
  • 의의: 로슈포르 중령의 판단은 미 해군의 전략적 대응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가짜 전문의 송신 제안

  • 주제: 미드웨이섬의 담수 시설 고장에 대한 가짜 전문 송신 제안이다.
  • 상황: 로슈포르 중령은 일본군의 침공이 임박했다고 판단하였다.
  • 제안 내용: 그는 미드웨이섬의 담수 시설이 고장 났다는 내용의 가짜 전문을 하와이로 송신하자고 건의하였다.
  • 의의: 이 제안은 일본군의 공격 목표를 더욱 확실히 하는 데 기여하였다.

니미츠 제독의 수용

  • 주제: 니미츠 제독의 로슈포르 중령 제안 수용 과정이다.
  • 상황: 니미츠 제독은 미드웨이섬 근처에 일본 해군의 비행정이 정찰 왔던 사실을 알고 있었다.
  • 행동: 그는 로슈포르 중령의 가짜 전문 송신 제안을 받아들였다.
  • 의의: 이 결정은 일본군의 공격 계획을 미리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본군의 공격 목표 확인

  • 주제: 일본군의 다음 공격 목표가 미드웨이섬으로 확인된 과정이다.
  • 상황: 이틀 후, 도청된 일본군 암호 중 “AF에 물 부족”이라는 내용이 해독되었다.
  • 결과: 이 해독 결과로 일본군의 다음 공격 목표가 미드웨이섬이라는 것이 분명해졌다.
  • 의의: 이는 미 해군이 일본군의 공격을 대비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미국의 전략적 고민

  • 암호 해독: 일본의 작전 목표를 파악하게 되었으나, 이는 니미츠 제독의 고민과는 별개이다.
  • 전력 열세: 니미츠 제독은 객관적으로 전력이 열세인 상황에 직면해 있었다.
  • 미국 태평양 함대: 전함이 없는 상황에서 항공모함을 제외하면 중순양함이 최대 전투함으로 남아 있었다.
  • 일본군의 전력: 일본군은 세계 최대의 전함인 야마토를 포함하여 11척의 전함과 6척의 항공모함으로 구성된 강력한 함대를 보유하고 있었다.

미국 태평양 함대의 열세

  • 전투 가능성: 미국 태평양 함대가 일본군과 포격전을 벌일 경우, 전멸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 함정 숫자 비율: 전체 함정 숫자에서 미국은 일본군에 비해 3:1의 열세에 있었다.
  • 전략적 위험: 이러한 열세는 미국의 전략적 선택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본군의 위협: 일본군의 전력은 미국에 대한 심각한 위협으로 작용하였다.

니미츠의 전략적 선택

  • 전략적 접근: 니미츠 제독은 일본군 함대를 미드웨이로 접근하기 전에 먼저 찾아내어 기습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 기습 작전: 함재기를 이용한 기습 작전이 유일한 선택지로 여겨졌다.
  • 전략적 목표: 일본군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전을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 전투의 필요성: 이러한 전략은 전투에서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필수적인 조치였다.

해병 항공대의 역할

  • 해병 항공대의 참여: 미드웨이섬에 증강 파견된 해병 항공대가 작전에 동참해야 했다.
  • 작전의 중요성: 해병 항공대의 참여는 일본군에 대한 기습 작전의 성공 가능성을 높였다.
  • 전략적 협력: 해병 항공대와의 협력은 미국의 전반적인 전략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 군사적 준비: 해병 항공대의 준비 상태와 작전 수행 능력이 작전의 성패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해병대 항공대(United States Marine Corps Aviation)

니미츠의 작전 계획

  • 집결지 지정: 니미츠 제독은 함대의 집결지를 미드웨이섬 북동쪽으로 지정하였다.
  • 일본군 위치 탐색: 일본군의 위치를 찾기 위해 미드웨이 북서쪽에서 남서쪽에 이르는 해역을 탐색하기로 하였다.
  • 비행정 활용: 장시간 비행이 가능한 PBY 카타리나 비행정을 동원하여 탐색 작전을 수행하였다.
  • 부챗살 모양 비행: 비행정은 부챗살 모양으로 비행하여 일본군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탐색하였다.

