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한국 다연장 로켓체계 개요
- 국방개혁 2.0: 군구조 개편을 통해 전방위 안보위협에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강한 군을 목표로 하고 있다.
- 전투능력 발휘 최적화: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군 구조 개편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지상전력 변화의 핵심이다.
- 육군의 개편:
지상작전사령부 창설로 지휘체계 일원화.
지상정보단과 화력여단 창설.
드론봇 전투체계 및 전술지대지유도무기 등 첨단 장비 확충.
- 다연장 로켓체계의 필요성: 신속한 타격 능력과 대화력전 수행 능력을 충족시키기 위한 무기체계로 다연장 로켓체계가 요구된다.
다연장 로켓체계의 필요성
- 정밀유도 기술 적용: 첨단기술을 적용한 무기체계가 필요하며, 이는 신속한 타격 능력과 대화력전 수행 능력을 요구한다.
- 다연장 로켓체계의 역할:
단시간에 최대한 화력을 집중할 수 있는 능력.
고밀도, 고정밀 장·단거리 타격지원 가능.
- 전력 요구: 확장된 작전지역에서 신속한 타격 능력과 대화력전 수행 능력을 충족할 수 있는 전력이 필요하다.
- 주변 강대국의 위협: 주변국의 다연장 로켓체계 발전 추세와 북한의 방사포 위협을 고려해야 한다.
주변국 다연장 로켓체계 분석
- 다연장 로켓체계 정의: 여러 발의 로켓을 탑재하여 단시간에 고화력으로 넓은 지역을 제압하는 무기체계이다.
- 기능:
포신에 장약과 탄두를 탑재하여 포탄을 발사.
대화력전 및 종심 타격 임무 수행.
- 최근 발전 추세:
고속기동, 장거리 정밀탄 탑재, 고위력화.
궤도형보다 차륜형으로 개발되어 생존성 확보.
- 다양한 탄약: 고폭탄, 파편탄, 정밀탄 등 다양한 탄약을 탑재하여 목표 특성과 작전 성격에 따라 선택 운영 가능.
미국의 다연장 로켓체계 발전
- M270 MLRS: 1987년에 전력화된 미국의 주력 다연장 로켓체계.
- 기술 이전 및 파생형: 유럽 일부 국가와 우방국에 판매 및 기술 이전이 이루어졌다.
- 성능 개량:
M270A1 MLRS로 성능 개선.
차체 전체 개선, 조종실 장갑 강화, 자동화재 소화 시스템 적용.
- 고기동 포병 로켓발사 시스템: M-142 HIMARS를 통해 기동성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러시아의 다연장 로켓체계 특징
- 구 소련 시절의 기본 개념: 대량 화력전을 전투수행의 기본 개념으로 판단하여 다연장 로켓체계의 비중이 높다.
- 주요 구경: 122mm, 220mm, 300mm의 다양한 구경을 가진 다연장 로켓체계 운영.
- 고기동성 및 경량화: 이동·정지·발사 시간과 운용 인원을 감소시킨 고기동성 플랫폼 적용.
- 자동화된 사격통제장치: GLONASS 및 ASUNO 시스템을 통해 사격 준비 및 목표 타격 능력 향상.
중국의 다연장 로켓체계 발전
- 저비용 고효율 화력전력: 중국은 다연장 로켓체계를 매우 중요시하고 있다.
- 다양한 구경: 170mm에서 425mm까지 다양한 구경의 다연장 로켓체계 개발 및 운용.
- WS-2D: 장거리 타격(480km)이 가능한 WS-2D를 전력화하여 주변 강대국의 성능을 능가하는 발전 추세.
- 정밀도 향상: A300은 원형공산오차(CEP) 30m~45m의 정밀도를 갖추고 있다.
북한의 다연장 로켓체계 위협
- 포병화기 분류: 북한은 방사포를 107mm, 122mm, 200mm, 240mm, 300mm 등으로 분류하고 있다.
- 신형 방사포 개발: 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 및 초대형 방사포를 개발하여 운용 중이다.
- 시험사격: 지속적인 시험사격을 통해 대구경화 및 장사거리 타격 능력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 위협의 심각성: 북한 방사포는 수도권 지역을 직접적으로 위협하고 있으며, 전시 초기 기습 공격이 우려된다.
다연장 로켓체계의 효용성 분석
- 효용성 분석 방법: 실제 전장에서의 작전임무 수행 결과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 걸프전 사례: M270 MLRS가 걸프전에서 첫 실전 임무를 수행하며, 주력 탄약은 무유도로켓이었다.
