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북한의 무인기 도발과 대응

  • 북한의 무인기 도발: 2년 전 겨울, 북한에서 발사된 무인기가 한국의 하늘을 침범하였다.
    • 침투 경로: 북한의 무인기 다섯 대가 군사분계선을 넘어 서울 상공까지 침투함.
    • 국민 반응: 이 사건으로 인해 우리 군은 고개를 숙였고, 국민은 정부와 군의 대응을 강력히 비판하였다.
  • 현재 상황 변화: 현재는 상황이 달라졌으며, 한국 해군의 고정익 무인기가 첫 전투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 대응 조치: 우리 군도 북한 지역에 유무인 정찰기를 투입하고 있다.
    • 복수의 필요성: 그러나 이러한 대응은 북한의 무인기 도발에 대한 복수로는 부족하다고 평가된다.

한국의 무인기 기술 발전

  • 무인기 국산화: 대한민국은 방산 분야에서 무인기 국산화에 획기적인 발전을 이루었다.
    • 전 세계적 필수 전력: 무인기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필수적인 전력으로 자리잡고 있다.
    • 자주국방의 중요성: 한국의 혁신적인 무인기는 외부 기술 종속에서 벗어나 자주국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다재다능한 역할: 현재 국산화된 무인기는 정찰뿐만 아니라 타격 능력도 갖추고 있다.
    • 전장 활용: 향후 전장에서 더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무인기의 다양한 활용

  • 무인기의 종류: 현대전에서 드론의 활용성은 매우 다양하다.
    • 정찰용 드론: 소형 정찰용 드론부터 시작하여, 소총을 탑재한 드론, 폭격용 드론, 자폭 드론 등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병력 손실 우려 감소: 무인기는 병력 손실에 대한 우려가 없으며, 기대 효과는 확실한 편이다.
  • 비용 효율성: 무인기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여, 격추당해도 부담이 적다.
    • 타격 기대 범위 확장: 무인기 기술의 발전으로 타격 기대 범위도 확장되고 있다.

한국의 무인기 개발 역사

  • 개발 시작 시점: 한국은 1990년대부터 무인기 개발에 관심을 두기 시작하였다.
    • 초기 개발: 초기에는 정찰 임무에 국한된 소형 무인기 개발에 주력하였다.
  • 확장된 개발 범위: 2000년대 이후로는 무인 공격기, 장기 체공 무인기, 해상 작전용 무인기 등으로 개발 범위를 확장하였다.
    • 주요 기종: 한국 최초의 군용 무인기인 RQ-11 송골매, 대한항공이 개발한 한국형 중고도 무인기 KUS FT, 스텔스 무인 공격기 KUS FS 등이 있다.

중국과 북한의 드론 위협

  • 중국의 드론 개발: 현재 전 세계는 공격용 드론 개발 경쟁에 열을 올리고 있다.
    • 시장 점유율: 중국은 민간 드론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무인기를 개발하고 있다.
    • TV 001: 2016년 공개된 중국군의 다목적 드론으로, 크기와 성능이 뛰어나다.
  • 북한의 무인기 개조: 북한은 과거 소련이 만든 AN-2 항공기를 무장이 가능한 무인기로 개조하고 있다.
    • 위협 가능성: 오래된 비행기라도 현대 기술력으로 무인기로 변모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한국의 무인기 산업 목표

  • 글로벌 순위: 대한민국은 전 세계 무인기 기술 수준에서 7위에 해당하는 드론 강국이다.
    • 2027년 목표: 한국 항공 우주 산업(KAI)을 중심으로 세계 3위의 무인기 산업국 도약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기술 도입: 독자 모델 개발보다는 우방의 우수한 기술을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다.
    • 미국의 기술 격차: 미국은 자율비행, 전자전 능력, 데이터 융합 기술 등에서 한국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모듈형 무인기 개발

  • 모듈형 무인기 정의: 모듈형 무인기는 정찰, 통신, 공격 등 다양한 임무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된 소형 무인기이다.
    • 장점: 정형화된 모듈만 있다면 어떠한 임무도 수행 가능하며, 고장이 나더라도 모듈만 교체하면 즉시 투입이 가능하다.
  • 전략적 활용: 북한 무인기가 육지가 아닌 해안 상공을 넘어 침투할 경우, 해군이 보유한 모듈형 무인기의 모듈을 교체하여 조기 박멸이 가능하다.