비행정의 작전과 암호명

  • 비행정 발진: 비행정들은 미드웨이섬에서 발진하여 작전을 수행하였다.
  • 암호명 “Strawberry”: 이 비행정의 작전은 암호명 **“Strawberry”**로 명명되었다.
  • 작전의 비밀성: 암호명을 사용함으로써 작전의 비밀성을 유지하고 일본군의 탐지를 피할 수 있었다.
  • 비행정의 역할: 비행정은 일본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본군의 집결 계획

  • 일본군 집결지: 일본군은 미드웨이섬 북서쪽에 집결할 예정이었다.
  • 전략적 의도: 일본군의 집결은 미국 함대에 대한 공격을 위한 준비로 해석될 수 있다.
  • 위험 요소: 일본군의 집결 계획은 미국의 작전 수행에 있어 큰 위험 요소로 작용하였다.
  • 정보의 중요성: 일본군의 집결 위치에 대한 정보는 미국의 전략적 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미드웨이 해전은 1942년 6월 4일부터 6월 7일까지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결정적인 전투로, 일본 제국 해군과 미 해군 간의 격렬한 전투가 펼쳐졌어요. 이 전투는 일본의 공세가 정점에 달했을 때 발생했으며, 미국의 반격이 시작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죠.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드웨이 해전의 배경, 전투의 전개, 항공기 비교, 결과와 영향, 그리고 개인적인 소감을 나눠볼게요.

태평양 전쟁, 일본의 오판이 불러온 자멸

미드웨이 해전은 진주만 공격 이후 6개월이 지난 시점에서 발생했어요. 일본은 태평양에서의 우위를 확립하기 위해 미드웨이 제도를 목표로 삼았고, 이를 통해 미국의 해군력을 약화시키려 했죠. 하지만 미국은 미드웨이 제도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일본의 공격을 예측하여 방어 준비를 철저히 했어요. 이 과정에서 미국은 일본의 암호를 해독하여 일본의 공격 계획을 사전에 파악하게 되었죠.

전투의 주요 전개 

전투는 일본의 항공모함에서 발진한 항공기들이 미드웨이를 공격하면서 시작되었어요. 하지만 미국은 미드웨이에 배치된 항공기들을 통해 일본의 공격을 저지하고, 반격에 나섰죠. 특히, 미국의 항공모함인 엔터프라이즈, 호넷, 요크타운이 중요한 역할을 했어요. 일본의 항공모함이 공격을 받으면서 전투의 흐름이 미국 쪽으로 기울기 시작했죠.

미드웨이 해전 개요

  • 미드웨이 해전은 1942년 6월 4일부터 6월 7일까지 벌어진 태평양 전쟁의 결정적인 해전이다.
  • 이 해전은 진주만 공격이 있은 지 6개월 뒤, 그리고 산호해 해전이 있은 지 1달 뒤에 발생하였다.
  • 미국 해군은 체스터 니미츠, 프랭크 잭 플레처, 레이먼드 A. 스프루언스가 이끌었으며, 일본 제국 해군은 야마모토 이소로쿠, 나구모 주이치, 곤도 노부타케가 이끌었다.
  • 이 해전에서 미국 해군은 일본군의 공격함대를 미드웨이 환초에서 격퇴하였고, 일본군 함대에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입혔다.

전투의 배경과 목표

  • 일본의 작전 목표는 태평양의 전략적 강국인 미국을 제거하여 일본이 대동아공영권을 자유롭게 설립하는 것이었다.
  • 일본은 사기를 저하시키는 또 다른 패배로 인해 미국이 태평양 전쟁에서 항복하기를 바랐다.
  • 일본은 미국 항공모함을 함정으로 끌어들여 미드웨이를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이는 도쿄를 공습했던 둘리틀 공습에 대응하여 일본의 방어 교두보를 확장하는 "장벽" 전략의 일환이었다.
    • 또한, 이 작전은 피지, 사모아, 하와이를 공격하는 더 넓은 작전의 사전작업으로 여겨졌다.

작전의 실패와 미국의 준비

  • 일본은 미국의 대응을 잘못 가정하고 초기에 부대를 잘못 배치하여 불리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 미군 암호해독자들이 일본군의 공격 계획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미국 해군은 매복을 준비할 수 있었다.
  • 일본군 항공모함 4척과 미군 항공모함 3척이 전투에 참여하였다.
  • 일본 제국 해군은 중형항공모함 아카기, 가가, 소류, 히류를 잃었고, 중순양함 미쿠마도 이 해전에서 잃었다.

