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쇼비니즘 개요

  • 정의: 쇼비니즘(Chauvinism)은 극단적이고 폐쇄적인 애국심을 의미하며, 배외주의(排外主義), 관문주의(關門主義), 폐쇄주의(閉鎖主義)와 같은 개념과 연관된다.
  • 특징:
    • 소속 집단에 대한 애국(愛國), 애족(愛族), 애향(愛鄕) 심리가 전체주의로 발전하는 현상이다.
    • 이러한 심리는 특정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며, 타 집단에 대한 배타적 태도를 보인다.

 

 

파시즘과의 차이

  • 내셔널리즘의 극단적 형태: 쇼비니즘은 내셔널리즘의 가장 극단적이고 강압적인 형태로, 질이 안 좋은 범민족주의와 관련이 있다.
  • 인권 침해 문제:
    • 다수의 동의에 기반하여 공통 정체성을 강요함으로써 소수자 인권을 침해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 역사적으로 나치 독일, 일본 제국, 공산 중국 등에서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

프랑스의 쇼비니즘 역사

  • 다문화국가의 특성: 프랑스는 원래부터 다문화국가였으며, 다양한 언어와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 프랑스 혁명 이후:
    • 왕과 귀족의 몰락으로 새로운 정체성이 필요해졌고, 갈리아 계통의 파리지족과 프랑크 계통의 살리족이 합쳐진 프랑스인이라는 정체성이 등장하였다.

    • 그러나 정통 프랑스인은 전체 인구의 소수에 불과하며, 프랑스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민들에게 억지로 프랑스어 사용을 강요하는 쇼비니즘이 발생하였다.
     

 

 

쇼비니즘의 문제점

  • 맹목적인 추종: 쇼비니즘이 팽배한 사회에서는 '위대한 국가의 가치'로 포장된  추종이 강요된다.
  • 비판의 억압:
    • 반대 의견을 매국노 또는 역적으로 매도하는 경향이 있다.
    • 쇼비니스트(chauvinist)라는 용어는 이러한 사고를 가진 사람을 지칭한다.

 

쇼비니즘의 유래

  • 이름의 유래: 쇼비니즘의 '쇼빈(Chauvin)'은 나폴레옹 전쟁에 참전한 **니콜라 쇼뱅(Nicolas Chauvin)**에서 유래되었다.
  • 맹목적 애국주의: 쇼빈은 나폴레옹을 신처럼 숭배하며 극단적인 애국심을 보였고, 이로 인해 쇼비니즘이라는 개념이 확산되었다.
  • 가상의 인물 가능성: 역사학자들은 쇼뱅이 실제 인물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한다.

쇼비니즘의 사회적 영향

  • 비판 억압: 쇼비니즘은 국가나 정부에 대한 비판을 허용하지 않으며, 정당한 비판조차 반애국적이라고 간주한다.
  • 물리적 억압: 비판 세력에 대해 물리력을 사용하여 억압하려는 경향이 있다.
  • 정치적 양상: 좌우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보수단체와 진보층 모두에서 쇼비니즘적 행동이 발생할 수 있다.

용어의 확장과 현대적 의미

  • 의미의 확대: 20세기 이후 '쇼비니즘'은 모든 부문의 우월주의적인 배타주의를 의미하는 용어로 확장되었다.
  • 예시: 남성 쇼비니즘, 여성 쇼비니즘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된다.
  • 학술적 의미와의 차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쇼비니즘은 학술적 의미와는 다르며, 오용 사례로 볼 수 있다.

 

 

쇼비니즘과 정치적 양상

  • 우익적 사고 방식: 쇼비니즘은 주로 우익적 사고 방식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지만, 반대 진영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성향이다.
  • 대외적 문제: 좌익적 사상을 지지하면서도 외부 문제에 대해 배타적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있다.
  • 프랑스 현대정치: 중도좌파가 알제리와 베트남의 식민지 전쟁을 주도하며 쇼비니즘적 행보를 보였다.

결론: 쇼비니즘의 아이러니

  • 국가의 존재 가치: 국가의 존재 가치는 국민 개개인의 행복을 위한 것이어야 한다.
  • 아이러니: 쇼비니스트들은 개인의 권리가 침해되더라도 국가에 맹목적으로 충성을 바치는 아이러니한 모습을 보인다.

내셔널리즘의 정의

  • **내셔널리즘(Nationalism)**은 집단적 동질감, 소속감, 연대감에 기반한 공동체인 nation을 중시하는 사상 및 행동의 총체를 의미한다.
  • 이 개념은 nation에 기반한 nation-state(국민국가/민족국가)를 건국하여 nation이 독자적 주권을 행사해야 한다는 사상을 포함하기도 한다.
  • 내셔널리즘은 단순한 정치적 이념이 아니라, 문화적 정체성 사회적 연대를 강조하는 중요한 개념이다.

 

한국 내셔널리즘의 기원

  • 한국어에는 내셔널리즘에 정확하게 대응되는 단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 한민족은 고대로부터 계승 및 발전되어 온 민족적 동질감과 민족감정으로 형성된 민족관이 있었으나, 현대 한국사회에서 통용되는 내셔널리즘 개념은 개화기에 식민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과정에서 서구권의 근대 내셔널리즘을 일본 제국을 통해 받아들인 것이다.
  •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한국 내셔널리즘의 독특한 발전 경로를 형성하였다.

근대 내셔널리즘의 발전

  • 근대 내셔널리즘은 서구권 국가들이 종교 중심의 중세시대를 종결짓고, 절대왕정을 무너뜨린 이후에 형성된 개념이다.
  • 이 과정에서 언어권과 국민주권을 기반으로 한 국민국가가 만들어졌다.
  • 한민족의 민족관은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단일한 민족 정체성과 전통 등 문화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하여, 근대 내셔널리즘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다.

 

일본 제국의 번역과 영향

  • 일본 제국은 근대 내셔널리즘(nationalism)의 **네이션(nation)**을 국가(國家) 혹은 **민족(民族)**이라고 번역하였다.
  • 이러한 번역은 대한제국이 들여오면서 현대 내셔널리즘(nationalism)을 민족주의 혹은 국가주의로 번역하게 된 배경이 된다.
  • 이 과정은 한국 내셔널리즘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민족주의 연구의 어려움

  • 서구의 학자인 **한스 콘(Hans Kohn)**은 nationalism을 혈연·언어·문화 공동체 개념의 ethnic nationalism(동구권)과, 정치적·법적 공동체 개념의 civic nationalism(서구권)으로 분류하였다.
    Civic Nationalism
  • 한국은 식민지 시절 독립전쟁을 수행하느라, 해방 후에는 이념전쟁을 수행하느라 민족주의에 대한 학술적 연구를 진행할 환경이 되지 못하였다.
  • 이러한 역사적 맥락은 한국 내에서 민족주의 연구의 발전을 저해하였다.

민족 개념의 재정의

  • 현재 한국에서는 민족이라는 개념을 재정의하고 세분화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 아직 합의된 명확한 정의는 존재하지 않지만, 객관설 주관설, 서구형 동구형 또는 종족적 개념 시민적 개념 등 이분법적으로 민족의 유형을 구별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이러한 시도는 한국 사회의 민족관을 더욱 풍부하게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다.

민족관의 경쟁과 다양성

  • 한국에서는 혈통을 중심으로 하는 민족관 언어를 중심으로 하는 민족관이 서로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다.
  • 이 두 관점은 국수주의적 민족관으로 결합되기도 하며, 소수의 사람들은 옛 전통적 민족관을 복구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 이러한 다양성은 한국 내셔널리즘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