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4년 11월 23일 (토) 오후 3:49

 

 

동북왕 장작림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해볼까요? 이 인물은 역사 속에서 매우 특별한 인물로, 한때 중국 북부의 권력을 쥐고 있었던 군벌입니다. 그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의 역사적 배경과 그가 남긴 흔적들을 살펴보려고 해요.

 

장작림은 1875년, 중국 랴오닝성에서 태어났어요. 극빈한 집안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그의 어린 시절은 매우 힘들었답니다. 아버지가 도박으로 집안을 꾸려가다 보니 가난은 더욱 심해졌고, 장작림은 더 나은 삶을 위해 여러 방면에서 열심히 노력했어요. 그의 출생과 성장 배경은 그가 나중에 마적이 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답니다.

 

장작림은 젊은 시절, 마적의 두목으로 명성을 얻었어요. 마적이란, 당시 중국 북부 지역에서 활동하던 도적단을 이르는 말인데, 그는 이 도적단을 조직하여 세력을 키워갔죠. 이 과정에서 그는 자신의 군사적 재능을 발휘하며 점차 영향력을 확대해 나갔답니다. 마적이었던 그는 군벌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되었어요.

 

이후 그는 만주를 정복하고, 베이징을 포함한 북부 지역의 정치적 세력으로 떠오르죠. 이 시기에 장작림은 단순한 마적이 아닌, 군벌의 수장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게 됩니다. 군사적 역량과 정치적 감각을 바탕으로 그는 많은 지지 세력을 형성하게 되었답니다.

 

장작림의 군사적 업적도 빼놓을 수 없죠. 그는 여러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며 자신의 군사력을 과시했어요. 이러한 군사적 성취는 그를 백성을 보호하는 지도자로서 자리매김하게 했답니다. 그의 영향력 아래 많은 이들이 그를 따랐고, 그가 세운 군벌은 강대해졌어요.

 

장작림과 일본의 관계도 흥미로운 부분이에요. 그는 일본과의 관계를 통해 자신의 지위를 더욱 확고히 하려 했어요. 일본의 군사적 지원을 받으며 그의 권력은 더욱 강화되었고, 이는 나중에 그에게 큰 영향을 미치기도 했답니다. 하지만 일본의 의도와 계획이 그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게 되죠.

 

장작림의 삶은 마지막에 이르러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돼요. 그는 1928년, 일본의 음모로 인해 암살당하게 되죠. 그의 죽음은 당시 중국의 정치적 상황에 큰 변화를 가져오며, 많은 이들에게 충격을 주었답니다.

 

장작림은 자신의 시대에 큰 영향을 미친 인물이었어요. 그가 남긴 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에게 기억되고 있죠. 그의 이야기는 단순한 군벌의 이야기가 아닌, 한 개인이 권력을 쥐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례랍니다.

 

장작림의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과거의 역사와 인물들이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교훈을 남길 수 있는지를 생각해볼 수 있어요. 그의 삶은 단순한 영웅담이 아니라, 인간의 삶의 복잡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기도 하죠.

 

이렇게 동북왕 장작림에 대한 리뷰를 마치도록 할게요. 그의 인생을 통해 많은 것을 느끼고 배웠으면 좋겠네요. 역사 속 인물들의 삶은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많은 깨달음을 주니까요.


장쭤린의 초기 세력 확장

  • 장쭤린은 만주에서 마적단의 일원으로 시작하였다.
  • 그는 러일전쟁 신해혁명을 이용하여 자신의 세력을 확장하였다.
  • 그의 세력은 봉천군벌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이는 만주에서의 지배자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되었다.
  • 맹은원 등 만주의 경쟁 세력을 차례로 제압하여 만주의 지배자가 되었다.

호법전쟁과 동맹의 변화

  • 1917년 호법전쟁이 발발하자, 봉천군벌은 돤치루이의 안휘군벌과 동맹을 맺었다.
  • 이후, 봉천군벌은 환계와의 관계가 단절되었고, 펑궈장의 직예군벌과 동맹을 체결하였다.
  • 돤치루이가 쉬수정을 서북주변사 겸 변방군사령관으로 임명하여 동북의 장쭤린에 맞먹는 세력을 구축하려 하였다.
  • 봉계와 직계는 8성 동맹을 체결하여 환계에 맞섰다.

 

 

안직전쟁과 봉천군벌의 승리

  • 1920년 3월, 우페이푸의 직군이 호남에서 북상하여 변방군과 대치하였다.
    우페이푸
  • 장쭤린은 대총통 쉬스창의 요청에 따라 중재자 역할을 맡았으나, 협상은 결렬되었다.
    쉬스창
  • 쉬수정이 장쭤린을 암살하려 하였고, 이로 인해 1920년 7월 안직전쟁이 발발하였다.
    중국 군벌시대④…안직전쟁에 즈리파, 승리하다
    봉천군벌은 직예군벌과 힘을 합쳐 크게 승리하여 천하의 패권을 쥐게 되었다.