전투의 결과와 손실

  • 미국 해군은 중형항공모함 USS 요크타운 구축함 USS 해먼을 잃었다.
  • 이 해전은 일본군에게 돌이킬 수 없는 피해를 주었으며, 미국 해군의 전략적 우위를 강화하였다.
  • 일본의 손실은 전투력 감소로 이어졌고, 이는 이후의 전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투 후 일본의 상황

  • 미드웨이 해전과 솔로몬 제도 전역의 소모전 이후, 일본은 증가하는 사상자들에 대해 제대로 대처하지 못하였다.
  • 일본은 항공 모함을 비롯한 물자와 숙련된 조종사와 같은 인원 대체 능력이 떨어지게 되었다.
  • 이러한 상황은 일본의 전략적 입지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미국의 회복력과 전환점

  • 반면, 미국은 거대한 산업 능력 부대 훈련방식 덕분에 미드웨이 해전에서 입은 손실을 쉽게 대체할 수 있었다.
  • 미드웨이 해전은 과달카날 전역과 함께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으로 평가받는다.
  • 이 전투는 미국의 전략적 우위를 확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미드웨이 해전의 문화적 영향

  • 미드웨이 해전을 소재로 한 영화가 2019년에 개봉되었다.
  • 이 영화는 미드웨이 해전의 중요성과 역사적 의미를 대중에게 알리는 데 기여하였다.
  • 해전의 역사적 사건을 재조명함으로써, 전쟁의 교훈 영웅적 행동을 강조하였다.

미국과 일본의 항공기 비교

미드웨이 해전에서 사용된 항공기들은 전투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요소였어요. 일본은 미츠비시 A6M2 전투기와 나카지마 B5N2 어뢰 폭격기를 주로 사용했죠. 반면, 미국은 그루먼 F4F-4 와일드캣과 더글라스 SBD-3 다운틀리스를 사용했어요.

 

이 두 나라의 항공기들은 각각의 전투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그리고 성능 차이는 어땠는지 비교해보면 흥미로운 점이 많아요.

1942년 6월 6일  SBD-3 돈틀레스 폭격기 가 불타고 있는 일본 미쿠마 순양함 위를 날고 있다.

전투의 결과와 영향

미드웨이 해전의 결과는 일본 해군에게 큰 타격을 주었어요. 일본은 항공모함 4척을 잃었고, 이는 일본의 해군력에 심각한 손실을 초래했죠. 반면, 미국은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태평양 전쟁의 주도권을 잡게 되었어요. 이 전투는 이후의 전투에서도 미국의 공격적인 전략을 가능하게 했고, 일본의 공세를 저지하는 데 큰 역할을 했죠.


미국 해군의 출항과 일본의 준비

  • 미국 해군의 항공모함 엔터프라이즈 호넷 산호해 해전을 마치고 진주만에 도착하였다.
  • 니미츠 제독은 이들 항공모함에 대해 재보급을 마친 후 즉시 미드웨이섬으로 향하라고 명령하였다.
  • 이 시점에서 미국 해군은 미드웨이 전투를 준비하고 있었으며, 일본 해군의 움직임을 주의 깊게 살펴보고 있었다.

일본 함대의 출발과 미국의 수리

  • 일본 시간으로 5월 27일, 나구모 제독의 함대가 일본을 출발하였다.
  • 이 날, 미국 항공모함 요크타운 진주만의 건선거에 들어왔고, 1,400여 명의 기술자가 즉시 응급 수리를 시작하였다.
  • 일본의 출발과 미국의 수리는 전투 준비의 중요한 단계로, 양측의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었다.

미드웨이로 향하는 미국 함대

  • 5월 28일, 스프루언스 제독의 **16 기동 함대(TF 16)**가 진주만을 떠나 미드웨이로 향하였다.
  • 이 함대는 항공모함 2척(엔터프라이즈 및 호넷), 순양함 6척, 구축함 9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예상되는 일본군 함대는 90여 척으로, 미국은 구식 전함을 서해안을 경계하도록 남겨두었다.
  • 니미츠 제독 야마모토 이소로쿠로부터 항공력의 우위를 배운 상태였다.