- 돈바스 전쟁 사례: 러시아의 BM-21 Grad Tornado-G에서 발사된 로켓이 큰 효과를 거두었다.
- 전투 효율성: 다연장 로켓체계의 효용성은 전투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걸프전에서의 다연장 로켓체계
- 전쟁 발발 배경: 걸프전은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에 반대하여 발발하였다.
- M270 MLRS의 역할: 보병작전 수행을 지원하며, 적의 지휘소 및 방공호를 타격하였다.
- 살상력과 파괴력: 이중목적향상고폭탄(DPICM)의 효과로 '강철비(Steel Rain)'라는 칭호를 얻었다.
- 기동화된 운용 플랫폼: 표적 획득 후 사격 및 진지 이탈로 아군의 생존성을 향상시켰다.
돈바스 전쟁에서의 활용
- 전쟁 개요: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돈바스 분리주의 반정부군 간의 전쟁이다.
- 다연장체계 사용: 러시아의 다연장체계가 우크라이나군을 공격하는 데 사용되었다.
- 기습 공격의 특징: 드론을 통한 정찰 및 감시와 함께 다연장의 기습 공격이 진행되었다.
- 성과: 40발의 로켓에 의해 많은 인명 피해와 장비 파괴가 발생하였다.
한국 다연장 로켓체계의 현재
- K-136(구룡) 개발: 1980년대 후반에 국방과학 연구소 주도로 개발하여 전력화하였다.
- M270 및 ATACMS 도입: 미국의 다연장 로켓체계를 도입하여 대화력전 수행능력을 제고하였다.
- K-239(천무): 구형 다연장 로켓체계를 대체하고 북한 방사포 위협에 대응하고 있다.
- 운용 플랫폼: 8×8 차륜형 플랫폼을 채택하여 고기동성을 확보하고 있다.
미래 발전 방향과 과제
- 복잡한 전장환경: 북한의 방사포 위협과 주변 강대국의 군비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다연장 로켓체계 증강 필요: 북한 방사포 전력에 대한 타격 및 수적 열세를 극복하기 위한 전력 증강이 필요하다.
- 정밀 장사거리 유도탄 확보: 적 방사포 및 주요 목표 타격이 가능한 정밀 유도탄 확보가 필요하다.
- 기술 개발 과제: 항법·유도장치 설계기술, 추진기관 설계기술, 탄두 설계기술 등이 필요하다.
정밀 유도탄 기술 확보 필요성
- 전시 초기 위협: 북한 방사포 전력은 매우 위협적이며, 이에 대한 대응전력이 필요하다.
- 정밀도 향상 기술: GPS와 INS 통합 설계 기술이 필요하며, 국내 독자위성 확보가 중요하다.
- 고성능 추진기관 설계: 대구경탄을 멀리 보낼 수 있는 효율적인 추진기관 설계 기술이 필요하다.
- 탄두 및 유도부 설계: 자탄의 불발률을 최소화하고 폭발력을 극대화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사격장 확보와 국제협약
- 사격장 개발 필요성: 사격장 확보가 탄 개발 및 운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 국내 사격장 한계: 현재 국내 사격장은 제한적이며, 안정된 국외 사격장 확보가 필요하다.
- 집속탄 금지협약: 다연장 로켓체계의 자탄 사용에 대한 국제적 이슈가 되고 있다.
- 대체탄종 개발: 집속탄을 대체할 수 있는 광지역 제압탄 개발이 필요하다.
결론 및 향후 전망
- 강대국의 위협: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과 북한의 다연장 로켓체계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 국방개혁 2.0 목표: 성능이 향상된 장사거리 타격용 다연장 로켓체계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 기술 개발 지원: 방위사업청은 기술과 제품 개발 지원을 통해 경쟁력 있는 다연장 로켓체계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 미래의 기대: 한국 전장환경에 적합한 세계 최강의 다연장 로켓체계 운용이 기대된다.
728x90
반응형
LIST
'군사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류탄의 정의와 역사 (3) | 2024.11.25 |
---|---|
한·미 '작계 5015' 리뷰 (1) | 2024.11.24 |
최근 쿠르스크 투입, 북한군 소식보도 (3) | 2024.11.20 |
중국 건함 계획: 해양 강국으로의 도약 (1) | 2024.11.19 |
휴전선의 길이와 비무장 지대 (2) | 2024.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