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4년 11월 12일 (화) 오후 8:26

 

 

😊 녹둔도에 대한 리뷰 포스트

 

안녕하세요! 오늘은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장소인 녹둔도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녹둔도는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전투로 유명한 곳이죠. 그럼 지금부터 녹둔도의 역사적 배경부터 시작해볼게요.

 

녹둔도는 한반도의 북쪽에 위치한 작은 섬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사건들이 많이 일어난 곳이에요. 특히 1587년, 이순신 장군이 이끄는 조선군과 여진족 간의 전투가 있었던 장소로 유명하죠. 이 전투는 조선의 국방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순신 장군의 군사적 역량을 입증하는 계기가 되었어요. 당시 이순신은 변방의 하급 무관에 불과했지만, 그의 전략과 용기는 후에 그를 역사적인 인물로 만들어주었답니다.

 

 


녹둔도는 초기에 ‘사차마(莎次痲), 사차(莎次), 사혈(莎穴), 사혈마(莎穴魔)’ 등으로 불리다가 조선 세종 때 6진(六鎭) 개척 이후 조선에 편입되었다. 녹둔도라는 명칭은 ‘사슴이 모여 사는 언덕처럼 생긴 섬’이란 뜻으로 세조 원년인 1445년 <세종실록지리지>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대동여지도>에도 나와 있다. 1735년에 제작한 것으로 서양의 고지도 중 가장 객관적이고 정확한 한국지도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조선왕국전도>에도 녹둔도가 한국 땅으로 표기되어 있으며, 이후 제작된 대부분이 지도 역시 녹둔도를 한국 영토로 인정하고 있다.

녹둔도는 함경북도 선봉군(先鋒郡) 조산리(造山里)에서 약 4㎞ 거리에 있는 섬으로 두만강 하류의 하구 중심에 있다. 동쪽으로는 두만강 건너 함경북도 경흥군이 위치하고 러시아 연해주 최남단 도시인 핫산(khasan)에서 남쪽으로 7㎞ 지점에 있다. 일본인 쓰네야가 쓴 <조선개화사>에는 “두만강구의 삼각주인 ‘녹도’(鹿島) 또는 ‘녹둔도’라 칭하는 섬이 있어 경흥부에서 동남으로 70리, 조산보에서 10리, 러시아령 포시에트(Posiet)에서 91리, 연추까지는 100리로 되어 있다.

 

이순신 장군과 녹둔도 전투

녹둔도 전투는 이순신 장군의 첫 번째 백의종군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 전투에서 이순신은 병마절도사 이일에게 군사의 보강을 요청했지만 거절당했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군대를 이끌고 여진족과 맞서 싸웠어요. 이 전투는 조선의 국방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순신 장군의 전투 전략이 어떻게 발전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이에요.

이순신의 첫 번째 백의종군-녹둔도 전투
녹둔도 전투를 승리로 이끈 이순신의 승전 기념비

선조 때 정언신은 녹둔도에 둔전(屯田)을 설치하였고, 백두산정계비 건립시 접반사 박권도 “경원에 야인의 소란이 있은 후 군량미 저축이 긴요해 녹둔도에 둔전을 설치, 부사로 하여금 경작에 힘쓰나 경작력이 점점 떨어져 어렵다”고 하였다.

조선 성종 17년(1486년) 2월에는 홍문관 전한인이 녹둔도에 대해 “만일 적이 침략해 오면 무엇으로 막아낼 것이며, 큰물이 밀어닥치면 섬 전체가 침몰할 듯하니 농민들이 여기에 상주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다“고 실정을 조정에 보고하였다.
선조 20년(1587년)에는 “오량캐들의 노략질이 심하고 녹둔도가 오랑캐 땅 인근에 있어 방어에 적절한 인물을 엄선해 보내야 한다”면서 이 해 8월에 이순신을 녹둔도 둔전관에 임명하였다. 그러나 9월에 북호가 침입하여 ‘녹둔도전투’가 일어났다. 불시에 기습한 그들은 조선측 수호장 오형과 감관 임경번 등 11명을 죽이고 군민 160명을 납치하고, 말 15필을 약탈해 갔다.

이에 이순신의 처형이 거론되는 가운데 경원부사 이경록과 함께 추격하여 적호 3명을 참살하고, 조선인 50~60여 명을 탈환한 공로를 인정받고, 이듬해 여진 토벌을 위한 반격에 나서 여진 부락 200여 호를 불태우고 380명을 죽였으며, 말 9필, 소 20두를 노획하는 큰 전과를 올려 사면을 받게 되었다.


1883년 서북경략사 어윤중이 녹둔도에 갔다 와서 고종에게 보고한 자료는 “녹둔도는 본래 우리 땅입니다. 신이 조산에 가서 땅 모양새를 살펴보니 섬 동쪽에 모래가 쌓여서 러시아와 연결되어 있고, 섬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모두가 우리 백성들이고 다른 나라 사람들은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라고 기록하고 “113가구에 822명의 조선 사람이 살고 있다”는 내용을 <아국여지도>에 새겨 넣었다. 이처럼 6진개척 이래 녹둔도에 대한 조선의 관리는 지속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세조 이후 경작지 및 변방 방어기지로 관리하고 있었음을 충분히 알 수 있다. 

