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시장/코인시장동향

밈 주식과 밈 코인 소개

레마니 2025. 2. 24. 13:43
728x90
반응형

밈 주식과 밈 코인 소개

  • 밈 주식: 온라인상에서 입소문을 타 개인 투자자의 주목을 끄는 주식을 가리키는 신조어이다.
  • 밈(Meme): 영국의 진화생물학자 리처드 도킨스가 1976년에 펴낸 《이기적인 유전자》라는 책에서 등장한 개념으로, 유전적 방법이 아닌 모방을 통해 습득되는 문화 요소를 의미한다.
  • 밈 코인: 실재하는 토크노믹스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지 않고,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유행하는 사진이나 문구를 기반으로 한 코인으로, 실용성보다는 재미를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페페 코인의 인기와 거래량

  • 페페 코인(PEPE):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밈 캐릭터인 '페페 더 프로그'를 내세워 이더리움에 발행된 코인이다.
  • 거래량: 시장이 풀린 지 3일 만에 5500명 이상의 홀더가 생겼으며, 유니스왑에서만 3000만 달러 이상의 거래량으로 거래량 페어 1위를 기록하였다.
  • 가격 상승: 0.02 이더리움(약 40달러)을 63 이더리움으로 불린 주소가 공유되기도 하였다.

페페 코인의 투자 성공 사례

  • 투자자 사례: 익명의 투자자는 지난 달 14일 약 250달러의 페페를 매수하고, 이후 추가 매수를 통해 총 302달러(약 40만원)의 페페를 보유하게 되었다.
  • 수익 실현: 이달 6일, 페페 코인의 가격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하면서 이 투자자는 페페 코인 일부를 매도해 약 279만3755달러(약 37억원)를 수익 실현하였다.
  • 보유 자산: 당시 그의 페페 관련 보유 자산은 925만9566달러(약 124억원)로, 40만원으로 3주 만에 120억원을 만든 것이다.

페페 코인의 가격 하락

  • 가격 추락: 페페의 가격은 13일 오후 3시 12분 기준 0.00000161달러를 기록하였으며, 지난 8일 기록한 고점(0.00000431달러)과 비교하면 62.43% 하락한 수치이다.
  • 하락 원인: 전날(12일)에는 0.00000110달러까지 떨어졌지만 현재는 일부 반등한 상황이다.
  • 시가총액 감소: 페페 코인은 도지코인(DOGE)과 시바이누(SHIB)에 이은 3대 밈 코인으로 자리 잡았으나, 시가총액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다른 밈 코인과의 비교

  • 하락세 비교: 밈 코인 시총 1위인 도지코인은 지난 일주일 전 대비 8.8% 하락하였고, 시바이누는 10.2% 하락하였다.
  • 페페 코인의 하락률: 페페 코인의 하락률은 다른 밈 코인에 비해 두드러진 수준이다.
  • 거래 보유량 변화: 상위 10개 지갑의 페페코인 보유량은 지난 8일 34%에서 33.9%로 감소하였고, 상위 100개 지갑의 보유량은 같은 기간 54%에서 56.1%로 증가하였다.

투자 사기와 경고

  • 투자 경고: 업계에서는 "재미로 소액을 투자하는 건 상관 없지만 실체가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라고 경고하였다.
  • 러그풀 위험: 투자 사기인 러그풀(가상자산 개발자의 투자 회수 사기 행위)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 과거 사례: 2021년에 개발된 '진도지 코인'과 '오징어게임 코인' 역시 밈코인으로 시작해 러그풀로 끝난 바 있다.

밈 코인 사기의 증가

  • 사기 행위 증가: 페페코인의 인기와 더불어 각종 밈코인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이를 통해 이득을 취하려는 사기 행위도 증가하고 있다.
  • 사기 경고: 한 블록체인 투자자는 "페페와 같은 밈 코인의 성공 1건 뒤에는 10만개 이상의 러그풀이 발생한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며 밈코인의 99%는 사기임을 강조하였다.
728x90
반응형
LIST