일본 해군의 정보 수집과 오해

  • 5월 30일, 도쿄의 대본영 해군부 미군 조종사들의 교신을 청취하여 미국 항공모함들이 미드웨이로 이동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 야마모토 제독은 이 사실을 구로시마 소장에게 전달하라고 지시하였으나, 무선 봉쇄를 우려한 구로시마 소장은 반대하였다.
  • 나구모 중장 미군 항공모함들이 산호해 근처에 있다는 불확실한 정보를 신뢰하고 있었다.

나구모 제독의 전략 회의

  • 6월 2일, 나구모 기함 아카기에서 참모들과 전략 회의를 열었다.
  • 회의에는 구사카 류노스케 소장 겐다 미노루 중령  진주만 공격을 입안하고 지휘했던 참모들이 참석하였다.
  • 이들은 미군 항공모함 기동 부대가 없다는 전제 하에 공격 계획을 세웠다.
    • 미국은 일본의 계획을 모르며, 아군의 위치를 모른다.
    • 근처에 미국 항모 기동 부대는 없다.
  • 이러한 전제에 따라 미드웨이 기습 공격 상륙 작전을 계획하였다.

미국 정찰기의 발견과 일본의 반격

  • 6월 3일 아침, 잭 레이드 소위가 조종하는 카탈리나 정찰기가 일본군 함대를 발견하였다.
  • 첫 번째 보고는 정확한 함종을 구분하지 못하고 단지 적의 함대를 발견했다고만 보고하였다.
  • 플레처 제독 스프루언스 제독 16, 17 기동 함대는 일본군 항공모함 함대를 기다리고 있었다.
  • 이날 저녁, 카탈리나 비행정이 일본군 함대에 어뢰 공격을 가하였으나, 피해는 미미하였다.

전투 당일의 일본군 준비

  • 6월 4일, 일본군은 미드웨이 서북쪽 460킬로미터 해상에 도착하였다.
  • 각 항공모함은 함재기 발진 준비를 서두르기 시작하였다.
  • 정찰기를 보내 미드웨이와 인근 해역을 수색하기로 하였으나, 여러 가지 기술적 문제로 인해 정찰이 지연되었다.
  • 나구모 제독은 미국 항공모함의 존재를 알지 못한 채 공격을 준비하였다.
    나구모 주이치

미국의 첫 공격과 일본의 반격

  • 일본군 항공모함 4척으로부터 1차 공격대가 출발하였다.
  • 토모나가 대위가 지휘하는 공격대는 미드웨이 폭격을 목표로 하였다.
  • 미드웨이섬에서 출발한 정찰기가 일본군 공격대를 발견하였고, 즉시 전투기 발진 명령이 떨어졌다.
  • 일본군의 공격이 시작되었고, 미군 전투기와의 공중전이 벌어졌다.

미국의 최후 공격과 일본의 패배

  • 토모나가 대위의 공격대가 요크타운을 공격하였고, 어뢰가 명중하였다.
  • 히류 소류의 공격이 이어졌으나, 미국의 반격으로 인해 일본군은 큰 피해를 입었다.
  • 미군 급강하 폭격기들이 일본군 항공모함을 공격하였고, 히류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다.
  • 요크타운은 결국 침몰하였고, 일본군의 전투력은 크게 약화되었다.

 


알류샨 열도 공략전 개시

  • 일본군 북방 함대의 작전 개시: 호소가야 중장이 이끄는 일본군 북방 함대는 알류샨 열도 공략 작전(AL 작전)을 예정대로 시작하였다.
  • 작전의 목표: 알류샨 열도를 점령하여 전략적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주요 목표였다.
  • 작전의 중요성: 알류샨 열도는 태평양 전쟁에서 중요한 전략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군의 공략은 전쟁의 흐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1차 공격과 초기 피해

  • 1차 공격 시도: 6월 3일에 일본군은 알류샨 열도에 대한 1차 공격을 시도하였다.
  • 기상 조건의 영향: 공격 당시 안개로 인해 일본 해군의 함재기들이 일부는 귀환하고, 일부는 더치하버의 미군 시설에 상당한 피해를 주었다.
  • 피해의 결과: 미군 시설에 대한 피해는 일본군의 초기 공격이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음을 나타내지만, 기상 조건이 작전 수행에 큰 장애가 되었음을 보여준다.
    (일본기의 공습을 받아 불타는 더치하버의 건물들. 1942년 6월 3일에 찍은 사진이다.)