백의종군에서 명예회복까지…이순신의 여진족 토벌

 

 

이순신 장군은 전투에서 패배하지 않았고, 이는 그가 후에 더 큰 전투에서 승리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어요. 만약 이 전투에서 패배했다면, 그의 경력은 크게 달라졌을지도 모르죠. 이순신 장군의 승리는 그가 역사에 남는 계기가 되었고, 많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었답니다.

 

현재 녹둔도의 상황

현재 녹둔도는 조용한 섬으로, 많은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어요. 이곳은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함께 역사적인 유적들이 많이 남아있어, 역사 애호가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장소랍니다. 녹둔도를 방문하면 이순신 장군의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함께, 당시의 역사적 사건들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요.

 

 

녹둔도 록둔도 | 鹿屯島 | Nokdundo

소속 러시아 행정구 속령 극동 연방관구 프리모리예 지방 하산스키 군
위치 동경 130°41′ 북위 42°20′
면적 약 32~400km²[1]
쾨펜의 기후 구분 냉대 동계 건조 기후(Dwa)

녹둔도의 크기는 명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대략 남북으로 28㎞, 동서로 12㎞ 정도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면적은 32㎢ 정도이다. <동국여지도>에 의하면 ‘남북 70리 동서 30리’라고 되어 있고, 1884년 12월초 고종이 권동수, 김용원 등을 밀파해 연해주 일대의 군사시설과 우리 교포들의 실상과 녹둔도에 대해 탐지하고 작성한 <아국여지도(俄國輿地圖)>에도 남북이 70리, 동서 30리로 나와 있다.

지형은 평지로 섬 가운데는 산은 없고 조산보 강안에서 바라보면 수면상에서 10척 정도의 높이로 수목은 별로 없으며, 가옥은 한식으로 되어 있었다. 녹둔도는 두만강의 하천도서였기 때문에 상주(常住)가 금지되어 농민들이 배로 오가며 사토(沙土)를 개간하여 농사를 지었다. 우리가 개척한 땅이다.


조선의 농민들이 온갖 고난을 극복하면서 녹둔도를 개간하자 호전적인 여진족들이 불시에 두만강을 건너와 물자를 약탈하였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조선 정부에서는 녹둔도에 1246자의 토성을 쌓고, 높이 6자의 목책을 둘러 병사들을 배치해 방비하였다.

 

Board > 자유게시판 > 우리들이 모르는 영토 녹둔도
두 강대국의 밀약으로 러시아에 빼앗긴 우리섬 녹둔도

녹둔도의 문화유산

녹둔도에는 이순신 장군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유산이 남아있어요. 특히, 이순신 장군의 전투를 기념하는 기념비와 함께, 당시의 전투를 재현한 전시물들이 있어요. 이러한 유산들은 후손들에게 이순신 장군의 업적을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답니다.

 

이순신의 전투 장면을 담은 그림
이순신 (忠武公 李舜臣)| Yi Sun-sin

녹둔도를 방문하는 방법

녹둔도를 방문하고 싶다면, 먼저 인근 도시에서 배를 타고 가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에요. 배를 타고 가는 동안 아름다운 바다 경치를 감상할 수 있어요. 또한, 섬에 도착하면 다양한 관광 코스가 마련되어 있어, 역사적인 장소를 둘러보며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답니다.

마무리 및 개인적인 소감

녹둔도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우리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장소예요. 이순신 장군의 전투를 통해 우리는 많은 것을 배울 수 있고, 그가 남긴 유산을 통해 우리의 정체성을 되새길 수 있어요. 개인적으로 녹둔도를 방문하면서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느낄 수 있어 정말 좋았어요. 여러분도 기회가 된다면 꼭 한번 방문해보세요!


러시아에게 넘어간 조선의 영토


태그: #녹둔도 #이순신 #역사 #전투 #문화유산 #관광지 #한국역사 #여행

이런 자료를 참고 했어요.

 

[1] 국가유산청 - 이순신 장군의 첫 백의종군 (https://www.cha.go.kr/cop/bbs/selectBoardArticle.do;jsessionid=lya6ZnENUCmhPyhvvGFM2YY9ef1ciGLtHihQKTmNW1CQGUZNpSxta2p2pr5CsYUY.cha-was02_servlet_engine1?nttId=79829&bbsId=BBSMSTR_1008&pageUnit=0&searchtitle=&searchcont=&searchkey=&searchwriter=&searchWrd=&ctgryLrcls=&ctgryMdcls=&ctgrySmcls=&ntcStartDt=&ntcEndDt=&mn=NS_01_09_01)

[2] 우리역사넷 - 녹둔도사건 1587 - 우리역사넷 (http://contents.history.go.kr/mobile/kc/view.do?levelId=kc_i302010&code=kc_age_30)

[3] KBS 뉴스 - 녹둔도 전투를 승리로 이끈 이순신의 승전 기념비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146191)

[4] 나무위키 - 이순신 (https://namu.wiki/w/%EC%9D%B4%EC%88%9C%EC%8B%A0)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