 

1차 직봉전쟁의 참패

  • 1922년, 봉천군벌은 안휘군벌과 다시 힘을 합쳐 1차 직봉전쟁을 일으켰다.1차 직봉전쟁
  • 그러나 봉천군벌은 대부분이 마적단 출신으로 구성되어 있어 현대적 군대와 거리가 먼 오합지졸이었다.

이로 인해 봉천군벌은 참패를 겪게 되었다.

봉천군벌

 

장쭤린은 궈쑹링 등 현대 군사교육을 받은 참모단을 중시하여 봉천군의 현대화에 나섰다.

궈쑹링

 

장쭤린의 군사 현대화 노력

  • 봉천군벌은 구파, 사관파, 육대파 등으로 분할되었다.
  • 1924년 2차 직봉전쟁에서 장쭤린은 돤치루이, 펑위샹과 연합하여 우페이푸 차오쿤을 축출하였다.
  • 20세기 군벌지(軍閥志) - 14. 제2차 직봉전쟁
  • 북경정변을 통해 베이징을 점령하고 돤치루이를 임시 집정으로 추대하였다.
    1924년 풍옥상의 북경정변

그러나 강남 지역으로 무리하게 세력을 확장하다가 손봉전쟁 반봉사건 등으로 위기에 처하였다.

중국사인물전(304)곽송령-봉군의 조반장령

 

북벌과 국민당의 대두

  • 장쭤린은 국민군을 자처하며 자신을 타도하려는 펑위샹을 견제하기 위해 직계와 연합하였다.
  • 옌시산, 우페이푸와 연합하여 직봉풍전쟁을 통해 펑위샹을 격퇴하였다.
  • 1926년 7월,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이 1차 북벌을 선포하였다.
  • 북양군벌들은 장쭤린을 중심으로 뭉쳐 장제스에게 대항하려 하였으나, 국민혁명군은 하남-산동 지역까지 진출하였다.

 

장쭤린의 퇴각과 암살

  • 1927년, 국민당 내부의 국공갈등이 심각해지면서 4.12 상하이 쿠데타가 발생하였다.
  • 국민당의 내분으로 북벌은 잠시 중단되었으나, 이후 국공결렬 영한합작을 거치면서 국민당은 난징 국민정부를 중심으로 통합하였다.
  • 북양군벌들은 장쭤린을 중화민국 육해공 대원수로 추대하였으나, 국민혁명군을 당해낼 수 없었다.
  • 결국 장쭤린은 보경안민을 주장하는 구파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봉천으로 퇴각하였다.

 

장쉐량의 권력 장악

  • 장쭤린 사후, 그의 여섯 번째 아들인 장쉐량이 봉천군벌의 수장에 올랐다.
  • 장쉐량은 육대파와 구파의 지지를 받으며 자신을 견제하는 양위팅, 상음괴 등을 숙청하였다.
  • 그는 권력을 확고히 하였고, 일본 제국의 다나카 기이치 내각은 장쉐량에게 보경안민에 힘쓰며 국민당과 협력하지 말 것을 요구하였다.
  • 그러나 장쉐량은 일본의 강압적인 요구와 만주까지 불어온 내셔널리즘 열풍에 반발하여 동북역치를 선언하고 국민정부에 합류하게 되었다.

동북역치(, Northeast Flag Replacement)는 1928년 12월 29일중화민국에서 관동군의 음모로 암살된 안국군 대원수 장쭤린의 뒤를 이어 동북지방의 지배자가 된 '소원수' 장쉐량이 국민정부에 대한 복종을 선포함으로 북양군벌의 마지막 세력인 봉천군벌이 중국국민당에 합류하여 중국통일이 완수된 사건을 말한다.

동북역치란 말은 '동북쪽의 깃발을 바꿔 단다.'라는 뜻으로, 동북지방, 즉 만주에 걸린 북양정부의 깃발을 난징정부의 깃발로 바꾼다는 뜻이다. 한마디로 난징정부에 항복(합류)한다는 말.


일본의 만주 진출 배경

  • 일본의 목표: 1904년 러일전쟁에서의 승리를 계기로 일본은 만주에서의 이권 확대 지배력 강화에 전력을 다하였다.
    러일전쟁
    러일전쟁
  • 주요 활동: 일본은 철도 광산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만주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하였다.
    철도를 지배하는 자가 대륙을 차지한다 만주를 운영했던 일제의 '두뇌' 滿鐵
  • 전후 상황: 제1차 세계대전과 러시아 혁명을 거치면서 일본은 북만주 외만주의 대부분, 그리고 바이칼호 주변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1차 대전 이후의 세계_러시아혁명
  • 전략적 중요성: 이러한 만주 지역의 지배는 일본의 경제적  군사적 전략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제1차 세계대전과 일본의 확장

  • 전쟁의 영향: 제1차 세계대전은 일본이 만주에서의 세력 확장을 가속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세력 범위: 일본은 북만주와 외만주를 포함하여 바이칼호 주변까지 세력을 확장하였다.
  • 전략적 목표: 일본의 이러한 확장은 아시아 대륙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었 다.
  • 지속적인 확장: 일본은 전후에도 만주에서의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자 하였다.