 

미드웨이로의 명령 변경

  • 야마모토 제독의 명령: 6월 4일 오후, 호소가야 중장은 야마모토 제독으로부터 항공모함 함대를 미드웨이로 급파하라는 명령을 받았다.
  • 작전 변경의 필요성: 미드웨이로의 급파는 일본군의 전략적 목표를 변경하는 중요한 결정이었다.
  • 명령의 긴급성: 이 명령은 일본군의 전반적인 작전 계획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상황에 따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알류샨 공격 중단과 재개

  • 작전 중단 결정: 호소가야 제독은 알류샨 공격을 중단하고 미드웨이로 항로를 변경하려고 하였다.
  • 야마모토 제독의 재명령: 그러나 야마모토 제독은 알류샨 열도를 계속 공격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이는 작전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한 것이다.
  • 전략적 판단: 야마모토 제독은 알류샨 공격이 미드웨이 작전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의 섬 점령 

  • 공격 재개: 호소가야 제독은 6월 6일에 공격을 재개하였다.
  • 점령된 섬들: 일본 해군 육전대(해병대) 12,250명이 이투섬과 키스카섬에 상륙하여 두 섬을 점령하였다.
  • 점령의 의미: 이 두 섬의 점령은 일본군의 전략적 우위를 강화하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된다.
    키스카 상륙 - 북태평양 전역을 마무리 지은 어이없는 상륙작전
    키스카 대탈출 (시작) - 아투 섬 옥쇄에 대한 일본의 반응과 키스카 작전의 시작

선전과 패배 은폐

  • 일본의 선전 활동: 일본은 이 두 섬의 점령을 대대적으로 선전하였다.
  • 미드웨이 해전의 패배 은폐: 일본 정부는 미드웨이 해전에서의 패배를 일반 국민들에게 숨기기 위해 노력하였다.
  • 전략적 정보 통제: 이는 일본군의 사기 유지와 국민의 불만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제로센의 불시착과 분석

  • 제로센의 불시착: 알류샨 열도 전투 중 일본군의 제로센 1기가 더치하버 동쪽 아쿠탄섬에 불시착하였다.
  • 조종사의 사망: 불시착 과정에서 조종사는 사망하였다.
  • 미국의 분석 작업: 미국은 이 불시착한 전투기를 수거하여 철저히 분석하였고, 제로기의 약점을 이용한 전술을 적극 도입하였다.
  • 전술적 변화: 이는 미국군의 전투 전술에 중요한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으며, 일본군의 전투기 성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전쟁과 경영]미군의 '악몽' 日제로센 궤멸된 이유?
    자주시보] [단상637] 우스운 일본 `제로센` 열광

 

공중전을 두려워한 제로센 조종사

 

 


마무리 및 개인적인 소감

미드웨이 해전은 단순한 전투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어요. 이 전투는 태평양 전쟁의 전환점이 되었고, 미국의 해군력이 일본에 비해 우위를 점하는 계기가 되었죠. 개인적으로 이 전투를 통해 전쟁의 비극과 그 속에서의 인간의 용기, 희생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었어요. 전투의 결과가 단순히 군사적 승리에 그치지 않고, 인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깊어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미드웨이 해전의 중요성과 그 배경, 전개, 결과에 대해 알아보았어요. 앞으로도 이런 역사적인 사건들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우고, 생각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어요.


태그: #미드웨이해전 #태평양전쟁 #역사 #전투 #항공기비교 #전쟁의의미 #미국해군 #일본해군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나무위키 - 미드웨이 해전 (https://namu.wiki/w/%EB%AF%B8%EB%93%9C%EC%9B%A8%EC%9D%B4%20%ED%95%B4%EC%A0%84)

[2] Wikipedia - 미드웨이 해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AF%B8%EB%93%9C%EC%9B%A8%EC%9D%B4_%ED%95%B4%EC%A0%84)

[3] 동아비즈니스리뷰 | DBR - 힘 분산한 日, 미드웨이에 침몰하다 | 경영일반 (https://dbr.donga.com/article/view/1206/article_no/4411/ac/magazine)

[4] 브런치스토리 - 18화 '태평양 전쟁'-미드웨이 해전, 대반격의 서막 (https://brunch.co.kr/@@5DVw/226)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