스텔스 무인기와 전투 전략

  • 무인 편대의 역할: 무인 편대는 유인기 탐지한 적 항공기 정보를 무인기에 전달하거나, 적 지대공 미사일을 선제 공격하여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 팀워크의 중요성: 무인 편대는 공중전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 스텔스 무인 정찰기 개발: 2027년 첫 비행이 예정된 스텔스 무인 정찰기는 다양한 레이더 탐지를 피할 수 있는 광대역 스텔스 기능을 갖출 예정이다.
    • 정찰 능력 향상: 스텔스 무인 정찰기가 개발된다면 북한의 군사 시설을 탐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블로건 개발과 방어 전략

  • 블로건 개발 사업: 대한민국은 북한 무인기의 영공 진입을 막기 위한 소형 무인기 대응책으로 블로건 개발 사업에 착수하였다.
    • 소프트킬 방식: 블로건 A는 하드킬 방식이 아닌 소프트킬 방식의 전파 방해 장비인 재머를 사용한다.
  • 주요 기능: 블로건의 주요 기능은 지상 레이더 감시 체계와 연동하여 접근하는 소형 무인기를 탐지하고, 재밍 전파를 이용해 경로를 이탈시키는 것이다.
    • 소형 드론 추적 능력: 한국은 이미 2m 이하 소형 드론을 추적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미래 비행체와 자율 비행 기술

  • 미래 비행체 개발: 카이는 첨단 무인기를 개발하여 미래 UAM(도심 항공 모빌리티)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
    • AAV 정의: AAV는 자율주행 기술을 적용한 항공기를 의미하며,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최적의 비행 경로를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다양한 용도: AAV는 정찰, 물류 운송, 공격 임무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 높은 자율성과 정밀성: AAV는 위험한 전장 환경에서도 인간의 개입 없이 스스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다.

광섬유 유도 드론의 발전

  • 광섬유 유도 드론: 최근 우크라이나 군이 러시아군의 드론을 광섬유로 유도하여 사용하였다.
    • 전파 방해의 장점: 광섬유 유도 시스템은 전파 방해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지형의 제약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다.
  •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 광섬유를 통한 데이터 전송은 무선보다 훨씬 높은 품질의 영상을 빠르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정찰용 드론의 유리함: 이러한 방식은 정찰용 드론에서 특히 유리하다.

미국의 자율 무인기 개발

  • XQ 67의 개발: 미국 공군 연구소와 제너럴 아토믹스가 공동으로 개발한 XQ 67은 자율 비행 능력을 갖춘 전투용 무인기이다.
    • 첫 비행 성공: XQ 67은 캘리포니아에서 첫 비행에 성공하였다.
  • 자율성의 중요성: XQ 67은 특정 임무가 지정되면 스스로 비행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 미래 전투 시나리오: XQ 67은 미래 전투 시나리오를 위한 플랫폼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한국의 자폭 드론 개발 계획

  • 자폭 드론의 운용: 드론 작전 사령부는 유도 방식을 채택하여 자폭 드론을 운용하고 있다.
    • 성능 향상 계획: 현재 보유한 자폭 드론의 수량을 늘리는 한편, 성능이 향상된 기종 도입도 추진 중이다.
  • 해군과 해병대의 계획: 해군은 함정에서 먼 거리에 있는 표적을 타격하는 자폭 드론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해병대는 상륙 시 적의 포병 장비를 타격하는 용도로 자폭 드론을 사용할 예정이다.

국내 방산 기업의 경쟁

  • 경쟁 상황: 국내 방산 기업들은 각자의 전략에 따라 무인기 연구 및 개발에 힘쓰고 있다.
    • 미래 전장의 핵심 자산: 이를 통해 미래 전장의 핵심 자산이 될 무인기 기술에서의 경쟁력을 확보하려 하고 있다.
  • 기술 발전의 방향: 과거 전장에서의 위력과는 달리, 현대와 미래의 전장에서는 은밀함과 정밀도로 승부하는 무인기가 게임 체인저로 부각될 것으로 전망된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