 

 

손문의 발언과 일본의 기대

  • 손문의 발언: 1911년 신해혁명 직전, 손문은 “중국혁명의 목적은 멸만흥한이기 때문에 건국은 장성 이남을 영역으로 하면 된다. 만몽은 일본이 취하면 될 것이다.”라고 언급하였다.
  • 일본의 반응: 이 발언은 일본의 만주 진출을 고무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 전략적 기회: 손문의 발언은 일본에게 만주에서의 정치적 기회를 제공하였고, 일본은 이를 통해 중국 내의 영향력을 더욱 강화하고자 하였다.
  • 중국의 상황: 당시 중국은 내부의 혼란 민족주의 운동으로 인해 일본의 진출을 저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중국의 민족주의와 일본의 한계

  • 민족주의 운동: 중국의 민족주의 운동과 장쭤린 정권의 방해로 인해 일본의 독점적인 만주 지배는 실현되지 못하였다.
    최강의 군벌, 만주의 패왕 장작림(1) ─ 마적 두목
  • 장쭤린의 역할: 장쭤린은 일본의 만주 지배를 극력 저지하는 군벌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중화민국 국가원수였던 마적 출신 동북왕 장쭤린(張作霖)』
  • 일본의 한계: 일본은 만주에서의 지배력을 강화하고자 하였으나, 중국의 민족주의와 군벌의 저항으로 인해 제한된 성과를 거두었다.
    중화민국 국가원수였던 마적 출신 동북왕 장쭤린(張作霖)』
  • 정치적 갈등: 이러한 상황은 일본과 중국 간의 정치적 갈등을 심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어쩌다가 만주사변까지 가게 되었을까?

장쭤린 제거와 만주국 건설

  • 일본의 계획: 일본은 장쭤린 제거와 관동군을 동원하여 만주국 건설에 착수하였다.
  • 군벌의 저항: 일본의 만몽 지배를 중국 군벌이 극력 방해하고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 이시와라 간지의 지적: 이시와라 간지는 일본의 만몽 지배가 중국 군벌의 저항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무능했던 제국 그리고 시작된 관동군의 폭주(황고둔사건)
  • 관동군의 폭주...시작은 대책없었으나 그 끝도 대책없었다!

    [일본사]개념정리11-막나가는 일본의 침략! 만주사변과 중일전쟁!
  • 전략적 필요성: 만주국 건설은 일본의 전략적 필요에 의해 추진된 것으로, 만주에서의 영향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만주국
    우리가 알아야 하는 만주사변과 만주국 건국
    만주국①…일본군 사조직의 전쟁 음모

 

 

꼭두각시 찾던 일 관동군, 푸이에게 '만주제국' 타진

 

 

미국의 지원과 일본의 위기

  • 미국의 개입: 미국이 장쭤린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면서 일본의 만주 진출이 위협받게 되었다.
  • 일본의 이해관계: 일본은 만주에서의 이익과 미국의 지원이 상충하게 되어 위기의식을 느끼게 되었다.
  • 장쭤린의 태도: 장쭤린은 소위 친미일탈적 태도를 취하고 있었으며, 이는 일본의 전략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장쭤린
  • 정치적 긴장: 이러한 상황은 일본과 미국 간의 정치적 긴장을 더욱 고조시켰다.

 

만주사변의 배경

  • 사변의 원인: 만주사변의 배경에는 장쭤린의 친미일탈노선과 국민당 및 공산당의 만주 공략에 따른 일본의 위기의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 일본의 위기 인식: 일본은 만주에서의 위기를 느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군사적 조치를 고려하게 되었다.
  • 정치적 상황: 당시 만주 지역의 정치적 상황은 일본의 군사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 전략적 결정: 이러한 위기 인식은 일본의 전략적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관동군의 장쭤린 암살

  • 장쭤린의 암살: 관동군은 1928년 6월 5일 봉천역 인근 만철선 교차지점에서 장쭤린을 전격적으로 살해하였다.
    황고둔 사건
  • 소련의 남하: 소련의 남하에 자극받은 관동군의 행동은 일본의 군사적 긴장을 반영하였다.
  • 정치적 결과: 장쭤린의 암살은 일본의 만주에서의 정치적 지배를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 군사적 개입: 이러한 사건은 일본의 군사적 개입을 정당화하는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동북왕 #장작림 #역사인물 #중국군벌 #마적 #중국역사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NAVER - 『중화민국 국가원수였던 마적 출신 동북왕 장쭤린(張作霖)』 ... (https://blog.naver.com/ohyh45/222143886598)

[2] 나무위키 - 장쭤린 (https://namu.wiki/w/%EC%9E%A5%EC%AD%A4%EB%A6%B0)

[3] 나무위키 - 장쭤린/생애 (https://namu.wiki/w/%EC%9E%A5%EC%AD%A4%EB%A6%B0/%EC%83%9D%EC%95%A0)

[4] NAVER - '동북의 왕' 장쭤린(張作霖·)[중국근현대인물사]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ohyh45/20208358169)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